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Job Autonomy on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업무자율성과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업무만족도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7.03.08
  • Accepted : 2017.05.02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job autonomy and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It sampled 849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art-time work.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vers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variables(gender, educational aspiration) and main variables. Females showed higher level of job autonomy, job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than males' ones. Second, job autonom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career maturity by gender and educational aspiration.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prov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job autonomy and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adolescents actively participate when they work on the field, and employers have to recognize a role of collaborator about vocational education to increase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Also, communities and schools have to give adolescents right information on job and make an official system to find a good job.

본 연구는 아르바이트의 업무자율성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에서 업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여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849명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자율성, 업무만족도, 진로의식성숙은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교육포부에 따라서는 고졸 희망학생이 전문대졸, 대졸이상 학생보다 더 높았다. 둘째, 아르바이트 업무자율성은 성별과 교육포부에 따라 진로의식성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업무만족도는 아르바이트 업무자율성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였으며, Sobel test 결과 업무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르바이트를 통한 진로의식성숙을 위해 청소년들에게 일의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현장에서 부여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고용주들은 청소년 직업교육 협조자 역할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와 지역사회는 질 높은 아르바이트를 통해 청소년들이 진로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아르바이트 진입경로를 공식화 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2011.
  2. 안선영, 황여정, 이수정, 이로사,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3. L. Laberge, E. Ledoux, J. Auclair, and M. Gaudreault, "Determinants of sleep dur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part-time employment, International Mind," Brain, & Education, Vol. 8, No. 4, pp. 220-226, 2014. https://doi.org/10.1111/mbe.12061
  4. W. Patton and E. Smith, "Part-time work of high school students: Impact on employability, employment outcomes and career development," Australian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 19, No. 1, pp. 54-62, 2010. https://doi.org/10.1177/103841621001900110
  5. 안소윤,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따른 소비와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의식성숙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 김정현, "학생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문화기술지,"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3호, pp. 69-98, 2009.
  7. 황나영, 이자형, "전문계 고등학교 여학생 아르바이트의 경험과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제11권, 제3호, pp. 233-260, 2011.
  8. 이경희, 박해경,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5권, 제4호, pp. 2117-2133, 2013.
  9. 이미화, "방사선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 408-41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408
  10. 이현주, 조영채,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 5314-5324,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314
  11. 진윤희, 김성종,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 451-46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451
  12. 최병권, "업무과부하,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권, 제4호, pp. 145-170, 2013.
  13. 유진이, "실업계 여자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실태에 관한 연구," 청소년보호지도연구, 제12권, pp. 75-114, 2008.
  14. 구효진, 최진선, "아르바이트 경험과 청소년들의 경제의식 및 근로의식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3권, 제4호, pp. 39-71, 2006.
  15. 전방연. 실업계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6. 이철위, 박창남, 정혜영, 청소년파트타임 고용실태와 제도적 지원방안 연구: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0.
  17. 김종성, 이병훈,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 요인 및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pp. 33-59, 2010.
  18. 이홍재, 변찬복, 박성종, "직무자율성, 직무만족, 정서적 조직몰입과 지식공유행동의 구조적 영향 관계," 관광연구, 제28권, 제3호, pp. 145-168, 2013.
  19. B. Menguc and S. N. Bhuian, "Career stage effects on job characteristic-Job satisfaction relationships among guest worker sales persons," Journal of Personal Selling and Sales Management, Vol. 24, No. 3, pp. 215-227, 2004.
  20. 이희진, 영화제작인력의 직무만족과 관련변인 연구,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1. 정은미, 중도탈락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2. 최은희, 충북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실태 및 과제, 충북연구원, 2016.
  23. 정경은, 이혜경,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진로성숙도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7권, 제2호, pp. 59-79, 2005.
  24. 안선영, 김희진, 강영배, 배경내, 청소년 직업체 험 및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25.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6. 김백신, 조직의 권한집중과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춘천시 행정직, 시설직공무원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7. 박해경, 임상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구조방정식모형,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8. 이성하, 이문정, 나운환, "발달장애학생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결정유형 및 진로의식성숙도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8권, 제2호, pp. 145-169, 2012.
  29. 관계부처합동, 청소년 근로보호 합동점검 보도 자료, 2016.7.25-29.
  30. 주영주, 김가연, "기업 이러닝에서 직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직무자율성, 만족도, 학업성취도 및 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제14권, 제3호, pp. 279-306, 2011.
  31. 박지애,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2. 최지윤, 내부고객의 직무만족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