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8].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 교육부 (2013a). 1-2학년군 수학 4. 서울: (주) 천재교육.
- 교육부 (2013b). 1-2학년군 수학 4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 천재교육.
-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 교육부 (2015b). 5-6학년군 (4) 수학 6-2. 서울: (주) 천재교육.
- 교육부 (2015c). 5-6학년군 (4)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 천재교육.
- 교육 인적 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 인적 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8].
- 김수운 (2004). 쌓기나무 단원의 수업 실행 연구-6단계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양원 (2016).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쌓기나무 학습이 공간감각, 성취도,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유경, 방정숙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공간추론능력 실태조사. 학교수학, 9(3), 353-373.
- 류현아 (2008). 중등 기하문제 해결에서 시각화와 추론과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류현아, 정영옥, 송상헌 (2007). 입체도형에 대한 6-7학년 수학영재들의 공간시각화 능력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9(2), 277-289.
- 상경아, 곽영순, 박지현, 박상욱 (2016). TIMSS 2015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취특성-연구자료 ORM 2016-9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손태권, 류성림 (2016). 가상조작 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학습이 초등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4), 737-760.
- 윤명숙 (2006).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 쌓기나무 활동 지도를 통한 공간감각 신장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종영 (2005). 초등학교에서 지도하는 공간 감각 내용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7(3), 269-286.
- 이지호 (2005). 쌓기나무를 활용한 초등학교 수학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혜원, 강종표 (2009). 쌓기나무 지도를 위한 부분제거법의 적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9(3), 425-441.
- 전영수 (2007). 쌓기나무를 활용한 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간 시각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영옥 (2004). 초등학교 쌓기나무 단원 지도 방안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7(2), 75-101.
- 정혜림, 이승주, 조한혁 (2016). 연결큐브 수업을 위한 거북표현체계의 활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8(2), 323-348.
- 조영선, 정영옥 (2012). 초등학생들의 공간 감각 실태 조사-4, 5,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359-388.
- 최경숙, 백석윤 (2004). 공간 감각 관련 지도내용 계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8(1), 63-87.
- 태혜경 (2001). 큐브(쌓기나무)를 활용한 학습이 중학생의 공간시각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하은경 (2014). 시뮬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쌓기 나무 학습이 초등학생의 수학과 도형영역의 학업성취와 ARCS 기반 교수매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기완 (2002).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감각 지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卢江杨刚 外. (2015a). 数学 二年级 上册.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 卢江杨刚 外. (2015b). 数学 六年级 上册.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 淸水静海 外. (2015a). 算数 5. 啓林館.
- 淸水静海 外. (2015b). 算数 6. 啓林館.
- Bishop, A. J. (1980). Spatial abilities and mathematics education-a review.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1, 257-269. https://doi.org/10.1007/BF00697739
- Boersma, G., van Gool, A., Groen, J., van der Straaten, H., & de Weerd-Fourdraine, A. (2003). Pluspunt Reken-Wiskundemethode voor de Basisschool Opdrachtenboek voor Groep 8. 's-Heterogenbosch: Malmberg.
- Clements, D. H. (1999). Geometric and spatial thinking in young children. In V. C. Juanita(Ed.), Mathematics in the early years (pp. 66-79).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Clements, D. H. & Battista, M. B. (1992). Geometry and spatial reasoning. In A. G. Dougla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420-464).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Del Grande, J. J. (1990). Spatial sense. Arithmetic Teacher, 37, 14-20.
- Finnish National Agency for Education(FNAE) (2004). National core curriculum 2004. http://www.oph.fi/download/47672_core_curricula_basic_education_3.pdf.
- Fong, H. K., Gan, K. S., & Chelvi, R. My pals are here! Maths 6B.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 Groen, J., Rouvroye, R., van de Straaten, H., & de Weerd-Fourdraine, A. (2003). Pluspunt Reken-Wiskundemethode voor de Basisschool Lesboek voor Groep 6.'s-Heterogenbosch: Malmberg.
- Gutierrez, A. (1996). Children's ability for using different plane representations of space figures. New Directions in Geometry Education, 33-42.
- Hershkowitz, R. (1990). Psychological aspect of learning geometry. In P. Nesher, & J. Kilpatrick (Eds.), Mathematics and cognition (pp. 70-95). Cambridge, UK: University Press.
- Janssen, D., Munsterman, B., & Rouvroye, R. (2003). Pluspunt Reken-Wiskundemethode voor de Basisschool Opdrachtenboek voor Groep 7. 's-Heterogenbosch: Malmberg.
- Kennedy, L. M., Tipps, S., & Johnson, A. (2004). Guiding children's learning of mathematics. Belmont: Wadsworth.
-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86(5), 889-918. https://doi.org/10.1037/0033-2909.86.5.889
- Morrow, L. J. (1991). Implementing the standards: Geometry through the standards. Arithmetic Teacher, 38(8), 21-25.
- Munsterman, B., & de Weerd-Fourdraine, A. (2003). Pluspunt Reken-Wiskundemethode voor de Basisschool Lesboek voor Groep 4. 's-Heterogenbosch: Malmberg.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구광조, 오병승, 류희찬 (역) (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 Pap, W., Janssen, D., & Pap, L. (2003). Pluspunt Reken-Wiskundemethode voor de Basisschool Lesboek voor Groep 3. 's-Heterogenbosch: Malmberg.
- Reys, R. E., Lindquist, M. M., Lamdin, D. V., & Smith, N. L. (2009).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NY, Jon Wiley & Sons, Inc. 박성선.김민경.방정숙.권점례 (역) (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경문사.
- Tartre, L. A. (1990a). Spatial orientation skill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3), 216-229. https://doi.org/10.2307/749375
- Tatre, L. A. (1990b). Spatial skills, gender, and mathematics. In Fennema, E. & Leder, G. (Eds.), Mathematics and gender: Influences on teachers and students (pp. 27-59).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1). Children learn mathematics. A learning-teaching trajectory with intermediate attainment targets for calculation with whole numbers in primary school. Utrecht/Enschede: Freudenthal Institute/SLO.
- Van Gool, A., Janssen, D., & Munsterman, B. (2003). Pluspunt Reken-Wiskundemethode voor de Basisschool Lesboek voor Groep 5. 's-Heterogenbosch: Malmberg.
- WSOY (2012a).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1-1. 양숙희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 WSOY (2012b).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1-2. 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 WSOY (2012c).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2-1. 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 WSOY (2012d).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2-2. 황윤희.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 WSOY (2012e).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3-1. 김유미.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 WSOY (2012f).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3-2. 황윤희.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 WSOY (2012g).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4-1. 양재욱.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 WSOY (2012h).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4-2. 양재욱.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 WSOY (2012i).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5-1. 문보람.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 WSOY (2012j).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6-1. 오수현.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