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ssociation of Social Networks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Depending on Self-rated Health Statu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Welfare Services for Elderly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의료기관 이용 간의 관련성: 노인복지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문성제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정책관리학 전공,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
  • 손민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정책관리학 전공,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
  • 윤희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정책관리학 전공,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
  • 최만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보건정책관리학 전공,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 Received : 2017.01.18
  • Accepted : 2017.02.21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social networks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depending o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also to measure the moderating effects of welfare services for elderly. To this purpose,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2014 National Survey on Elderly in Korea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Poisson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al networks and elderly welfare services affected to medical care utiliz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only who aware of their self-rated health status as bad. With this group,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and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medical care utilization. In contrast,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neighbors and the participa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were significant to reduce the utilization of medical care.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elderly welfare services were also measured that formal social gathering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by expansion of their social networ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sequently has an implication for suggesting expansion of elderly welfare services, which might be an alternative to social networks of elderly living alone, and also for seeking the direction of political intervention that helps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through the research of medical care utilization.

본 연구는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의료기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노인복지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인실태조사자료(2014) 중 독거노인 2,34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및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 확대 및 노인복지서비스 참여는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독거노인들의 의료기관 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독거노인들의 경우, 가족과의 왕래 및 평생교육 참여로 인해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감소하였으며, 이웃과의 왕래가 증가하거나 노인일자리사업을 신청할 경우 의료기관 이용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노인복지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친목시설 및 단체에 참여한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이 확대 될수록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대체할 수 있는 노인복지서비스 확대를 제시하고, 의료이용 실태 파악을 통하여 실질적인 건강유지증진 및 예방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http://kostat.go.kr/, 2015.
  2. 유광수, 박현선,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제23권, 제4호, pp.163-179, 2003.
  3. 김정아, 정승교, "일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 한국노년학, 제17권, 제3호, pp.144-176, 1997.
  4. 한혜경, 이유리,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pp.805-822, 2009.
  5. 강수균, 구향숙, 김정모, 박경규, 전영숙, 최경희, 박선희,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2권, 제2호, pp.53-72, 2003.
  6. 전해숙, 강상경, "연소노인과 고령노인 간 의료서비스 이용 예측요인의 연령차: 고령화 사회의 의료서비스에 주는 함의,"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1호, pp.28-57, 2012.
  7. 이미진,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종단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1호, pp.201-223, 2009.
  8. R. D. Putnam,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Vol.6, No.1, pp.65-78, 1995. https://doi.org/10.1353/jod.1995.0002
  9. C. F. Mendes de Leon, T. A. Glass, L. A. Beckett, T. E. Seeman, D. A. Ecans, and L. F. Berkman, "Social networks and disability transitions across eight intervals of yearly data in the new heaven EPESE,"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54, No.3, pp.162-172, 1999.
  10. C. Deri, "Social networks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Vol.24, No.6, pp.1076-1107, 2005. https://doi.org/10.1016/j.jhealeco.2005.03.008
  11. 임소영, 강민아, 조성일,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집단별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9권, 제20호, pp.281-308, 2013.
  12. 장유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3권, 제2호, pp.261-289, 2011.
  13. 조경순, 이현주, "일부지역사회 노인들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4호, pp.641-653, 2000.
  14. 김진구, "노인의 의료이용과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39권, pp.273-302, 2008.
  15. 강상경, "노년기 외래의료서비스 이용 궤적 및 예측 요인: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제62권, 제3호, pp.83-108, 2010.
  16. A. Laporte, E. Nauenberg, and L. Shen, "Aging, social capital,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Canada," Health Economics, Policy, and Law, Vol.3, pp.393-411, 2008.
  17. 김도영,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pp.329-369, 2015.
  18. 전보영, 권순만, 이혜재, 김홍수, "장애노인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31권, 제1호, pp.171-188, 2011.
  19. Y. Jang, G. Kim, and D. A. Chiriboga, "Health, Healthcar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Services: Barriers and Facilitators for Oler Korean America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3, No.9, pp.1613-1617, 2005.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5.53518.x
  20. S. H. Kang, N. T. Wallace, J. K. Hyun, A. Morris, J. Coffman, and J. R. Bloom, "Social networks and their relationship to mental health service use and expenditures among Medicaid beneficiaries," Psychiatric Services, Vol.58, No.5, pp.689-695, 2007. https://doi.org/10.1176/ps.2007.58.5.689
  21. G. L. Cafferata, "Marital Status, Living Arrangements, and the Use of Health Services by Elderly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Vol.42, No.6, pp.613-618, 1987. https://doi.org/10.1093/geronj/42.6.613
  22. P. K. Maulik, W. W. Eaton, and C. P. Bradshaw, "The role of social network and support in mental health service use: findings from the baltimore ECA study," Psychiatric Services, Vol.60, No.9, pp.1222-1229, 2009. https://doi.org/10.1176/ps.2009.60.9.1222
  23. V. O. Lasebikan, E. T. Owoaje, and M. C. Asuzu, "Social network as a determinant of pathway to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among psychotic patients in a Nigerian hospital," Annals of African Medicine, Vol.11, No.1, pp.12-20, 2012. https://doi.org/10.4103/1596-3519.91010
  24. I. Kawachi, B. P. Kennedy, and R. Glass, "Social capital and self-rated health: a contextual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89, No.8, pp.1187-1193, 1999. https://doi.org/10.2105/AJPH.89.8.1187
  25. 현영섭, "평생학습과 건강의 관계에 대한 경제적 수준의 상호작용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제16권, 제1호, pp.59-78, 2014.
  26. OECD, Measuring the effects of education on health and civic engagement, Paris: OECD, 2006.
  27. 임재영, 이석원, "노인일자리사업의 의료비 절감효과에 관한 연구,"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4권, 제1호, pp.75-102, 2008.
  28. 김영선, 강은나, "노인일자리 사업의 건강 효과성 분석: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5권, 제3호, pp.419-435, 2011.
  29. 백옥미,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결정요인: 앤더슨모델의 적용,"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제38권, pp.1-2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