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erformance Determinants of ODA in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직업능력개발 ODA사업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

  • 이상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학습병행대학) ;
  • 강봉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 이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Received : 2017.03.17
  • Accepted : 2017.03.30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For analyzing the performance determinants of ODA projects in a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is research analyzed the performance determinants of effectiveness representing the direct benefit and impact representing the long-term development effects of ODA project using FsQCA. As a result, the effectiveness of ODA project is achieved when relevance, sustainability and impact are high, or relevance, impact and efficiency are high. The impact of ODA project is achieved when relevanc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are high, or relevanc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re high. Two solutions for achieving effectiveness and two solutions for achieving impact show equifinality. The core factors for achieving effectiveness are relevance and impact, and the core factors for achieving impact are relevance and effectiveness. Also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are substitutability. A single causal variable can not have an effect on the ODA performance, but combined more than three causal variables can have an effect on the ODA performance. Therefore this research verified that collectives of causal variables rather than single causal variable should be considered to achieve the performance of ODA project in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본 연구에서는 ODA로 수행한 직업능력개발 사업의 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도상국에서 수행한 설문결과를 가지고 FsQCA를 적용하여 사업의 중장기목표 달성정도를 나타내는 효과성과 단기목표 달성정도를 나타내는 영향력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의 효과성이 높기 위해서는 두 개의 해법이 존재하는데, 적합성, 지속가능성 및 영향력이 높거나 또는 적합성, 영향력 및 효율성이 높은 경우에 달성된다. 둘째, 사업의 영향력이 높기 위해서는 두 개의 해법이 존재하는데, 적합성, 지속가능성 및 효과성이 높거나 또는 적합성, 효과성 및 효율성이 높은 경우에 달성된다. 셋째, 효과성의 두 해법과 영향력의 두 해법은 등결과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효과성 분석에서는 적합성과 영향력이 핵심요소이며, 영향력 분석에서는 적합성과 효과성이 핵심요소로 나타났고, 지속가능성과 효율성은 상호 대체가능한 주변요소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는 단독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셋 이상의 원인변수가 결합해서 영향을 줌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원인변수 단독보다는 원인변수의 집합을 고려해서 사업을 수행해야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출입은행 경제협력본부, 숫자로 보는 ODA-2016 세계 ODA 통계자료집, 2016.
  2. 한국국제협력단, 2015 KOICA-대외무상원조실적 통계, 2016.
  3. 대외경제협력기금, 2015 EDCF 연차보고서, 2016.
  4. 김진희, 한국의 교육개발협력사업 성과평가 모형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5. 김은미, 김지영, 김지현, 조혜림, 선진원조기관의 DAC 권고사항 및 평가지표 적용 현황과 KOICA 의 대응방향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10.
  6. OECD DAC, DAC Principles for Evaluation of Development Assistance, 1991.
  7. OECD DAC, DAC Criteria for Evaluating Development Assistance, 1991.
  8. OECD DAC, Results Based Management in the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ies: a Review of Experience, 2001.
  9. OECD, Measuring and Managing Results in Development Co-Operation-a Review of Challenges and Practices among DAC Members and Observers, 2014.
  10. 대외경제협력기금, EDCF 평가매뉴얼, 2011.
  11. 한국국제협력단, 2015년 평가연보, 2016.
  12. 조윤성, 홍아정, "국내 중소기업 인적자원개발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8권, 제3호, pp.97-118, 2016.
  13. 안경애, 강봉준, 이재원, "DEA를 활용한 직업능력개발 공공서비스의 효율성 분석-충남 지역맞춤형일자리창출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pp.316-326,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316
  14. 이영민, "가중치 분석을 적용한 지역공동형 훈련성과 평가지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4, pp.160-16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60
  15. 정란, 직업훈련의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훈련참여자 및 훈련기관의 특성과 훈련기관의 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6. 고용노동부, 2017년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시행지침, 2016.
  17. C. Ragin, Fuzzy-Set Social Scie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18. P. C. Fiss, "A Set-Theoretic Approach to Organizational Configur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2, No.4, pp.1180-1198, 2007. https://doi.org/10.5465/AMR.2007.26586092
  19. C. Ragin, Redesigning Social Inquiry: Fuzzy Set and Beyo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
  20. C. Ragin, User's Guide to Fuzzy-Set /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2008.
  21. 김춘순, 권기헌, 이종구,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활용한 의회예산제도 영향요인의 탐색,"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9, No.1, pp.87-111, 2015.
  22. David S. Bedford, Teemu Malmi and Mikko Sandelin, "Management Control Effectiveness and Strategy: An Empirical Analysis of Packages and System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Vol.51, pp.12-28, 2016. https://doi.org/10.1016/j.aos.2016.04.002
  23. 김진영, 윤승정, 김민용, "모바일서비스의 양면시장 성공요인에 관한 질적 비교분석," 인터넷 전자상거래연구, Vol.14, No.4, pp.101-128, 2014.
  24. 최영출, "사회적 기업의 성공요인 연구-FSQCA(퍼지집합 질적비교 방법)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7권, 제1호, pp.43-60, 2013.
  25. 양고운, 박형준, "지방정부 간 자율적 행정구역 통합의 성공요인 탐색," 한국지방 자치학회보, Vol.25, No.1, pp.91-116, 2013.
  26. 최영준, "사회과학에서 퍼지셋 활용의 모색," 정부학연구, 제15권, 제3호, pp.307-336, 2009.
  27. 조욱연, "생활체육정책 유형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pp.457-46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457
  28. David S. Bedford and Mikko Sandelin, "Investigating Management Control Configurations Using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An Overview and Guidelines for Application," Journal of management control, Vol.26, pp.5-26, 2015. https://doi.org/10.1007/s00187-015-02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