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Job Specification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인식

  • Received : 2017.01.31
  • Accepted : 2017.03.22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utie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and analyze job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performance perceived by teachers. For deducing the dutie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they were theoretically devised by reviewing related legislations & regulations and domestic & overseas literatures. The devised duties were reviewed by 16 current teachers and 3 education experts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complete the job model. Based on this, development of research tool was finalized,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research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job categories of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consisted of 7 categories that are subject instruction, student instruction, class management, curriculum organization & administration, school affairs & administrative duties, PR & field practical training and expertise enhancement. Based on the CFA, they consisted of 46 sub-factors in 10 categories with 3 categories of lesson preparation & planning, lesson administration and academic evaluation for subject instruction, and 2 categories of extracurricular student guidance and school life guidance for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curriculum organization & administration, school affairs & administrative duties, PR & field practical training and expertise enhancement. Second, job importance perceived by teachers working at secondary level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s was found to be high overall with 4.10, while above average in difficulty with 3.45 and average in frequency of performance with 3.12 (1-3 times a month). As for categories with high job importance, the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academic evaluation (4.32), lesson preparation & planning (4.28), expertise enhancement (4.27), lesson administration (4.26), school life guidance (4.25), class management (4.17) and PR & field practical training (4.12). In regards to categories with high job difficulty, the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PR & field practical training (4.07), curriculum organization & administration (3.73), expertise enhancement (3.55), school life guidance (3.48), academic evaluation (3.35) and extracurricular student guidance (3.22). As for categories with high frequency of job performance, the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class management (3.88), lesson administration (3.77), school life guidance (3.52), school affairs & administrative duties (3.40) and lesson preparation & planning (3.17).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직무 영역과 영역별 직무 내용)를 구명하고, 구명된 직무에 대해서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중요도, 곤란도, 수행 빈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를 도출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으로 구안하였다. 구안된 직무의 내용을 현장 교사 전문가 16명과 교사 교육 전문가 3명의 검토를 통하여 직무 모형을 완성하였다. 직무 모형을 바탕으로 최종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영역은 7개(중영역 포함 10개)로 교과지도, 학생지도, 학급 경영, 교육과정 편성 운영, 교무 행정 업무,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 전문성 신장으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교과지도 영역은 수업 준비 및 계획, 수업 운영, 학습 평가 3개 영역, 학생지도 영역은 교과외 학생지도, 생활지도 2개 영역, 학급 경영, 교육과정 편성 운영, 교무 행정 업무,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 전문성 신장으로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영역은 총 7개 영역(중영역 포함 10개 영역)의 46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중요도는 4.10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곤란도는 3.45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수행 빈도는 3.12로 보통 수준(한 달에 1-3회 정도 수행)으로 나타났다. 직무 중요도가 높은 영역은 학습 평가(4.32), 수업 준비 및 계획(4.28), 전문성 신장(4.27), 수업 운영(4.26), 생활지도(4.25), 학급 경영(4.17),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4.12)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곤란도가 높은 영역은 대외 협력 및 현장 실습지도(4.07), 교육과정 편성 운영(3.73), 전문성 신장(3.55), 생활지도(3.48), 학습 평가(3.35), 교과외 학생지도(3.22)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빈도가 높은 영역은 학급 경영(3.88), 수업 운영(3.77), 생활지도(3.52), 교무 행정 업무(3.40), 수업 준비 및 계획(3.17) 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미애(2011). 일반계고 위탁직업교육가정 학생의 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 능력중심사회구축을 위한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및 전문교과 교원자격․임용․양성체제 개선 방안. 저자.
  3.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5). 정부부처 연계형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매뉴얼. 저자.
  4. 김은영(2006).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5. 김기홍, 장명희, 김종우(2009). 직업교육기관 교원 역량 강화 방안: 전문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김이경, 한만길, 박영숙, 홍영란, 백선희(2005).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 김희필, 김영용, 김효심(2006). DACUM법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부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5(2), 55-77.
  8. 남기윤(2008). 초등교사 직무기준 개발 및 적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9. 류성창, 강태훈, 이병욱, 정제영(2014). 표준수업시수제 및 교원 인력 운용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부.
  10. 민상기(2011).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 및 조직학습 관련변인의 다층구조모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윈논문.
  11. 박덕규, 김지순, 방대곤, 손동수(2003). 교원의 표준 수업 시수 설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2. 박영숙, 신철지, 정광희(1999). 학교급별, 직급별, 취득자격별 교원 직무 수행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3. 송태민, 김계수(2012). 보건복지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서울 : 한나래출판사.
  14. 심진구(1987). 한국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일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23(1), 309-398.
  15. 이병욱, 최동선(2006). 산업 현장과 교육 현장 연계를 통한 교원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이명훈(2006). 기술과 교사의 직무 수행과 관련 변인.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7. 이무근, 원상봉(2000).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8. 이무근(2006). 직업교육학 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9. 이종승(2011).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파주 : 교육과학사.
  20. 이창훈, 서원석, 김태훈, 조한진, 김기수(2015). 데이컴(DACUM) 기법을 활용한 기계․금속교사의 직무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30-154.
  21. 장명희, 변숙영(2001).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직무 수행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정영수, 김숙이, 김이경, 김민희(2012). 직무분석을 통한 교원의 적정 업무량 산정 방안. 한국교원교육학회, 29(2), 397-420.
  23. 주삼환(1999). 학교경영과 교내장학(제2판). 서울: 학지사.
  24. 진미석(2009). 교육과 노종시장의 연계: 직업교육과 훈련의 위상. 한국교육 60년: 성취와 과제 (연구보고 PRO 2009-8-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5.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9). 직업교육훈련 대사전. 저자.
  26. 한유경, 김흥주, 박영숙, 주재복, 최준열(2006). 교원 직무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7. 허준(2013). Amos 구조방정식 모형.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8. 현안상(1996). 중학교 초임 교사의 직무 수행에 영향을 주는 준거 집단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9. Eide, E., Goldhaber. D. & Brewer. D.(2004). The Teacher Labour Market and Teacher Quality. Oxford Review of Economic Policy, 20(2), 230-44. https://doi.org/10.1093/oxrep/grh013
  30. Gay, L. R., Mills, G. E., & Airasian, P.(2006).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and applications(8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31. Indiana Department of Education.(2009), Standard for Teacher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Indiana Department of Education
  32. Kline, R. B.(2011). Converg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 level modeling. In M. Williams & W. P. Vogt.(eds.), Handbook of methodological innovation. 562-589.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33. Meyers, L., S., Gamst, G., & Guarino, A. J.(2013). Apllied Multivariate Reasearch. CA : SAGE Publication.
  34. Muthen, B. O.(1994). Multilev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ociological Method & Research, 22(3), 376-398. https://doi.org/10.1177/0049124194022003006
  35.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2014).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Standards(2th Ed.). Retrieved May 1, 2015 from the World Wide Web : http://boardcertifiedteachers.org/sites/default/files/Standards/EAYA_CTE.pdf
  36. Santiago, P.(2002). Teacher Demand and Supply : Improving Teaching Quality and Addressing Teacher Shortages. OECD Education Working Paper, No.1, OECD, Paris. Available from www.oecd.org/edu/workinpapers
  37. Schacter, J. & Thum, Y.(2004). Paying for High and Low-quality Teaching.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3, 411-430. https://doi.org/10.1016/j.econedurev.2003.08.002
  38. Texas Department of Education.(2009), Career & Technology Teacher Performance Continu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