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ion of the conditions of operating mathematics i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수업의 운영 상태에 관한 탐색

  • Received : 2017.04.19
  • Accepted : 2017.04.27
  • Published : 2017.05.15

Abstract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operation and management of instruction in school field be affected by the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s of instruction provided by teachers while expecting to be adjusted the curriculum with respect to the consideration given to individual student needs and regional specialization by focusing on the subject of mathematics.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nd expect how well mathematics instruction would be being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the curriculum. Furthermore, while reflecting the experimental result on teachers' opinions of the previous curriculum,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s and supporting plans so that at the teacher level the curriculum might be successfully implemented.

우리나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 문서는 그간 오랫동안 권위적이면서도 추상적인 내용을 담아왔으며, 교육과정 문서 내용은 학교 및 교사에 의해 구체적으로 효율적으로 실천, 운영되지 못하여 왔는데, 이는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 개인적 요구, 교사의 적절한 역할, 지역 특성화 등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운영이 조정되기를 기대하면서 교사에 의해 전개되는 수업의 실제 상황을 탐색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이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더욱이, (예전의)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들의 설문 및 면담 의견의 실험 결과를 회고하며,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이 교사 수준(단위)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계획을 지원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교사들은 학습자의 성취 정도와 관심과 태도에 기초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진정한 의미와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다음, 교사들은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의 구분을 혼란스러워하는데, 비록 일부 교사들이 교과서는 교육과정 문서에 기초한 것임을 알고 있더라도, 이 사실에 대해 별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라면 기본적으로 교과서와 교육과정 문서의 차이점을 올바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교사들은 교사 교육을 통해 수학 교사로서 전문성이 강화, 향상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사들의 행정적 책임과 의무를 줄여야 할 것이며, 교사들이 협력적으로 그들의 작업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도록 교과 운영실을 제공하고 아울러 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업 도구가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N. S., Yang, J. M., You, J. A., Chung, M. K., and Jang, Y. J (2001).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School Education-Strategies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Classroom Teaching.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 Danielson, C. (1997). A collection of Performance Tasks and Rubrics: Middle School Mathematics. Larchmont, NY: Eye On Education, Inc..
  3. Huh, K. C., Lee, K. N., Park, S. K., Lee, K. W., Na, G. S., Shon, M., and Lee, H. Y (2003).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n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System.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4. Ina V.S. Mullis, Michael, O. M., Eugenio, J. G., Kelvin, D. G., Robert, A. G., Kathleen, M. O'Connor, Steven, J. C., and Teresa, A. S. (2000). Findings from IEA's Repeat of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Eighth Grade. Chestnut Hill, MA : The International Study Center.
  5. The Ministry of Education (1992). The Sixth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Daehan Printing and Publishing Co, Ltd..
  6.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Daehan Printing and Publishing Co, Ltd..
  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Mathematics Assessment. In J . K. Stenmark(ed.) Reston, VA: Author.
  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9. So, K. H., Chae, S. H., and Chung, M. K. (2000). An Investigation on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on School Curriculum and Educational Evaluati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0. Sung, K. H., Jeong, K. H., Kang, D. H., Choe, S. H., Kwak, Y. S., Choi, J. H., and Lee, M. Y. (2003). A Study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Differentiated Curriculum Subjects.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