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nreasonableness that China had the Territorial Right of Manzhouguo - Based on Cultural Territory Theory and Territory Cultural Theory -

만주국영토(滿洲國領土)의 중국귀속(中國歸屬) 불당성(不當性)에 관한 연구(硏究) -문화영토론(文化領土論)과 영토문화론(領土文化論)을 중심(中心)으로-

  • Received : 2017.04.20
  • Accepted : 2017.06.20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evaluating that South Korea has the territorial right of Manzhouguo with disconfirming that China had the territorial right of Manzhouguo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necessity of territorial cultures with establishing the theory of cultural territories and territorial cultures. The four main territorial cultures of Manzhouguo that are the burial culture, the place name cultural, the cadastral, and the folk culture were analyzed with Classifying territorial cultures. The results shows that territorial cultures of Manzhouguo is the same with territorial cultures of South Korea.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erritorial cultures of Manzhouguo should be vest to South Korea and not to China, because of the theory of cultural territories, which is that territorials can be defined with cultures and territorial cultures, which cultures can be defined with territorials.

본 연구는 1932년 일본에 의해 건국되어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해체된 만주국영토가 중국에 귀속된 것에 대한 부당성을 규명하고, 만주국영토가 문화영토론과 영토문화론에 의해서 대한민국에 귀속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밝히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화영토론과 영토문화론의 개념을 정립하고 영토문화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영토문화의 분류를 통해서 만주국의 영토문화중 대표적인 영토문화인 매장문화, 지명문화, 지적문화, 민속문화의 특성을 조사하여 분석 평가하고, 평가결과에 의해 만주국의 영토문화는 대한민국의 영토문화와 동일하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문화에 의해서 영토가 정의되어야 한다는 문화영토론과 영토문화의 문화주권자가 영토권자가 되어야 한다는 영토문화론의 이론에 근거해 만주국영토가 중국에 귀속된 것에 대한 부당성을 규명하고, 만주국영토가 대한민국에 귀속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주성. 2010. 흠정만주원류고. 글모아출판사, p. 11-50. (Nam JS. 2010. Heumjeongmanjuwonlyugo, Geulmoapress, p. 11-50.)
  2. 박진욱. 1987. 비파형단검문화에 관한 연구(비파형단검 문화의 발원지와 창조자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p. 33-51. (Park JW. 1987. A Study for Bronzedagger Culture. Kwahak Paekkwa Sajon Press, p. 33-51.)
  3. 박진욱. 1999. 조선 고대 및 중세 초기 사 연구(고조선의 성립에 대하여). 백산자료원, p. 5. (Park JW. 1999. A Study for history of ancient times and early Middle Ages of Gojoseon. paeksan Press, p. 5)
  4. 북한 사회과학원역사연구소. 1989. 조선고대사. 한마당, p. 103-176. (Institute for Historical Research, North Kore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1989. Ancient History of Joseon. Hanmadang press, p. 103-176.)
  5. 신용우, 김태식. 2013. 문화적 접근에 의한 대마도의 영토 근거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1(1): 99-121. (Shin YW, Kim TS. 2013. A Study on Tsushima's Territorial in the Cultural Approach Evidence. KRES. 31(1):99-121.)
  6. 신용우, 오원규. 2014. 간도의 우리문화와 중국의 왜곡에 관한 대응 방안 연구. 지적. 44(2): 25-44. (Shin YW, Oh WK. 2014. A Study on Indigenous Culture of Gando and Countermeasure against China's Distorting Action.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4(2): 25-44.)
  7. 신용우. 2016. 대마도의 영토권. 글로벌컨텐츠그룹, p. 42-81. (Shin YW. Territorial rights of Daemado. Global contents Group press, p. 42-81.)
  8. 신용우. 2016. 문화영토론에 의한 대마도의 영토권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Shin YW. 2016. A Study on Territorial Rights of Deama-Do by the Cultural Territorials [dissertation]. Kyungil University.)
  9. 안천. 1990. 만주는 우리 땅이다. 인간사랑, p. 46-49. (An C. 1990. Manchuria is our territory. Human love press, p. 46-49.)
  10. 유정갑. 1991. 북방영토론. 법경출판사, p.34-39. (Yu JG. 1991. The study of Northern territory. beobgyeong press, p.34-39.)
  11. 조병현. 2007. 지적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북방영토문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p. 140-141. (Joe BH. 2007. A Study on the Problems of Northern territory with cadastral approach method. [dissertation]. Kyungil University. p. 140-141.)
  12. 홍일식. 1983. 새로운 문화영토의 개념과 그 전망. 영토문제연구. 1:141-145. (Hong IS. 1983. Concept and Prospect of a New Cultural Territory. Territorial Research. 1:141-145.)
  13. 홍일식. 1985. 문화영토의 개념과 해외동포의 역할. 영토문제연구. 2:1-12. (Hong IS. 1985. The concept of Cultural Territory, and the role of Overseas Koreans. Territorial Research. 2:1-12.)
  14. 홍일식. 1987. 문화영토시대의 도래와 한국문화의 전망. 문화영토시대의 민족문화. 육문사, p. 458-459. (Hong IS. 1996.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thory of cultural territory. Nanam Press, p. 103-176.)
  15. 홍일식. 1987. 현대생활과 전통문화, 문화영토시대의 민족문화. 육문사, p. 357-358. (Hong IS. 1987. Modern life and traditional culture Youk Mon Press, p. 458-459.)
  16. 홍일식. 1996. 문화영토론의 회고와 전망. 21세기와 한국문화, 나남출판사, p. 103-176. (Hong IS. 1996.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thory of cultural territory. Nanam Press, p. 103-176.)
  17. 두산백과. 2016. 도야마 미쓰루 [인터넷].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05159&cid=40942&categoryId=33416]. Last accessed 8 January 2016. (Doopedia. 2016. Touyama Mitsuru[Interent].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05159&cid=40942&categoryId=33416]. Last accessed 8 January 2016.)
  18. 위키백과. 2017. 신해혁명[인터넷].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D%95%B4%ED%98%81%EB%AA%85]. Last accessed 8 January 2016. (Wikipedia. 2017. Chinese Revolution[Interent].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D%95%B4%ED%98%81%EB%AA%85].Last accessed 8 January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