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n Active Labour Market Polices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정책효과성 추정

  • Received : 2016.10.13
  • Accepted : 2017.03.27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mployability of participants and employment outcomes in the Korean active labor market policies(ALMPs). The data used in empirical testing is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1~15th survey data, participants database in ALMPs and Unemployment Insurance databas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Level of employability in participants with ALMPs is about 56.3 and that of participants with direct job creation(DJC) programs shows the most low level in sub-type of ALMPs. About 30.8% of all people participating in ALMPs belongs to vulnerable group and 71.5% of participants in DJC programs is in vulnerable group. In DJC programs, the participants with low level of employability are some more likely to be in vulnerable group. As the level of employability in participants with DJC programs increases, their job-search time after moved in labor market reduces and their duration of employment increases. To summarize, one can imply that the DJC programs are effective to transit vulnerable groups in labour market and improve the labor market outcomes by enhancing the employability of participants.

본 논문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취업잠재력을 추정하였다. 또한, 일자리사업의 실행 환류 측면에서 참여 전, 참여 중, 참여 후 등으로 구분하여 일자리정책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실증분석은 한국노동 패널조사(KLIPS) 자료와 일모아-고용보험DB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취업잠재력은 평균 56.3로 추정되었고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취업잠재력이 가장 낮았다.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모집 선발 시 취약계층 저소득층의 참여 정도는 약 30.8%로 나타났고 직접일자리사업 내에서 이들의 참여 비율은 71.5%로 가장 높았다. 뿐만 아니라 직접일자리사업 내에서 취업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류(1~2분위)에서 취업취약계층의 비중이 더 높았다. 직접일자리사업이 취업취약계층 대상으로 한시적 일자리 제공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당초 정책 의도, 또는 취지에 부합하도록 사업이 실제 추진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직접일자리사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업 참여 이후 고용유지 기간은 취업잠재력이 높을수록 길어지고 사업 참여 이후 재취업 소요기간은 취업잠재력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취업잠재력에 따라 사업 참여 이후 고용효과에 차이가 분명한 만큼 직접일자리사업의 고용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참여자의 취업잠재력 제고 등 참여자 관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사원. 감사결과보고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추진실태. 서울: 감사원, 2015.2.
  2. 고용노동부. 2011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가이드라인. 서울: 고용노동부, 2010.
  3. 고용노동부. 2012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중앙-자치단체 합동지침. 서울, 2011.
  4. 고용노동부. 2013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중앙-자치단체 합동지침. 서울, 2012.
  5. 고용노동부. 2014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중앙-자치단체 합동지침. 서울, 2013.
  6. 고용노동부. 2015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중앙-자치단체 합동지침. 서울, 2014.
  7. 관계부처합동. 수요자 중심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방안. 서울, 2010.7.
  8. 관계부처합동. 제2차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방안. 서울, 2011.8.
  9. 관계부처합동. 제3차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효율화 방안. 서울, 2012.9.
  10. 관계부처합동. 고용률 제고를 위한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 효율화 방안(안). 서울, 2014.8.
  11. 국회예산정책처. 2013 회계연도 재정사업 성과평가: 총괄.다부처. 서울, 2014.7.
  12. 고길곤.탁현우.김대중.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복지함정 실증분석.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행정학회, 2013.7.
  13. 고재성.김한준.노경란.박가열. 조건부 수급자의 근로능력판정기준 개발 및 가중치 분석. 취업교육연구 27권 1호 (2008): 69-89.
  14. 김용성. 고용률 제고를 위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방향의 모색.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3.12.
  15. 김준영.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고용상태 이동 실태.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이슈 7권 5호 (2014.9.): 30-49.
  16. 김찬수.오윤섭. 공공부문 유사중복사업 식별․관리 실태와 주요 이슈. 서울: 감사원 감사연구원, 2013.9.
  17. 김혜원. 재정지원 일자리사업과 노동이동. 2010년 경제학공동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노동경제학회, 2010.2.
  18. 노대명.원일. 근로빈곤층 취업잠재력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12.
  19. 노대명.이현주.강신욱.이병희.박찬임.황덕순.전지현.우선희. 근로능력 및 자활역량 판정체계 개편방안. 서울: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6.
  20. 이규용.윤윤규.금재호.최강식.문병기. 일자리지원사업 평가와 과제: 일자리대책사업 평가 연구시리즈 총괄보고서.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10.12.
  21. 이규용.강병식.김동헌.노용진.문병기.반정호.안준기.장은숙. 취업취약계층 노동시장정책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13.12.
  22. 이선우. 근로능력평가지표의 취업에 대한 영향 비교: 장애등급, ICF 활동참여수준, 일상생활 도움필요정도 및 자기평가건강상태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권 2호 (2011): 323-350.
  23. 이준섭.이진국. 취업취약계층의 취업지원에 관한 법제 개선을 위한 연구. 서울: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09.
  24. 주무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성과와 과제.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이슈 7권 5호 (2014.9.): 6-27.
  25. 한국고용정보원. 일모아-고용보험DB 연계자료.
  26.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
  27.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패널 1-15차년도 조사자료 User's Guide.
  28. EUROSTAT, Labour Market Policy Statistics. Luxembourg: European Union,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