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 공학계열 학습자 맞춤형 의사소통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customized Communication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신희선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
  • 윤희정 (서강대학교 교수학습센터)
  • Shin, Hee-Sun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Yun, Hui-Jeong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ogang University)
  • 투고 : 2017.05.02
  • 심사 : 2017.05.30
  • 발행 : 2017.05.31

초록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necessity of customized communication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paper also points out such problems of current communication education as presentation and discussion-focused 'Public Speech' exercises, absence of interests about social issues, and lack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learning. In genera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ajor education, engineering students are not aggressive in self-questioning and active communication rather than their sensitive reaction to the changes of the new era.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students,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future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be deployed from the major-focused thinking to the development of convergent thinking, from the problem-solving to the problem-finding, and from the contentious thinking to the cooperative thinking. In addition, as a class design reflecting future trends, this research emphasizes, firstly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education model, secondly active utilization of SMART technology, and lastly the importance of customized-coaching for each student consider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수근(2017). 강의 없앤 강의실, 학생들이 떠들썩해졌다. <조선일보> 2017.05.04.
  2. 권영창 외(2008).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방법론, 형설출판사.
  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연구센터(2016). 미래는 더 나아질 것인가, 알에이치코리아.
  4. 권재기.정미경(2014).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6(4): 687-716
  5. 김진수(2013). STEAM 교육론, 양서원.
  6.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정환 옮김(2002).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 청아람미디어.
  7. 방담이(2014). 대학생들의 전공계열과 성별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463-484
  8. 배상훈.라은종.홍지인(2016). 수도권과 지방대학 공학계열 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비교. 교육학연구 54(1): 339-373
  9. 백윤수 외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10. 서미옥(2004). 대학생의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른 학습양식 및 다섯 가지(Big Five) 성격특성과 학습양식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4): 65-82
  11. 신동희(2011). 스마트 융합과 통섭 3.0,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2. 신희선(2017). <리더십과 의사소통> 수업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본 대학생 화법교육에의 의의와 방향연구. 제35회 한국화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39
  13. 신희선(2017). 학생들의 설문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방향 연구. 2017 대학작문학회.한국사고와표현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05-130
  14. 유현숙.임후남.최정윤.서영인.신현석.고장완(2012).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5. 이경화 외 공저(2004).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16. 이성호(2016). 미국 대학의 교양교육: 쟁점과 교훈. 한국교육, 43(4): 63-80
  17. 이은정.김민철(2016). MOOC를 활용한 통합인문 교양교육의 미래적 전략-자기주도학습과 창의성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교양 기초교육원 정책연구과제결과보고서.
  18. 이준기.신세인.아리프라흐 마툴라흐.하민수(2017). 공과대학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와 공학교육인증, 성별, 학년과의 관련성-잠재집단분석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13-12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13
  19. 전영미(2015). 공과대학생들의 학습 과정 분석에 기초한 학습 지원 방안 연구: 수도권 S대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8(1): 61-73
  20. 최재욱 엮음(2016). 융합인문학, 이학사.
  21. 하버드 비즈니스 프레스 엮음. 이상욱 옮김(2008). 코칭의 기술, 한스미디어.
  22. 한국교육학회(2009). 지식융합시대의 한국교육. 한국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3. 한동승(2016). 4차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 42호. 9-24
  24. 홍성욱 엮음(2013). 융합이란 무엇인가, 사이언스 북스.
  25. 황순희.윤경미(2015).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보편적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 탐색. 교양교육연구, 9(3): 399-434
  26. 황순희(2016). 공과대학생의 팀 기반 수업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관계. 공학교육연구, 19(5): 3-12
  27. 황순희.윤경미(2016). 공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사고양식의 관계. 교양교육연구, 10(3): 515-548
  28. Dale H. Schunk 외 지음. 서울대학교 인지학습연구회 옮김 (2013). 학습동기-이론, 연구 그리고 지원, 학지사.
  29. Henry L. Roediger III 외 지음. 김아영 옮김(2016).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와이즈베리.
  30. Kevin Carey 지음. 공지민 옮김(2016). 대학의 미래, 지식의 날개.
  31. Klaus Schwab 지음. 송경진 옮김(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32. Paulo Freire 지음. 남경태 옮김(2016). 페다고지, 그린비.
  33. 마이클 스팬스. 미래 학제개혁, '심화학사과정. <매일경제>, 2017.03.31.
  34. 이재훈. 이젠 대학이 성장산업 창출 주도해야. <중앙일보>, 2017.04.27.
  35. 한기호. 지식 습득 너머 지식 활용. <경향신문>, 2017.04.25.
  36. 한희창(2015). 공학계열과 인문사회계열 학습자의 초급중국어 학습 실태 비교. 중국언어연구, 57: 225-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