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of Multi-Function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사회복지시설 다기능화 정책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10.30
  • Accepted : 2017.01.18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implications of Multi-Function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on non-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especially in the rural area where there is not enough welfare infrastructure.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was reviewed with 'Modified Policy Streams Framework" which combined Kingdon's Model with Mucciaroni's Model. Multi-Functions Policy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was led by the government with background of powerful President's initial stage of taking the power and finally legislated by amending Social Welfare Service Act in line with efficiency of non-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However, the process did not represent the summation of needs originated from social work practice. The government just play the role of collecting some evidence underpinning the necessity of multi-function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rearanging how to deploy the multi-functions policy. As the result the multi-functions policy is not activated and is not able to be the key criteria in expanding social welfare infrastructure. However, in spite of these limitation, the issue of multi-function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can cast the light on expanding infrastructure in the rural area where the gross size of area in larger in comparison to the district in the metropolitan city whereas residents are scattered because more numb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can not be the solu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finance and logic of effici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인프라 구축이 미약한 농어촌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복지시설 다기능화정책의 형성과정을 살펴 민간 사회복지 전달체계 구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Kingdon의 모형을 근간으로 하고 Mucciaroni 모형에서의 제도적 맥락과 이슈맥락 개념을 차용하여 재구성한 '수정된 정책흐름모형'으로 조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시설 다기능화정책은 여대야소의 분위기에서 여당 출신 대통령의 집권 초기 강력한 리더십에 따라 정부 주도하에 법제화되는 등 제도적 맥락이 이슈 맥락을 주도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슈맥락이 압도당하는 모습에서 다기능화정책이 법제화된 이후 정부의 강력한 집행의지를 통해 확산되기 보다는 제도 마련 그 자체에 의의를 두고 지방자치단체가 필요에 따라 다기능화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법으로 열어두는데 그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어촌지역에서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다기능화정책의 상대적 유용성과 그 논거를 탐색할 때 주요한 맥락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사무처, 2011a, "보건복지위원회회의록 제2호", 제298회 국회(임시회), 2011년 3월 4일.
  2. 국회사무처, 2011b, "보건복지위원회회의록(법안심사소위원회) 제2호", 제301회 국회(임시회), 2011년 6월 20일.
  3. 국회사무처, 2011c, "보건복지위원회회의록 제2호", 제301회 국회(임시회), 2011년 6월 22일.
  4. 권오성.서용석.허준영, 2012, 역대정부의 국정기조 비교분석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5. 김지원, 2009, "4대 사회보험 통합 정책형성과정 분석: '수정된 정책흐름모형' 적용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정책학회보, 18(2): 157-188.
  6. 김진우, 2009, 민간 사회복지 전달체계 지역맞춤형 기능조정방안, 보건복지가족부.덕성여대 산학협력단,
  7. 김진우, 2013, "사회복지법인 제도신설 배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40(4): 137-156.
  8. 김진우, 2015, "환경변화에 따른 사회복지법인 제도의 비판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3): 461-489.
  9. 김태완.우선희, 2009, "농어촌 복지실태 및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52-64.
  10. 노화준, 2007, 정책학원론, 서울: 박영사.
  11.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2004, 농어촌 자활지원사업 확대방안, 농어촌자활사업 확대방안 정책협의회 자료.
  12. 박대식.최경환.조미형, 2012, 농어촌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박영숙, 2009,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과제," 교정복지연구, 15: 47-63.
  14. 보건복지위원회, 2011, "정부제출 사회복지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15. 성은미 외, 2009, 경기도의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 경기복지재단.
  16. 송지현.이태영, 2012,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제정과정 분석", 사회복지정책, 39(3): 151-179.
  17. 안해균, 2004, 정책학원론 제3판, 서울: 다산출판사.
  18. 이성규.류명석.이준영.최선희.홍백의.김미현, 2008, 민간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연구, 보건복지가족부.서울시복지재단.
  19. 이희숙, 2007, "한국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방안", 강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 정무성.이봉주.김진우, 2010, 사회복지시설 특성화.다기능화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협의회.
  21. 정부부처합동, 2009(6월),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 종합대책.
  22. 최균.이봉주.김진우, 2011, 사회복지시설 특성화.다기능화 시범사업 결과보고서,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협의회.
  23.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2016, "2016년 노인복지관 현황", http://www.kaswcs.or.kr.
  24. 한국사회복지관협회, 2016, "2016년 종합사회복지관 현황", http://kaswc.or.kr.
  25.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0, "2010 사회복지시설 특성화.다기능화 시범사업 공청회 자료", http://kncsw.bokji.net.
  26.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2016, "2016년 장애인복지관 편람". www.hinet.or.kr.
  27. Anderson, J., 1979, "Public Policy-Making(2nd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28. Cobb, R., Ross, J and Ross, M., 1976, "Agenda Building as a Comparative Political Proces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0: 126-138. https://doi.org/10.1017/S0003055400264034
  29. Gates, B., 1980, "Social Program Administratio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Polic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0. Gilbert, N. and Specht, H., 1974,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New Jersey: Prentice-Hall.
  31. Jenkins, W., 1978, "Policy Analysis: A Political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 London: Martin Robertson.
  32. Kendrick et al., 1974, "Strategies for Political Participation (2nd Ed)", MA: Winthrop Publishers, Inc.
  33. Kingdon, 1984, "Agenda,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ies",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34. Mucciaroni. G., 1995, "Reversals of Fortune: Public Policy and Private Interest",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35. Zahariadis, N., 2007, "Ambiguity, Time, and Multiple Streams", 73-93, in Paul A. Sabatier(eds) Theories of Policy Process, Boulder, colo: Westview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