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mentic Analysis of PDA (Paralinguistic Digital Affordances) in Social Media :Focusing on College Student

소셜미디어의 디지털 준언어 행동유도(PDA : Paralinguistic Digital Affordances) 의미 해석: 대학생을 중심으로

  • 차영란 (수원대학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7.01.31
  • Accepted : 2017.03.22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s PDA (Paralingustic Digital Affordances) in the social media on the basis of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he study defines PDA as Likes in Facebook and Instagram and Favorites in Twitter. The study inquiries into the motivation of using PDA and interpretational way when Social media users play a role of a sender or a receiver.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focus group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36 college student in the Korea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using PDA by applying structured theory frame of Uses and Gratification. As a result, it contributes to more satisfactions when PDA users interact each other as a sender and a receiver than mere verbal-communication. Furthermore, PDA in each social media has different meaning and gravity. For instance, Likes in Instagram is considered less important and lighter than Likes in Facebook. Moreover, people use the PDA without any restriction. People favorably use PDA most of the time, but sometimes they use in contradictory or sarcastic way.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이론(Uses and Gratification, U&G)을 통해 소셜 미디어에서의 디지털 준언어 행동유도(PDA : Paralinguistic Digital Affordances)의미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PDA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의 '좋아요'(Like)나 트위터의 '즐겨찾기'(Favorites)처럼 동일한 행동과 의미는 아니지만 그것을 누르는 행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왜 사람들은 PDA를 사용하며, 송신자일 때와 수신자일 때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이용과 충족 프레임 안에서, 반 구조화된 이론을 적용하여 PDA의 이용 동기와 만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DA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송신자와 수신자로서 접촉할 때 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이상으로 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SNS 종류에 따라 PDA가 갖는 의미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스타그램의 '좋아요'는 페이스북의 '좋아요' 보다 더 가볍고 의미 없게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DA를 사용함에 있어서 대부분 아주 부담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PDA를 충실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때로는 모순되게 사용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C. T. Carr and R. A. Hayes, "Social media: Defining, developing and divining," Atlantic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3, pp.46-65, 2015. https://doi.org/10.1080/15456870.2015.972282
  2. Pew Research Internet Project, Social media networking fact sheet. Internet & Tech, (2014, January).
  3.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요약 보고서,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4. E. Katz, M. Gurevitch, and H. Hass, "On the use of the media for important thing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8, No.2, pp.164-181, 1973. https://doi.org/10.2307/2094393
  5. D. Boyd and N. B. Ellison,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3, No.1, pp.210-230, 2007.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93.x
  6. 김헌, 백미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형별 분류 에 따른 웹 인터페이스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6권, 제1호, pp.80-93, 2010.
  7. 차영란, "정부정책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SNS활용 PR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103-11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103
  8. E. Katz, J. G. GBlumer, and M. Gurevitch, Utilization of mass communication by the individual,"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 : Current Perspectives on Cratification Research. Beverly Hill, CA: Sage Pub. 1974.
  9. 김위근, 최민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제60호, pp.150-171, 2012.
  10.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교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1호, pp.5-32, 2013.
  11. http://newroom.fb.com/company-info
  12. 김준호, 은혜정, "인맥연결형 네트워크 유형에 대한 사례분석 : 싸이월드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8권, 제4호, pp.5-47, 2011.
  13.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0권, pp.71-105, 2011.
  14. 이호규, "페이스북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적 시론: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대한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8권, 제4호, pp.129-170, 2011.
  15. 트위터 제친 인스타그램 -월간 사용자 3억명 돌파, 한국경제, (2014.12.12.).
  16. http://blog.instagram.com/post/146255204757/160621-news
  17. 최슬아, 홍미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만족도를 위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40호, pp.423-442, 2015. http://dx.doi.org/10.7230/KOSCAS.2015.40.423
  18. W. H. S. Tsai and L. R. Men, "Motivations and antecedents of consumer engagement with brand pages on social networking sites,"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13, No.2, pp.76-87, 2013. https://doi.org/10.1080/15252019.2013.826549
  19. 김현희, 범기수, "기업 페이스북 이용동기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100권, pp.5-33, 2014.
  20. 김린아, 한은경,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 동기가 이용 만족과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111호, pp.5-38, 2016.
  21. 김혜빈, "인스타그램 이용자 성격이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끼치는 영향," 제16권, 제6호, pp.450-46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450
  22. 김희연, 오주현, "국내의 SNS의 현황과 사회적 의미," 통신정책동향, 제24권, 제12호, pp.19-42, 2012.
  23. 이기석 외, "트위터 이용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1043-1050, 2011.
  24. 이채이, 김연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몰입이 이용저하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0권, 제2호, pp.209-237, 2013.
  25. A. S. Berger, Media research technique, Thousand Oaks, Califonia: Sage Publication, 1998.
  26. R. A. Hayes, C. T. Carr, and D. Y. Wohn, "One Click, Many Meanings: Interpreting Paralinguistic Digital Affordances in Social Media,"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60, No.1, pp171-187, 2016. https://doi.org/10.1080/08838151.2015.1127248
  27. C. Y. Lai and H. L. Yang,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Facebook feature use, New Media & Society. 2011.
  28. R. LaRose, "The problem of media habits. Communication Theory," Vol.20, pp.194-222, 2010. https://doi.org/10.1111/j.1468-2885.2010.01360.x
  29. N. B. Ellison, C. Steinfield, and C. Lampe,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2, pp.1143-1168, 2007.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6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