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Security Guard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attitudes

민간경비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태도 변수간의 영향관계 분석

  • 이상인 (동아대학교 태권도학과) ;
  • 김동현 (동아대학교 태권도학과)
  • Received : 2017.04.30
  • Accepted : 2017.06.1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attitudes. For this purpose, the private security guards who were working at private security companies in Gyeonggi province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6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310 persons. A total of 29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15 questions that were answered in appropriately or were partially missing.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Third, job satisfaction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Fourth, job satisfaction is part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commitment. In summary,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positivel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an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 the higher the commitment to the job.

본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태도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민간경비업체 10곳에서 근무하는 민간경비원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되었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15부를 제외한 총 295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은 직무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민간경비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한다. 종합해 볼 때, 민간경비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이며, 민간경비원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직무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완.박기범.전용태 (2006). 민간경비조직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1), 1-20.
  2. 공배완 (2006). 한국 민간경비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2), 51-72.
  3. 권봉안 (2009). 경호산업 종사자들의 리더십과 직무특성, 직무스트레스, 몰입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 19-43.
  4. 김강훈.김정기.박상만 (2012). 긍정심리자본: 인간의 경쟁우위를 발전시키는 노하우. 파주: 럭스미디어.
  5. 김경식.김광수.이광렬.김찬선.송강영 (2009). 민간경비원의 여가활동과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사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9), 325-334. https://doi.org/10.5392/JKCA.2009.9.9.325
  6. 김동제.조성구 (2012). 민간경호시장의 문제점에 따른 인력풀제도 도입의 필요성, 한국치안행정논집, 9(2), 97-119.
  7. 김창호.염대관 (2016). 경호원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검증.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7), 61-84.
  8. 김학범 (2015). 민간경비원의 직무자원동원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4), 59-83.
  9. 박권홍 (2012). 중소기업 근로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교육학회지, 14(1), 115-132.
  10. 박길준 (2014). 민간경비원의 조직윤리,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 개인.조직 적합성의 조절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호정 (2015). 민간경비역량의 강화방안. 융합보안논문지, 15(16), 19-28.
  12. 배병렬 (2013).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3. 서철현.김상범 (2005) 호텔종사원들이 지각하는 임금만족이 조직몰입과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지, 19(3), 27-43.
  14. 송은일.이종호 (2017).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0), 263-283.
  15. 송지준 (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16. 안치언 (2008). 테마파크 F&B 중간관리자의 이슈리더십이 임파워먼트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양진영 (2014). 사설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직무몰입, 정서적 조직몰입 및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3(1), 235-248.
  18. 양진영.임태희.김동현 (2016). 경호무도 전공자의 지각된 자율성지지가 내재적 동기 및 열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6), 87-112.
  19. 양필석.최석봉 (2012). 임파워링 리더십이 심리적 자본과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9(2), 63-81.
  20. 유현숙 (2005). 여성자본의 실태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여성의 인적자본.사회적자본.심리적 자본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4(2), 225-259.
  21. 이영안.이홍재 (2009). 직무 관련 태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행정기관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보, 19(2), 1-28.
  22. 이용탁 (2014).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지, 33(1), 1-16.
  23. 이재무.김전수 (2016).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신뢰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행정연구지, 25(3), 61-91.
  24. 이종환 (2014). 민간경비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 444-45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444
  25. 임운식 (2014). 민간경비원의 직무착근도가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4), 123-151.
  26. 장준호 (2013).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몰입 및 혁신성향 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1), 293-327.
  27. 전현모.송현주 (2012). 외식기업 종사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체인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18(4), 118-132.
  28. 정훈.강진형 (2013). 민간경비원의 직업윤리의식이 조직신뢰,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7), 9-28.
  29. 조현구.최은수 (2015). 평생교육기관 경영자의 서번트 리더십, 상사신뢰, 구성원의 직무태도, 조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기업교육학회지, 17(2), 31-57.
  30. 주현식.황순애.정삼권 (2007). 호텔 영업사원의 협상능력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지, 22(2), 191-208.
  31. 허경미.박영주 (2007). 일반경비원 교육훈련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3), 529-550.
  32. 허영혜 (2016). 지역사회정신건강증진센터 종사자들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인적자원관리, 감성리더십, 심리적 자본의 영향력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Arnold, J. (1990). Predictors of career commitment:: A test of three theoretical model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7, 285-302.
  34.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 Freeman.
  35. Blue, P. M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36. Eagly, A. H., & Chaiken, S. (1993). The Psychology of Attitudes. San Diego, CA :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37.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8, 39-50.
  38. Harris, E. G., Andrew, B. A., Walter, J. H., & Licatad, J. W. (2006). Role stressor, service worker job resourcefulness and job outcomes: An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 407-415. https://doi.org/10.1016/j.jbusres.2005.06.003
  39. Hulin, C. L. (1991). Adaptation, Persistence, and Commitment in Organization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2nd ed., Vol.2). Palo Alto, CA :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40. Judge, T. A., & Kammeyer-Mueller, J. D. (2012). Job attitud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3, 341-367.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120710-100511
  41. Lorence, J., & Mortimer, J. T. (1985). Job involvement through the life course; A panel study of three age group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0, 618-638. https://doi.org/10.2307/2095378
  42.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6), 695-706. https://doi.org/10.1002/job.165
  43. Luthans, F. (2002a).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Developing and managing psychological strengh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6(1). 57-72.
  44. Luthans, F., Youssef, C. M., & Avolio, B. J. (2007).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Oxford, UK : Oxford University Press.
  45. Luthans, F., Norman, S. M., Avolio, B. J., & Avey, J. B. (2008).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supportive organizational climate-employee 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9, 219-238. https://doi.org/10.1002/job.507
  46. Morrow, P. C. (1983). Concept redundancy n organizational research: The Case of work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 486-500. https://doi.org/10.5465/amr.1983.4284606
  47.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cior, 14, 224-247.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48. Peterson, S. I., & Luthans, F. (2003). The Positive impact and development of hopeful leaders.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4(1), 26-31. https://doi.org/10.1108/01437730310457302
  49. Peterson, C., & Steen, T. A. (2002).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In C. R. Snyder & S. J.
  50. Rabiowitz, S., & Hall, D. T. (1977). Organizational research on job involvement. Psychological Bulletin. 84, 265-288. https://doi.org/10.1037/0033-2909.84.2.265
  51. Seligman, M. E.,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The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https://doi.org/10.1037/0003-066X.60.5.410
  52. Smith, P. C., Kendal, L. M., & Hulin, C. L. (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Illinois, CHI : Rand McNally & Company.
  53. Snyder, C. R. (2002). Hope theory: Rainbows in the mind. Psychological Inquiry, 13, 249-275.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304_01
  54. Stajkovic, A. S., & Luthans, F. (1998). Self-self efficacy and work-related performance: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4(2), 240-261. https://doi.org/10.1037/0033-2909.124.2.240
  55. Youssef, C., & Luthans, F. (2007).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Journal of Management. 33(5), 774-800.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5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