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Ratio and Rat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비와 비율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 Received : 2017.01.16
  • Accepted : 2017.02.24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Since mathematics textbooks for 6th graders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pplied to the site, there has been a note pointing out that the unit of 'ratio and rate' causes some learning difficulties. This implies the necessity of search for desirable methods of organizing the unit of ratio and rate in mathematics textbooks.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Korean and foreign mathematics textbooks on ratio and rate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respectively. For longitudinal analysis, we selected the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since the 5th one. For horizontal analysis, we took the mathematics textbooks of Japan, Singapore, Hong Kong, and Finland. In each textbook, the contents and the order in relation to ratio and rate, the definitions of terminology, and the methods for introducing related concepts are set as th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many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in ways of dealing contents about ratio and rat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writing the unit of ratio and rat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6학년 수학 교과서가 현장에 적용된 이후, 1학기 비와 비율 단원이 다소 어려워 학생들에게 학습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수학 교과서의 비와 비율 관련 내용을 종적 횡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적절한 비와 비율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의 5차부터 현행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를 종적 분석 대상으로, 일본, 싱가포르, 홍콩, 핀란드 수학 교과서를 횡적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기준은 각 교과서에 제시된 비와 비율 관련 학습 요소 및 지도 순서, 용어의 정의, 관련 개념의 도입 방법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별 및 각 국가별로 비와 비율 관련 내용의 구현 여부 및 방법에 있어서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기초하여 차기 교과서 개발 시비와 비율 단원 구성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 (2016). 초등 수학 교과서의 잘잘한 감자들. 서울: 교우사.
  2.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 (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서울: 경문사.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5-2. (주)동아.
  4. 교육인적자원부 (2002). 수학 6-가.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5. 교육부 (1997). 수학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6. 교육부 (2015a).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7. 교육부 (2015b). 수학 6-1. (주)천재교육.
  8. 권미숙, 김남균 (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교과서 비례 문제 해결과 비례 추론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211-229.
  9. 김경희, 백희수 (2010). 비와 비율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학교수학, 12(4), 473-491.
  10. 김성준, 김수환, 신준식, 이대현, 이종영, 임문규, 정은실, 최창우 (2015). 초등학교 수학과 교재연구와 지도법. 경기도: 동명사.
  11. 김수현, 나귀수 (2008).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연구 : 교과서 재구성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8(3), 309-333.
  12. 김용익 (2009). 비례상황에 기초한 비의 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문교부 (1990). 산수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4. 박경미 외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15. 박교식 (2010).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비율 정의와 비의 값 정의의 비판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397-411.
  16. 박희옥, 박만구 (2012). 내용: 비와 비율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장애 분석. C-초등수학교육, 15(2), 159-170.
  17. 사교육걱정없는세상 (2015). 6개국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컨퍼런스.
  18. 세계일보 (2016). [공부가 술술] '수포자' 안되려면 단계적으로 수와 연산 능력 쌓아야. 2016.01.25.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1/24/20160124001504.html?OutUrl=naver.
  19. 안숙현, 방정숙 (2008). 5,6,7학년 학생들의 비례추론 능력 실태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18(1), 103-121.
  20. 유현주 (1995). 유리수 개념의 교수현상학적 분석과 학습-지도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정은, 김지원, 박교식 (2015).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율의 정의 비교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485-499.
  22. 이혜숙 (2015). 맥락성 관점에서 한국과 싱가포르 초등수학 교과서의 비와 비율 관련 단원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임재훈 (2015). 비의 값과 비율 용어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371-386.
  24. 장혜원 (2002).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의 값과 비율 개념의 구별에 대한 논의. 학교수학, 4(4), 633-642.
  25. 정영옥 (2005). 초등학교에서 비와 비례식 지도에 대한 고찰 - 한국,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 과학교육논총, 18, 13-28.
  26. 정유경, 정영옥 (2015). 초등학생들의 비례 추론 전략 분석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457-484.
  27. 정은실 (2003a).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28. 정은실 (2003b). 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수학적, 심리적 분석. 학교수학, 5(4), 421-440.
  29. 정은실 (2013).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의 비례 추론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4), 505-516.
  30. 홍갑주 (2013). 초등학교 2007 개정 교과서 비와 비율 관련 용어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3(2), 285-295.
  31. Baroody, A, J., Wilkins, J, L, M. & Coslick, R. T. (1947).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권성룡 외 (역) (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32. Collars, C., Koay, P. L., Lee, N. H., Ong, B. L., & Tan, C. S. (2014a). Shaping maths coursebook 5A.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33. Collars, C., Koay, P. L., Lee, N. H., Ong, B. L., & Tan, C. S. (2014b). Shaping maths coursebook 5B.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34. Collars, C., Koay, P. L., Lee, N. H., Ong, B. L., & Tan, C. S. (2014c). Shaping maths coursebook 6A.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35. Collars, C., Koay, P. L., Lee, N. H., Ong, B. L., & Tan, C. S. (2014d). Shaping maths coursebook 6B.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36.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37. Karplus, R., Pulos, S., & Stage, E. (1983). Proportional reasoning of early adolescents. In Lesh, R., & Landau, M. (Eds.), Acquisitions of Mathematics Concepts and Processes, 45-90. NY: Academic Press.
  38. Lesh, R., Post, T., & Behr, M. (1988). Proportional reasoning.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 2, 93-118.
  39. Lamon, S. J. (1999). Teaching fractions and ratios for understanding : Essential context knowledge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er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41. Noelting, G. (1980). The development of proportional reasoning and the ratio concept Part I-differentiation of stag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1(2), 217-253. https://doi.org/10.1007/BF00304357
  42. Pan Lloyds Publishers. (2012a). Effective steps to mathematics 6A. Pan Lloyds Publishers Ltd.
  43. Pan Lloyds Publishers. (2012b). Effective steps to mathematics 6B. Pan Lloyds Publishers Ltd.
  44. Piaget, J. (1977). Epistemology and psychology of functions, 23.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5. Risto, I.,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a). LASKUTAITO in English 5A. WSOY pro., Ltd. 문보람, 도영 (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5-1 Korean edition. 서울 : 솔빛길출판사.
  46. Risto, I.,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b). LASKUTAITO in English 5B. WSOY pro., Ltd. 문보람, 도영 (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5-2 Korean edition. 서울 : 솔빛길출판사.
  47. Risto, I.,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c). LASKUTAITO in English 6A. WSOY pro., Ltd. 이영석, 도영 (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6-1 Korean edition. 서울 : 솔빛길출판사.
  48. Risto, I., Marjatta, K., Merja, S., Ann, M., S., & Tuula, U., L. (2012d). LASKUTAITO in English 6B. WSOY pro., Ltd. 이영석, 도영 (역) (2012). 핀란드 초등수학교과서 Laskutaito 6-2 Korean edition. 서울 : 솔빛길출판사.
  49. Streefland, L. (1985). Search for the roots of ratio: Some thoughts on the long term learning process (towards a theor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6(1), 75-94. https://doi.org/10.1007/BF00354884
  50. 藤井斉亮, 飯高茂 외 40명. (2013a). 新しい算數 5-上. 東京: 東京書籍.
  51. 藤井斉亮, 飯高茂 외 40명. (2013b). 新しい算數 5-下. 東京: 東京書籍.
  52. 藤井斉亮, 飯高茂 외 40명. (2013c). 新しい算數 6-上. 東京: 東京書籍.
  53. 藤井斉亮, 飯高茂 외 40명. (2013d). 新しい算數 6-下. 東京: 東京書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