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s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y as a Mediator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친사회적 행동, 공감능력과의 관계

  • 박수경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7.02.21
  • Accepted : 2017.04.03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Previous multi-cultural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focused on improving negative perceptions on multi-culture rather than enhancing morality among student, thus the outcomes seem to be not successful as inten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pro-social behavior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empathy as mediat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two variables. A convenience sample of 45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 city of Kyeonggi-do was employed. Results showed that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y ha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pro-social behavior controlling for gender, grade, multi-cultural education. Findings sugges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moral education course for improving pro-social behavior and empathy of students.

지금까지 다문화교육은 일반학생들의 도덕성 향상과 같은 근본적인 교육효과보다는 다문화에 대한 인식개선이라는 단편적인 효과에만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다문화교육의 성과는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두변수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I도시의 초등학교 2개교의 5, 6학년 재학생으로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457부를 다중회귀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수용성과 공감능력은 친사회적 행동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으며, 공감능력은 다문화 수용성이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은 단편적인 인식교육보다는 친사회적 행동과 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시적인 도덕교육과정을 통해서 운영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행정자치부, 2015년 외국인 주민현황 조사 결과, 행정자치부 사회통합지원과, 2015.
  2. 교육부, 다문화가정 학생현황, 2015.
  3. 정희태,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통일 전략, 제8권, 제2호, pp. 253-283, 2008.
  4. 박서영, 박성연,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와 문화성향에 따른 지인 및 타인에 대한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25권, 제2호, pp. 85-106, 2012.
  5. D. N. Asp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student behavior and the teacher's use of interchangeable responses," The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Vol. 14, No. 1, pp. 3-11, 1975.
  6. N. Eisenberg and J. Strayer, Empathy and its developmen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7.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방향성 고찰: 서구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제18권, 제2호, pp. 83-104, 2008.
  8. 서보라, 박찬석,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인권, 반편견, 반차별교육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6권, 제1호, pp. 27-26, 2016.
  9. 은지용, "다문화 인성 발달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 학습모형 탐색," 시민교육연구, 제41권, 제1호, pp. 107-139, 2009.
  10. 이민경, 양계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통한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1권, 제2호, pp. 176-199, 2011.
  11. M. L. Hoffman, "Is altruism part of human n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40, pp. 121-137, 1981. https://doi.org/10.1037/0022-3514.40.1.121
  12. N. Eisenberg and R. A. Fabes, "Prosocial Devlopment," In W. Danon (Serieo Ed.). & N. Eisenberg(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Y.:Wiley, Vol. 3, 1998.
  13. 강선경, 김헌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인종 및 다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11호, pp. 259-282, 2011.
  14. 김경근, 황여정, "초중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 제39권, 제1호, pp. 87-117, 2012.
  15. 라종민, 정혜진, "학교 내 다문화 교육경험과 일반 중학생의 다문화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종합연구, 제11권, 제3호, pp. 165-184, 2013.
  16. 이자형, 박현준, 김경근, "한국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 한국교육, 제41권, 제3호, pp. 5-34, 2014.
  17. 손경원,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인성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와 실천, 제81권, 제0호, pp. 101-120, 2015.
  18. 문정애, "다문화 윤리적 정체성과 평등 교육," 교육철학, 제52권, 제0호, pp. 109-135, 2014.
  19. 구정화, 박선웅,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목표체계 구성," 시민교육연구, 제43권, 제3호, pp. 1-27, 2011.
  20. 김민환,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 61-86, 2010.
  21. 장인실, 유영식, "다문화 교육 모형과 교과서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효과성 연구," 초등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 141-161, 2010.
  22. L. Endicott, T. Bock, and D. Narvaez, "Moral reasoning intercultural development,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Relations and cognitive underpinn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Vol. 27, pp. 403-419, 2003. https://doi.org/10.1016/S0147-1767(03)00030-0
  23. N. Eisenberg, "Prosocial developmental in early and middle adolescence," In R. Nontemayor, G. R. Adams, and T. P. Gullotta(Eds).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ransitional period. Newbury Park, CA:Sage. 1983.
  24. D. Bar-Tal, "Sequential developmetn of helping behavior: A cognitive-learning approach," Developmental Review, Vol. 2, pp. 101-124, 1982. https://doi.org/10.1016/0273-2297(82)90006-5
  25. 고문수, 곽은창, "학교 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성과 스포츠 인성이 친사회적 행동에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21권, 제3호, pp. 17-33, 2015.
  26. 권주현, 박영신, "마음의 이해와 공감이 독재자 게임에 나타난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6권, 제31호, pp. 117-135, 2013.
  27. 이옥경, 이순형, "과제의 부담과 종류에 따른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 추론과 친사회적 행동," 아동학회지, 제17권, 제1호, pp. 275-288, 1996.
  28. 장연진, 구혜영, "농촌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영향요인 구조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3호, pp. 193-216, 2013.
  29. D. Shaffer,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 Adolescence (5th ed.), Thomson/Learning, 1999.
  30. S. A Vasta, R. Miller, and S. Ellis, child Psychology(4th ed),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2004.
  31. N. D. Feshbach, "1975 Empathy in children: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Counseling Psychologist, Vol. 5, pp. 25-30, 1982.
  32. K. H. Hughes and L. J. Hood, "Teaching methods and an outcome tool for measuring cultural sensitivit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Vol. 18, pp. 57-62, 2007. https://doi.org/10.1177/1043659606294196
  33. 양선이, 임효남, 이주희,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문화적 역량고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 183-193,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183
  34. M. L. Hoffman,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35. M. L. Hoffman, "Contribution of empathy to justice and moral judgment," In N. Eisenberg and J. Strayer (Eds.), Empathy and its development (pp. 47-8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36. 변정현,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 변화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사회과 교육, 제50권, 제4호, pp. 135-152, 2011.
  37. 김미진,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8. M. H. Dav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Vol. 10, No. 85, 1980.
  39. B. Bryant,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Vol. 53, pp. 413-425, 1982. https://doi.org/10.2307/1128984
  40. 박성희, 공감과 친사회적 행동, 서울: 문음사, 1997.
  41. 박성희, 공감의 특성과 이타행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42. N. Eisenberg, Empathy and related emtional responses, San Francisco: Jossey-Bass. 1989.
  43. 이선화, "시설아동을 위한 음악활동 중심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프로그램 효과," 아동교육, 제19권, 제4호, pp. 131-142, 1999.
  44.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pp. 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5. D. P. Mackinnon, C. M. Lockwood, J. M. Hoffman, S. G. West, and V. Sheets,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y Methods, Vol. 71, No. 1, p.83, 2002.
  46. N. V. Mussen and N. Eisenberg, Roots of caring sharing, and helping, San Francisco: Freeman & Company, 1977.
  47. C. D. Batson, The altruism question, Hillsdale, NJ: Erlbaum & Assoc, 1991.
  48. N. Eisenberg, R. A. Fabes, and D. Bustamante, R. M. Mathy, P. L. Miller, E. Lindholm, "Differentiation of vicariously-induced emotional reactions in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4, pp. 237-246, 1988. https://doi.org/10.1037/0012-1649.24.2.237
  49. N. Eisenberg, "Empathy-related responding and its relations to socioemotional development,"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8, No. 1, pp. 1-17, 2014.
  50. 이수경, "청소년 다문화수용성에 나타나는 종단 변화 그 영향요인,"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0호, pp. 27-48, 2015.
  51. 한윤선, 김부경, 전수아,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정환경요인과 다문화 밀집지역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2호, pp. 97-125, 2015.
  52. 이건남, 김영은, 이기용,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6권, 제3호, pp. 1-14, 2013.
  53. 박미혜,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경험, 학부모의 고정관념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 2749-2757,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749
  54. N. Eisenberg and R. Lennon, "Gender differences in empathy and related capacities," Psychological Bulletin, Vol. 94, pp. 100-131, 1983. https://doi.org/10.1037/0033-2909.94.1.100
  55. 차화정, 김혜리, 이수미, 엄진섭, 이승복, "자기보고형 한국어편 공감지수척도의 타당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4권, 제4호, pp. 63-81, 2011.
  56. S. Baron-Cohen, Essential difference: Men, women and the extreme male brain, London: Penguin, 2003.
  57. 남성희, 전종설, "아동청소년 다문화 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경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3호, pp. 129-158, 2013.
  58. 이정민, 전경남, "일반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원교육, 제29권, 제2호, pp. 279-306, 2013.
  59. 정명숙, "친사회적 도덕추론능력의 발달," 한국심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2년 제1호, pp. 184-190, 2002.
  60. 구정화, "공동체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초등학교 5,6학년의 차이연구," 시민교육연구, 제47권, 제1호, pp. 1-24, 2015.
  61. 이광성, "다문화관련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 시민교육연구," 제48권, 제4호, pp. 87-107, 2016.
  62. 조태윤, "인지구조 이론과 다문화 교육," 다문화와 인간, 제3권, 제2호, pp. 49-77, 2014.
  63. M. J. Bennett, "Towards ethnorelativism: A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R. M. Paige (Eds.)," Cross-cultral orientation: New conceptualizations and applications (pp. 27-70), New York: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