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 공동체 미디어(Community Media) 실천연구: 대덕밸리라디오를 중심으로

Study on Online Community Media Practice: Focus On Daedeok-valley Radio

  • 최순희 (배재대학교 교양교육부)
  • 투고 : 2017.04.21
  • 심사 : 2017.06.08
  • 발행 : 2017.06.28

초록

본 연구는 그동안의 공동체 미디어 실천연구들이 전통적 방식의 지상파(전파) 방송에 국한되어 온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기존연구들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진 온라인 기반 위에서 실천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 미디어의 특성과 콘텐츠 제작 및 유통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대덕밸리라디오의 사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온라인 공동체 미디어 활동은 지역 공동체의 가치를 담아내는 시민미디어(civic/citizen media) 활동이다. 둘째, 미디어 콘텐츠 제작과 유통전략에 따라 퍼블릭 액세스(Public Access)를 통하지 않고도 공동체의 지역성을 실현하는 효과적인 매체 활용을 할 수 있다. 셋째, 온라인 미디어의 콘텐츠는 공동체를 연결하며 개인이 연결점(node)이 되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기반 공동체 미디어 실천은 시민들의 미디어 활동의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틈새(니치) 미디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the community media practice studies have been confined to the traditional terrestrial broadcasting.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were obtained by analyzing Daedeok-valley Radio's case to elucidate characteristics of online-based community media and cont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neglected in previous researches. First, online community media activities are civic/citizen media activities that capture the value of local communities, and this locality is realized through media content production and its online distribution. Second, contents of online community media link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individuals become nodes, interacting both online and offline. Therefore, online-based citizen media activitie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as a means to enhance civic participation and to achieve the locality of community in online and offline spaces depending on strategies for online content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tilizing online infrastructures for media content creation and distribution in Korea demonstrates potential opportunities of local online media to be considered as niche media that can increase its own sustain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진숙, 소유석, "공동체 라디오 동작FM의 다중 참여와 실천사례 연구: 네그리와 하트, 비르노의 다중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60권, 제5호, pp. 292-318, 2016.
  2. 반명진, 김영찬, "공동체 라디오와 지역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에 관한 현장 연구:마포FM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78호, pp. 79-115, 2016.
  3. 박경섭, "항쟁의 에토스와 공동체: 1980년 5월 광주의 마음을 찾아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71호, pp. 33-51, 2015.
  4. 김유정, 김용찬, 김지현, 우지희, 정혜선, 손해영, "중국동포 커뮤니티 형성과 에스닉미디어의 역할: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의 관점에서,"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3호, pp. 347-375, 2012.
  5. 안진, 최영,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프리카TV 먹방 애봉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2호, pp. 5-53, 2016.
  6. 김지연, 강진수, "SNS 독서 커뮤니티의 집단지성과 미메스 실천에 관한 연구: 벤야민의 미메시스와 레비의 집단지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4호, pp. 225-257, 2015.
  7. 박창식, 정일권, "정치적 소통의 새로운 전망,: 20-30대 여성들의 온라인 정치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1호, pp. 219-244, 2011.
  8. N. Jankowski, "Creating Community with Media: History, Theories and Scientific Investigations, in Lievrouw," Leah A. & Livingstone, Sonia eds., Handbook of New Media, Sage, London, 2006.
  9. 차재영, "지역공동체 라디오와 지역대학의 역할," 사회과학연구, 제18권, 제2호, pp. 67-81, 2007.
  10. 차재영, 유지영, "대전지역 일간지의 지역성 변화 연구 : 언론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1호, 2010.
  11. L. Tabing, How to do Community Radio: A Prrimer for Community Radio Operater, New Delhi: UNESCO, 2002.
  12. C. Fraser and S. R. Estrada, Community Radio Handbook, UNESCO, 2011.
  13. European Parliament, The State of Community Media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Parliament's Committee on Culture and Education, 2007.
  14. C. Rodriguez, Fissures in the Mediascape: An International Study of Citizens' Media, Cresskill, NJ: Hampton Press, 2001.
  15. 김선희, 시민미디어로서의 공동체 라디오 : 금강 FM 자원활동가의 방송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6. C. Atton, Alternative Media, London: Sage publications, 2002.
  17. E. Rennie, Community media : a global introduction, Rowman&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6.
  18. H. Rheingold, The Virtual Community: Homesteady on the Electronic Frontier, Addison-Wesley, 1993.
  19. K. Howley, Community media: People, place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0. 최성은, 국가 규제와 공공지원이 공동체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21. E. I. Price-Davies and J. Tacchi, Community Radio In A Global Context: A Comparative Analysis, Sheffield: Community Media Association, 2001.
  22. K. Howley, Understandin Community Media, London: Sage publications, 2009.
  23. AMARC, Principles for Democratic Legislation on Community Broadcasting, 2008.
  24. 윤영민, Dialogue:소셜미디어와 집단지성,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1.
  25. 윤지영, 오가닉 미디어, 파주:21세기북스, 2016.
  26. M. Castells,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MA: Blackwell, pp. 606-607, 2000.
  27. M. Castells, The Power of Identity, Malden, MA: Blackwell, p.71, 2004.
  28. 윤영민, "수용자의 관점에서 본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5호, pp. 424-443, 2007.
  29. M. McLuhan, The Global Village: Transformations in World Life and the Media in the 21st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1989/2004.
  30. D. Halleck, Hand-Held Visions: The Impossible Possibilities of Community Media, 2002.
  31. N. Carpentier, R. Lie, and J. Servaes, Community media: muting the democratic, 2003.
  32. K. Howley, "Communication, Culture and Community: Towards A Cultural Analysis of Community Media," The Qualitative Report, Vol. 7, No. 3, 2002.
  33. P. Lewis and S. Jones, From the Margins to the cutting edge ; community media and empowerment, Cresskill, NJ: Hampton Press, 2006.
  34. 김은규, 최성은, "정규방송 도입 이후 공동체 라디오 운영구조 및 정책에 대한 평가적 고찰," 언론과학연구, pp. 184-214, 2013.
  35. 안진, 채영길, "공동체 미디어 실천과 다문화 정체성 연구," 한국방송학회, 제29권, 제6호, pp. 94-136, 2015.
  36. 강진숙 "공동체 미디어의 담론 흐름과 연구경향,"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1호, pp. 9-39, 2016.
  37. 김선희, 시민미디어로서의 공동체 라디오 : 금강 FM 자원활동가의 방송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8. 김유정, "사이버 커뮤니티 참여와 이용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 291-317, 2005.
  39. 배영, 사이버커뮤니티의 내부동학과 관계구조, 한국사회학, 제37권, 제3호, 2003.
  40. 최순희, "Web2.0과 라디오의 동행,"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9권, 제2호, pp. 85-129,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