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tracting the Risk Factor of Ground Excavation Construction and Confidence Analysis using Statistical Test Procedure

지반굴착공사 위험요소 도출 및 통계적 검정 방법을 통한 신뢰성 분석

  • Kim, Dong-Min (Department of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 Kim, Woo-Seok (Department of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 Baek, Yong (Department of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김동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 ;
  • 김우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 ;
  • 백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소)
  • Received : 2017.06.12
  • Accepted : 2017.06.27
  • Published : 2017.07.05

Abstract

The case study on ground subsidence was conducted and the cause of ground subsidence was evaluated, main cause were insufficient site exploration, inaccurate strength parameters, defective temporary wall, insufficient reaction for boiling and heaving, excessive excavation and so on. Risk factors during excavation were identified from the cause of ground subsidence and risk factors were site exploration, selecting excavation method, structure analysis, measurement plan, excavation method construction, underground water level change, natural disaster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he survey of the experts on risk factors identified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risk factors, and confide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level between survey result and survey respondent using Chi-square Test.

본 연구에서는 지반굴착공사로 인해 발생된 지반함몰 사례를 분석하고 지반함몰 발생 원인을 평가하였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지반조사의 불충분, 부정확한 지반정수, 가시설 보조공법 구조체의 결함, 보일링 및 히빙에 대한 대처 미흡, 시공시 과굴착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반함몰 발생원인 분석을 통해 지반굴착공사 위험요소를 도출하였는데, 지반조사, 굴착공법 선정, 구조물 해석, 계측계획, 굴착공법 시공, 지하수위 변화, 계측 수행, 자연재해, 시공관리 등이 지반함몰을 예방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위험요소로 도출되었다. 또한, 도출된 위험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카이제곱(${\chi}^2$) 검정 방법 통해 설문조사 응답자의 직업군, 업무종사기간, 업무현장종류 등과 설문조사결과가 유의한 수준인지에 대해 검정을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석우 (2007), 기초통계학, 학지사, pp.212-216.
  2. 김정률, 이성재, 오재일, 이대영 (2015), "하수관로 결함과 연계된 지반침하 지점의 상관성 분석", 대한상하수학회 2015 공동학술발표논문집, pp.643-644.
  3. 박진근 (2002a), 유의수준(有意水準), 경제학대사전, pp.4611.
  4. 박진근 (2002b), 귀무가설.대립가설(歸無假說.對立假說), 경제학대사전, pp.1026.
  5. 조성하, 이경수 (2014), "도심지에서의 지반침하 발생 원인과 사례 분석 그리고 대응방안(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방재저널, 한국방재협회, 제 16권, 제 2호, pp.16-23.
  6. 전석원, 전병규 (2014), "국내 폐광산지역의 지반침하 방지 및 복구 사업에 대한 고찰", 한국자원공학회지, 제 15권, pp.141-150.
  7. 한국시설안전공단 (2010), 지반 굴착에 따른 인접시설물 안전관리 기준 정립, p.1-2.
  8. Miller, S. M. (1983), "A statistical method to evaluate homogeneity of structural populations", Mathematical Geology, Vol. 15, pp.317-328. https://doi.org/10.1007/BF01036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