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Havruta Class on High School Students' Geographical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하브루타 수업이 고등학생의 지리학습에 미치는 영향

  • Kang, Eung Ju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Chul Ki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강은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
  • 조철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7.04.03
  • Accepted : 2017.05.20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y the Havruta class in the geography cla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tudents' attitude on the geography class and the chang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Havruta class. As a result,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lessons in the clas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geography class, so they were more active in the class activity and they were useful as the class strategy to turn into the self - leading learner participation class. Through the help of Havruta class, students have been help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geography, and it can be seen that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mates has changed into an active attitude to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But,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Havruta class did not get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fter the class application. We can expect a positive effect on the application of short-term teaching, but it is necessary to give appropriate grace period to the evaluation of the cognitive domain and to develop a proper evaluation method rather than the existing selective evaluation I knew.

이 연구는 지리수업에 하브루타 학습방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하브루타 수업을 적용한 후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등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하브루타를 적용한 지리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및 참여도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 문제해결력 및 사고력 향상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활발한 대화와 질문을 통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설명해 주는 하브루타 활동으로 지리수업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수업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브루타 수업을 적용한 수업 이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변화를 통계처리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얻지 못했다. 이 연구는 4차시의 짧은 기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단원의 내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하브루타를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간의 하브루타 수업이후 학업성취도의 효과를 기대하기보다 학습 태도와 같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사회과 교육과정 고시, 제2012-14.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성취수준 -고등학교 사회-, 교육과학기술부.
  3. 박정애, 2001, 지리 학습에 대한 수요자 인식을 통해 살펴본 중학교 지리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 공개 세미나 자료집, 77-89.
  4. 서윤주, 2016, 하브루타의 교육적 의미와 사회과 수업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오대영, 2014, 이스라엘 유대인의 창의성의 사회문화적 배경, 교육종합연구, 12(2), 103-131.
  6. 윤정훈, 2016, 하브루타를 바탕으로 한 수학과 토론 수업의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윤택림, 2004,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아르케.
  8. 장영숙, 2015, 하브루타 소집단 주제토론 과학수업이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정선영.최현정, 2015, 이스라엘의 하브루타식 토론방법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이 토론능력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7(17), 39-65.
  10. 전성수.하브루타 수업 연구회, 2014, 질문이 있는 교실 -초등-, 하브루타 수업 연구회.
  11. 전성수.고현승, 2015, 질문이 있는 교실 -중등-, 하브루타 수업 연구회.
  12. 조철기, 2014, 지리교육학, 푸른길.
  13. 차민정 외 19인, 2014, 학습자의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학회, 22(1), 195-219.
  14. 홍경선, 2007, 학습자중심사회에서의 수업평가 모델 개발 연구,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연구, 7(2), 401-426.
  15. 헤츠키 아리엘리.김진자, 2015, 탈무드 하브루타 러닝, 국제인재개발센터.
  16. Holzer, E and Kent. O., 2011, Havruta. International Handbook of Jewish Education, International Handbooks of Religion and Education, 5, DOI10. 1007/978-94-007-0354-4_24.
  17. Halbertal, M. and Halbertal, T., 1998, The Yeshiva, In A.O. Oksenbers Rorty (Ed.), Philosophers on education: New historical perspectives, Routledge, London, 458-469.
  18. Holzer, E. and Kent, O., 2013, A philosophy of Havruta: Understanding and teaching the art of text study in pairs, Academic Studies Press.
  19. Hozler, E., 2009, Either a Hevruta partner of death: A critical view on the interpersonal dimensions of He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5(2), 130-149. https://doi.org/10.1080/15244110902856492
  20. Kent, O., 2006, Interactive text study: A case of He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2(3), 205-232. https://doi.org/10.1080/15244110600990155
  21. Kent, O., 2010, A Theory of Ha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6(3), 215-245. https://doi.org/10.1080/15244113.2010.501499
  22. Resnick, L., 1987, Learning in and out of school, Educational Researcher, 16(9), 13-20. https://doi.org/10.2307/1175725
  23. Spradley, J.,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Holt, Rinehart and Winston, New York.
  24. Spradley,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Y: Holt, Rinehart & Winston(이희봉 역, 1988,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서울: 대한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