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Possibility of Job-related Risk,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장기요양기관 내 위험발생가능성, 감정노동, 감성리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12.29
  • Accepted : 2017.03.07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ossibility of job-related risk,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leadership on the job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working at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For the study, survey data of 434 caregivers at senior nursing hom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level of caregivers'perception of both the possibility of management risk and employee risk led to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of social-disaster risk did not give significa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Although the perception of the possibility of service user risk g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e direction was the opposite to the one set at the research hypothesis. Frequent camouflage behavior("surface acting") of caregivers, which is the kind of emotional labor led to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However, caregivers'behavior consistent with their inner warm heart("deep acting") did not lea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Lastly, the more caregivers perceive their superiors'emotionally supportive leadership, the lower possibility of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 the researchers suggested several intervention methods in order to prevent turnover of caregivers and improve service quality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본 연구는 위험관리의 측면에서 장기요양기관 내 위험발생가능성, 감정노동, 감성리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이에 기초하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434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가 경영위험 및 종사자위험 발생가능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재해위험 발생가능성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업무위험 발생가능성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향의 방향은 연구가설과는 반대였다. 둘째, 요양보호사가 감정노동의 표면행위를 수행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졌으며, 내면행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요양보호사가 상사의 감성리더십 수준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 내 리더십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미, 2015, "아동양육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현아.노충래.박은미.신혜령, 2008,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60(3): 107-127.
  3. 고병호, 2011, "재가노인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공계순, 2005,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9: 7-35.
  5. 권순호, 2011, "국내 장기요양기관의 위험관리 필요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경희.권자영, 2013,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피해 대처 경험에 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3(4): 275-311.
  7. 김민주, 2015, "돌봄서비스 제공인력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비판과사회정책, 46: 48-84.
  8. 김성렬, 2012, "호텔종사원의 근무환경에 따른 근골격계 통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8): 256-263.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256
  9. 김성은.김철희, 2014, "비서의 감정노동, 직무만족, 이직의도와 회복탄력성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3(5): 261-283.
  10. 김성한, 1997,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인과모형: 종사기관별 비교", 사회복지연구, 10(1): 353-381.
  11. 김수정, 2014, "요양보호사의 돌봄관계를 통한 감정노동 경험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운화, 2012,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표현 요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이자, 2008, "치매노인생활시설의 케어리스크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인순, 2009,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간호행정학회지, 15(4): 515-526.
  15. 김준환, 2014,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SSO 모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중구, 2009, 위험관리가 회사의 미래를 결정한다, 서울: 원앤원북스.
  17. 김진완, 2009, "재가노인복지시설 이용자의 위험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노충래, 2009, 사회복지와 위험관리, 서울: 집문당.
  19. 문영미, 2007, "노인복지시설 최고 관리자의 리더쉽이 종사자들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37: 161-180.
  20. 문영주, 2015, "클라이언트 폭력이 사회복지사의 정서고갈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과 조직 안전풍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6(3): 65-94.
  21. 박경란.서혜경.고윤순, 2015, "요양보호사의 성희롱피해경험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5(1): 171-190.
  22. 박경일, 2006, "사회복지조직에서 위험관리의 필요성과 대책 및 과제", 사회복지정책, 24: 361-385.
  23. 박경일.권진아.김정근, 2014,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갈등과 돌봄태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3: 149-173.
  24. 박경일.김정근, 2014, "노인요양시설 위험사고 발생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 34(3): 475-493.
  25. 박미은, 2010, 사회복지 위험관리의 이해, 서울: 집문당.
  26. 박승택, 2012,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박영국, 2008, "사회복지조직 관리자의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반미선, 2013, "감성리더십이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기관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부산복지개발원, 2012, 부산시 노인요양시설 위험사고 실태 분석 및 위험관리 방안 연구, 부산복지개발원.
  30. 부산재가노인복지협회, 2007, 노인복지시설의 위험관리, 경기: 학현사.
  31. 서울복지재단, 2005, 복지시설 종사자 위험관리 실태조사, 서울복지재단.
  32. 서울복지재단, 2006, 복지시설 종사자 위험관리 매뉴얼, 서울복지재단.
  33. 선우덕, 2016, "노인 건강 및 장기요양정책의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39: 34-48.
  34. 설진화, 2006, "노인복지시설에서의 클라이언트 폭력과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4: 133-161.
  35. 성경자, 2015,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관련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송현진.조윤직, 2016,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54(3): 137-173.
  37. 신남순, 2014,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신용석, 2015a, "휴먼서비스조직의 감성리더십이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최고관리자의 근무형태별 다집단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431-442.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431
  39. 신용석, 2015b,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감성리더십과 정서사건반응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일터영성의 조절효과 검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신용석.강태인.윤성은, 2015, "언어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자-제공자 교환관계(CMX)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사회복지학, 67(3): 31-55.
  41. 신중환.김정우, 2013,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과 비과업행동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와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5(4): 137-163.
  42. 안재현, 2014,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양병화, 2006,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4. 양승범.송민혜, 2010, "한국 지방공무원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2(3): 219-236.
  45. 엄기욱.박인아, 2015, "노인장기요양기관 유형별 요양보호사의 부상 및 인권침해 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3: 149-172.
  46. 오창택, 2012,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정노동수행전략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6(4): 53-78.
  47. 윤경아.황인옥, 2006, "노인생활시설의 케어리스크 매니지먼트 체계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 26(3): 505-520.
  48. 윤기혁, 2015, "노인요양시설 위험관리시스템 모형 구축 및 적용 성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9. 윤원덕, 2005, "노인요양시설의 리스크관리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윤혜미, 1996,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예측에 있어서의 직무스트레스, 개인적 특성과 대처행동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28: 251-280.
  51. 이범재, 2015, "호텔기업의 감성리더십이 LMX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매개변수로",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이석열, 2006, "교장의 감성리더십 진단척도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24(3): 51-78.
  53. 이세형, 2013,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상사의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이여경.이선혜.황환, 2013, "노인요양시설의 기관 및 종사자 관련 요인들은 클라이언트 폭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사회복지학, 65(4): 221-243.
  55. 이은영, 2012, "노인 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폭력 경험과 대처",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이정은.조영은, 2008, "클라이언트 폭력과 사회복지 종사자의 스트레스, 소진,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83-104.
  57. 이주재, 2011, "노인장기요양 인력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1(2): 277-290.
  58. 이태화.이창원, 2013, "우리나라 노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643-672.
  59. 이화용, 2004,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리더의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0. 이화윤.박경숙, 2013,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금천구지역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3(2): 274-298.
  61. 이환정, 2014,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2. 임성옥.김현희, 2011,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151-176.
  63. 정경숙.최수정.박명옥.이암, 2015, "콜센터에서 감정표현규범에 따른 상담사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감정소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8(2): 529-551.
  64. 정은미, 2009, "클라이언트의 폭력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5. 정윤태, 2015, "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직무탈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69: 347-381.
  66. 정현영, 2006, "위탁급식업체 종사자의 감성리더십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7. 조영경, 2013,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이직에 관한 구조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8. 조영숙, 1999, "비서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경력관련변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9. 주찬희, 2013, "노인생활시설 리스크매니지먼트의 효과적인 운영방법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2): 1-22.
  70. 최병현, 2012, "LG엔시스의 ERM 도입 및 활용사례", 회계저널, 21(2): 461-483.
  71. 최성욱, 2007, "조직유해성과 감정관리: Peter J. Frost의 논의를 기반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4(2): 149-173.
  72. 최희경, 2011, "노인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연구: 감정노동으로서의 일반적 특징과 차별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9: 113-138.
  73. 한정원.이병숙, 2013,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후 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9(3): 340-350.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3.340
  74. 홍정영, 2014,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5. 황보람.강정희.유은경.윤기혁.이진열, 2014, "요양보호사가 노인요양시설에서 경험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와 대책: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1): 187-214.
  76. 황옥화, 2008, "노인요양시설 위기관리실태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7. 매일경제, 2010, "포항 노인요양원 화재로 10명 사망.17명 부상", 2010년 11월 12일.
  78. 한국경제, 2015, "신입사원 30% 반년도 못 채우고 조기퇴사", 2015년 8월 27일.
  79. 동아일보, 2016, "요양원은 돌봄, 병원은 치료...증상에 따라 특화서비스 해야", 2016년 3월 9일.
  80. 시사경제신문, 2016, "서울시, 감정노동자 인권향상 캠페인 실시", 2016년 5월 10일.
  81. 충북인뉴스, 2016, "적자운영 탓, 노인장기요양서비스'붕괴'", 2016년 10월 18일.
  82. Becker, T. E., 1992, "Foci and bases of commitment: Are they distinctions worth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1): 232-244. https://doi.org/10.5465/256481
  83. Bluedorn, A. C., 1982, "A unified model of turnover from organizations", Human Relations, 35(2): 135-153. https://doi.org/10.1177/001872678203500204
  84. Brotheridge, C. M., and Grandey, A. A., 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https://doi.org/10.1006/jvbe.2001.1815
  85. Brotheridge, C. M., and Lee, R. T., 2002,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57-67. https://doi.org/10.1037/1076-8998.7.1.57
  86. Gabriel, Y., and Griffiths, D. S., 2002, "Emotion, learning and organiz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9(5): 214-221. https://doi.org/10.1108/09696470210442169
  87.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88. Goleman, D., Boyatzis, R., and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Mas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89. Grandey, A. A., 2000,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https://doi.org/10.1037/1076-8998.5.1.95
  90. Green, D., 2007, "Risk and social work practice", Australian Social Work, 60(4): 395-409. https://doi.org/10.1080/03124070701671131
  91. Hater, J. J., and Bass, B. M., 1988, "Superiors' evaluations and subordinates' perceptions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3(4): 695-702. https://doi.org/10.1037/0021-9010.73.4.695
  92. Hersey, P., and Blanchard, K. H., 1982,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Utilizing Human Resourc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93.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4. Mor Barak, M. E., Nissly, J. A., and Levin, A., 2001, "Antecedents to retention and turnover among child welfare, social work, and other human service employees: What can we learn from past research? A review and metanalysis", Social Service Review, 75(4): 625-661. https://doi.org/10.1086/323166
  95. Pandey, A., Quick, J. C., Rossi, A. M., Nelson, D. L., and Martin, W., 2011, "Stress and the workplace: 10 years of science, 1997-2007", 200-217, in The Handbook of Stress Science: Biology, Psychology, and Health, edited by Contrada, R. J., and Baum, A., New York: Springer Pub.
  96. Rathi, N., Bhatnagar, D., and Mishra. S. K., 2013,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exhaustion and work attitudes among hospitality employees in India", Journal of Human Resources in Hospitality & Tourism, 12(3): 273-290. https://doi.org/10.1080/15332845.2013.769142
  97. Rizzo, J. R., House, R. J., and Lirtzman, S. I.,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2): 150-163. https://doi.org/10.2307/2391486
  98. Salovey, P., and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99. Tett, R. P., and Meyer, J. P., 1993,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46(2): 259-293.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3.tb00874.x
  100. United States General Accounting Office, 2003, "Child welfare: HHS could play a greater role in helping child welfare agencies recruit and retain staff", U.S. GAO, GAO-03-357.
  101. Weiss, H. M., and Cropanzano, R., 1996, "Affective events theory: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structur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ffective experiences at wor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8: 1-74.
  102. Wharton, A. S., 1993, "The affective consequences of service work", Work and Occupations, 20(2): 205-232. https://doi.org/10.1177/073088849302000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