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eaching Ratio and Rate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 Received : 2017.01.12
  • Accepted : 2017.02.23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regarding the pedagogical aspect of the instruction of ratio and rate in order to look into teachers' problems during the process of teaching ratio and rate. This study aims to clarify problems in teachers' PCK and promote the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ization of an effective and practical class in teaching ratio and rate by identifying the improvements based on problems indicated in PCK. We subdivided teachers' PCK into four area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knowledge, understanding knowledge about students' learning, and class situation knowledg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based on analysis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the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spect of PCK,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ratio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plicative comparison of two quantities, and the concept of rate based on understanding of two quantities that are related proportionally. Also, teachers need to introduce ratio and rate by providing students with real-life context, differentiate ratios from fractions, and teach the usefulness of percentage in real life. Second, in the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knowledge' aspect of PCK, teachers need to establish teaching goals about the students' comprehension of the concept of ratio and rate and need to operat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ratio and rate. Also,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overy learning, research study and activity oriented methods. Third, in the 'understanding knowledge about students' learning' aspect of PCK, teachers need to diversify their teaching methods for correcting errors by suggesting activities to explore students' own errors rather than using explanation oriented correction. Also, teachers need to reflect students'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class. Fourth, in the 'class situation knowledge' aspect of PCK, teachers need to supplement textbook activities with independent consciousness and need to diversify the form of class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 activities.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을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CK의 내용 측면에 있어서 교사는 비와 비율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생활 맥락과 연계해서 비와 비율을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PCK의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수 목표를 강화하고 교수 방법에 있어서도 활동 중심으로 바뀔 수 있도록 교사들의 PCK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생 이해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의 PCK는 교사의 설명 이외에 오류 지도 방법을 다양화하고 정의적 측면을 수업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는 주체적 관점에서 교과서 활동을 재구성하고, 활동의 특성에 맞게 수업 집단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설문과 면담을 통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사의 PCK가 실제 수업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수학 6-1. 서울: (주)천재교육.
  2. 김선희, 김경희 (2009). 교육과정에 근거한 TIMSS 2007 공개 추이문항의 정답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99-120.
  3. 김수현, 나귀수 (2008).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연구-교과서 재구성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8(3), 309-329.
  4. 박희옥, 박만구 (2012). 비와 비율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장애 분석. 초등수학교육, 15(2), 159-170.
  5. 배종수 (2002). 초등수학교육 내용지도법. 서울: 경문사.
  6. 임찬빈, 이화진, 곽영순, 강대현, 박영석 (2004).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 일반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연구보고 RRI 2004-5.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임찬빈, 이화진, 서지영, 차우규 (2005).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 일반기준 및 교과(영어, 도덕, 체육) 기준 상세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5-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임찬빈, 이화진, 최승현, 오은순, 이경언, 이수정, 노은희, 권순달 (2006). 수업 평가 기준개발 연구(III): 일반 기준 및 교과(국어, 수학, 기술․가정, 음악, 초등) 기준 상세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정은실 (2003).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10. 최승현 (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 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7-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최승현, 황혜정 (2008a).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569-593.
  12. 최승현, 황혜정 (2008b).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범주화-세 명 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0(4), 489-514.
  13.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14. Karplus, R., Pulos, S., & Stage, E. K. (1983). Early adolescents' proportional reasoning on 'rate' problem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4(3), 219-233. https://doi.org/10.1007/BF00410539
  15. Lesh, R., Post, T., & Behr, M. (1988). Proportional reasoning. In J. Hiebert & M. Behr (Eds.),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 (pp. 93-11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6.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302
  1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19. Piaget, J., Grize, J., Szeminska, A., & Bang, V. (1977). Epistemology and psychology of function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21. Smith, D. C. (1999). Changing our teaching: The ro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scienc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163-197).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Smith III, J. P. (2002). The development of students' knowledge of fractions and ratios. In L. Bonnie (Ed.), Making sense of fractions, ratios, and proportions (pp. 3-17). Reston, VA: NC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