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rganization Effectiveness Studies of General Hospital Employees : Focusing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병원 구성원의 조직 유효성 연구 :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 임경태 (배재대학교 실버보건학과)
  • Received : 2017.04.26
  • Accepted : 2017.05.17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members.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interview survey,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of 355 people including administrative staff, medical technician, nurs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dministrative staff had low job satisfaction,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intention to turnover. The medical technicia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 were low, but there was a willingness to leave because of external job opportunity and excessive job amount.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high, but they showed high turnover intention due to external job opportunities. Presenting options of shortage personnel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the model project government policy. It is expected that timely and practical measures for efficient hospital management will be presented.

본 연구는 병원 구성원의 직무 만족, 조직 몰입 및 이직 의사의 요인을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행정 직원, 의료 기사, 간호사 등 355 명을 인터뷰 조사 및 t- 테스트, ANOVA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행정 직원은 직무 만족은 낮고, 조직 몰입도가 높으며, 부정적 심성으로 이직 의도는 높게 나타났다. 의료 기사는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 수준은 낮지만 외부 취업 기회와 과도한 직무 량으로 이직의도가 있었다. 간호사는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 수준은 높지만 외부 취업 기회로 인해 높은 이직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시책을 시범 사업 중인 중소병원의 부족 인력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병원 운영을 위한 시기적절 하고 실질적인 대처방안이 제시 될 것으로 기대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하나선, 최정, "간호사의 간호역량이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286-294, 2010.
  2. S. P. Robbins, Organisational Behavior, 뉴욕, Prentice-Hall, 1989.
  3. 채은희, 이효영, "우리나라 정신요양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27-38, 2004.
  4. 김현경, "수술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지각 수과 직무만족," 중앙대학교 논문집, 제6권, 제2호, pp. 121-128, 2002.
  5. 채순화, 배성현, 김정원, "변혁적 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간의 다차원적 관련성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검증," 대한경영학회지, 제20권, 제6호, pp. 2611-2638, 2007.
  6. E. Kolodner and M. Freda,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staff management principles for health professionals," Aspen Publication, 1992.
  7. M. A. Abelson, "Strategic management of tumover : a model for the health service administration,"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Vol. 11, pp. 61-71, 1986.
  8. 이지원, 어용숙, 하영수, "조직 문화가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중소 규모의 병원을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3호, pp. 75-87,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3.075
  9. 최영진, 이광수, "병원직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 몰입에 관한 연구," 생산성 논집, 제26권, 제3호, pp. 319-342, 2012.
  10. D. Slavitt, P. Stamps, E. Piedmon, and A. Haase,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atisfaction," Nursin Research, Vol. 27, No. 2, pp. 114-120, 1978.
  11. 이소영, 유병철, "치과 위생사의 직무 스트레스 와 직무 요인의 관계," 대한치위생과학회, 제11권, 제6호, pp. 553-562, 2011.
  12. R. Mowday, R. Steers, and L. Porter, "Employee 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nd Absenteeism and Turnover," Newyork :Academia, Vol. 14, pp. 224-247, 1982.
  13. 신점순, 박재용, 감신, 주리, "병원직원의 갈등과 환자에 대한 태도," 대한병원경영학회지, 제2권, 제1호, pp. 114-136, 1997.
  14. 서영준, "병원 간호직 근무자의 근속성향결정요인," 병원경영학회지, 제2권, 제1호, pp. 137-161, 1997.
  15. 이현숙, 김재우, 김성호, 황슬기, "병원의 복지 제도가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6권, 제3호, pp. 107-115,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3.107
  16. 성경자,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간병인의 이직 의사와 관련된 요인 분석, 충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p. 63-64, 2015.
  17. 최금희, "조직 사회화 교육 프로그램이 신규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보건의료산업 학회지, 제8권, 제3호, pp. 89-102, 2014.
  18. C. E. Michaels and P. E. Spector, "Causes of employee Turnover :A test of the Mobley, Griffeth, hand and Meg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7, pp. 53-59, 1982. https://doi.org/10.1037/0021-9010.67.1.53
  19. 양애선, 강윤희,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 의도," 간호과학지, 제25권, 제2호, pp. 47-56, 2013.
  20. 이태화, 노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1. 임지영, 박은숙, 박영주, "사회 복지 시설의 간호 사의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 행정 학회지, 제10권, 제2호, pp. 185-193,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