References
- 고숙희(2013). 감정코칭을 활용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정서지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연희, 조미숙(2015).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1), 49-69.
- 김갑순, 박윤조(2016).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3), 27-44.
- 김영옥, 박성연(2011). 걸음마기 모-아 놀이에서의 긍정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동학논집, 32(1), 71-85.
- 김정아(1990).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제 변인에 관한 연구-어머니와 교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종남(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감정 교육방식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현미(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현주(2015). 활동 맥락에 따른 어머니-걸음마기 자녀 간 갈등의 특성과 영아의 기질 및 애착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효정, 이희선(2015). 어머니 양육행동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5(4), 113-134.
- 노미경(2003). 대상관계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어머니-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성연, 신영아(2007). 걸음마기 아동의 순종행동에 관련된 변인들: 아동의 성, 연령,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요구내용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5(6), 11-20.
- 박응식(2015). John Gottman의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부모교육의 양육스트레스와 갈등대처능력,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용문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혜성(2014).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정서조절양식과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소정, 변민지, 하지영(2016).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관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245-270.
- 서숙경(2011).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서숙경, 김은경(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6(1), 95-109.
- 서유리안나(2010).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손영희, 김판희(2015).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4(2), 249-264.
- 신정민(2014). 어머니 대상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갈등대처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라리(2005).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안지영(2001). 2 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양승희(2016). 부모와 영아 간 상호작용 행동 평가를 위한 부모의 반응성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6(4), 129-147.
- 유민임(2005). 유아 개인변인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대인문제해결력과의 인간관계. 대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인숙, 김민화(2016).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2), 21-44.
- 이규연(2012). 감성코칭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 자기격려 및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사라, 권정임, 이혜린(2009).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도 조사연구: 학령기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보육학회지, 9(4), 1-24.
- 이수진(2012). John Gottman의 감정코치법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승근(2010). 정서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원영(1986). 부모교육론. 서울: 교문사.
- 이원영, 이태영, 강정원(2008). 영유아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서울: 북카페.
- 이현림, 류현정, 김지혜(2007). 집단상담: MBTI를 활용한 적극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8(2), 533-547.
- 이혜숙(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은옥, 최나야(2017).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성취기대불안에 따른 군집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의 군집 예측가능성. 한국보육학회지, 17(1), 75-98.
- 정순종(2005). 학부모 정서관리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윤주(2006).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양식 관련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4(11), 23-24.
- 조윤숙(2012). 감수성 훈련을 적용한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희연, 이화도(2017). 아동정신분석학적 관점에 기초한 프랑스 육아법 연구: Francoise Dolto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1), 51-73.
- 최경화, 홍상욱(2016).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코칭연구, 9(3), 53-76.
- 최우미(2015) Gottman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어머니의 자녀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인자(2005).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PT) 집단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인간관계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형성, 정옥분(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5.
- 한명숙(2016). 부모의 인성 리더십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 인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6(1), 121-140.
- 한영민(2005).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지연(2016). 감정코칭 부모교육 적용과정에 나타난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에 대한 경험적 연구. 동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정연(2009). 놀이치료중인 아동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과 양육효능감 및 정서표현 수용태도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W.H. Freeman and company.
- Bradley, S. J.(2000). Affect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New York: Guilford Press.
- Coleman, P. K., & Krraker, K. H.(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2), 47-85.
- Crease, S. J., Clark, S. G., & Pease, D.(1978).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annual.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 Dumka, L. E., Stoerzinger, H. D., Jackson, K. M,. & Roosa, M. W.(1996). Examination of the cross-cultural and cross-language equivalence of the parenting self-agency measure. Family Relations. 45(2), 216-222. https://doi.org/10.2307/585293
- Eisenberg, N., & Fabes, R. A.(1992). Emotion, reg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M. S. Clark(Eds.),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Vol. 14), Emotion and social behavior(pp. 119-150). Newbury Park, CA: Sage.
- Feldman, R.(2011). Child development (6th ed.). Boston, MA: Pearson.
- Floyd, F., Gilliom, L. A., & Costigan, C. L.(1998).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kioment, 69(5), 1461-1479.
- Goodnow, J. J., & Collins, W. A.(1990). Development acccording to parent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Gottman, J. M.(1997). Raising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New York: Simon & Schuster paperbacks.
- Gottman, J. M., & Nam Eun Yeong(2007).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감정코치.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1997). Meta-emotion: How families communicates emotionally.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Haight, W., Garvey, C., & Masiello, T.(1995). Playing with conflict: A longitudinal study of varieties of spontaneous verbal conflict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at home. Social Development, 4(1), 92-107. https://doi.org/10.1111/j.1467-9507.1995.tb00053.x
- Halberstadt, A. G.(1986). Family socializ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yles and skills. Jou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4), 827-836. https://doi.org/10.1037/0022-3514.51.4.827
- Hoffman, M. L.(1983). Affective and cognitive processes in moral internalization. In E. T. Higgins, D. Ruble, & W. Hartup(Eds.), Social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A socio-cultural perspective(pp. 236-27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Kagan, S.(1995). The changing face of parenting education. ERIC Digest (EDO-PS-95-7).
- Klimes-Dougan, B., & Kopp, C.(1999). Children's conflict tactics with mother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toddler and preschool years. Merrill Palmer Quarterly, 45, 226-241.
- Levandt, R. F., & Doyle, G. F.(1983). An evaluation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fathers of school aged children. Family Relations, 32(1), 29-37. https://doi.org/10.2307/583976
- Mondell, S., & Tyler, F. B.(1981).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s of problem-solving play behavior with children. Developemental Psychology, 17(1), 73-78. https://doi.org/10.1037/0012-1649.17.1.73
- Recchia, H., Ross, H., & Vickar, M.(2012). Power and conflict resolution in sibling, parent-child, and spousal negotiation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4(5), 605-615. https://doi.org/10.1037/a0020871
- Salovey, P., & Mayer, J. D.(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 Sluyter, D.(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NY: Basic Books.
- Teti, O. M., & Gelfand, D. M.(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o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https://doi.org/10.2307/1131143
Cited by
-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의 조절효과 vol.17, pp.3, 2017, https://doi.org/10.21213/kjcec.2017.17.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