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정기, 노은환. (2013). 증명에서 연역 체계 이해에 관한 연구. A-수학교육, 52(4), 549-565.
-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 권성룡. (2003).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C-초등수학교육, 7(2), 85-99.
- 김은미. (2010). 일차함수 문제 해결에서 나타난 일반화 행동과 정당화 유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김정하, & 강문봉. (2009).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9(3), 371-392.
- 김정하. (2010).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정하. (2011).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인식과 단계에 관한 실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417-435.
- 나귀수. (1998). 증명의 본질과 지도 실제의 분석 -중학교 기하단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나귀수. (1998). 증명의 수리철학적 분석과 지도 방향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지, 8(1), 351-364.
- 류희찬, & 조완영. (1999). 증명의 필요성 이해와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 활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9(2).
- 박귀희, 윤현경, 조지영, 정재훈, & 권오남.(2010). 중학생의 경험적 증명과 연역적 증명에 대한 선호 요인 분석. E-수학교육 논문집, 24(2), 325-344.
- 박은조, & 방정숙. (2005). 수학 교사들의 증명에 대한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1), 101-116.
- 서지수, 류성림. (2012). 수와 연산, 도형 영역에서 초등 3 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정당화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012(1), 135-149.
- 이경언. (2014). Harel 과 Sowder 의 증명스키마에 따른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정당화 유형 분석. 교육과학연구, 16(1), 57-80.
- 최남광. (2008). 중등수학영재아들이 공간기하과제 해결과정에서 보여주는 정당화 유형과 수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Chazan, D. (1993). High school geometry students’ justification for their views of empirical evidence and mathematical pro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4(4), 359-387 https://doi.org/10.1007/BF01273371
- Dictionary, M. W. (2006). The Merriam-Webster Dictionary. Merriam-Webster, Incorporated
- Harel, G., & Sowder, L. (1998). Students' proof schemes: Results from exploratory studies. Research in collegiate mathematics education III, 234-283.
- Harel, G. (2002).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Induction as a Proof Scheme: A Model for DNR-Based Instruction'23. Learning and teaching number theory: Research in cognition and instruction, 2, 185.
- Harel, G., & Sowder, L. (2007). Toward comprehensive perspectives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proof.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2, 805-842.
- Heinze, A., & Reiss, K. (2009). Developing argumentation and proof competencie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proof across the grades: AK-16 Perspective, 203, 191-203.
- Healy, L, & Hoyles, C. (2000). A study of proof conceptions in algebr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 396-428 https://doi.org/10.2307/749651
- Herbst, P. G. (2002). Engaging students in proving: A double bind on the teacher.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76-203.
- Housman, D., & Porter, M. (2003). Proof schemes and learning strategies of above-average mathematics student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3(2), 139-158. https://doi.org/10.1023/A:1025541416693
- Knuth, E., Choppin, J., & Bieda, K. (2009). Middle school students' production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s.
- Maher, C. A. (2005). How students structure their investigations and learn mathematics: Insights from a long-term study.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4(1), 1-14. https://doi.org/10.1016/j.jmathb.2004.12.006
- NCTM, P. (2000).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 Rodriguez, A. V. R. (2006, November). Ways of reasoning and types of proofs that mathematics teachers show in technology-enhanced instruction. In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 891).
- Sowder, L., & Harel, G. (2003). Case studies of mathematics majors' proof understanding, production, and appreciation. Canadian Journal of Math,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3(2), 251-267. https://doi.org/10.1080/14926150309556563
- Sowder, L., & Harel, G. (1998). Types of students' justifications. The Mathematics Teacher, 91(8), 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