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PS 제도 하에서의 태양광발전 연계형 배터리시스템 수익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The Profitability Analysis of BESS Installation with PV Generation under RPS

  • 투고 : 2017.08.31
  • 심사 : 2017.10.13
  • 발행 : 2017.12.31

초록

2012년 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 제도가 시행된 이래, 태양광 및 풍력 등의 신재생 전원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져 왔고, 최근에 정부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의 신재생설비 연계설치에 대한 정책을 도입하여 신재생설비가 전원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게끔 유도하고 있다. 정책입안자 입장에서 변화하는 전력산업 환경을 수급관점에서 고려하기 위해서는 개별 정책효과 분석을 단순화하는 방법론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단계로 시작한 태양광발전 연계형 배터리시스템 정책 분석을 위해 국내 태양광 발전 실적을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량 분포를 일간이용률 지속곡선 형태로 제안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 BESS 용량을 산출하는 방식을 통해 분석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의 방식을 통해 System Marginal Price(SMP) 및 REC 변화에 따른 BESS의 적정용량 범위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으며, 신재생정책 입안자 입장에서 정책효과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 이용할 수 있다. 현행 연계형 BESS 지원정책은 투자유인 제공이 부분적으로 가능하나, 설치 시점의 SMP 및 REC 가격에 영향을 받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 REC 가격 상승과 감소에 따라서 시기별 최적용량이 바뀌어 설치비율이 계속 달라질 수 있어 정책변화에 의해 기술의 적용이 달라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향후 제도개선을 모색할 경우에는 연계형 BESS 가치평가시, 신재생전원과의 BESS의 발전량 분할로 인해 발생하는 정책지원에 대한 기술 의존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는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Since South Korea started to apply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in 2012, there have been huge investment for deploying renewable technologies. Recently, the government determined to incentiviz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BESS) with renewable generations in order to induce the improvement of dispatching capability. In this paper, the annual pattern of PV generation based on actual generation data in South Korea is analyzed and the duration curve of capacity factor is proposed in order to provide the simplified analyzing methodology of present support policy for additional BESS installation for decision maker who is responsible for supply and demand planning. With suggested methodology, the range of appropriate BESS size with respect to the variation of system marginal price(SMP) and renewable energy certificate(REC) price can be derived briefly, and decision makers easily evaluate the effect of support scheme. Current policy for BESS installation support present additional BESS-related installation policy may give incentives to developers partially, however, the dependence between BESS size and benefit components (SMP and REC) can limit the deployment of the various portfolios of the BESS. Therefore, when improving the current policy in future, addressing the dependence between the technical aspects of battery size and the benefit components separately by the technical and economical parts is needed to set the suitable compensation rules for the renewable generation and BESS.

키워드

참고문헌

  1. 윤철산 외, 2014, "ESS 부가설치형 RPS 가중치 산정에 관한 연구".
  2. Bass, Robert B., et al., 2016, "Determining the power and energy capacities of a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to accommodate high photovoltaic penetration on a distribution feeder." IEEE Power and Energy Technology Systems Journal 3.3 : 119-127. https://doi.org/10.1109/JPETS.2016.2586072
  3. Jackson, Tara M., Geoffrey R. Walker, and Nadarajah Mithulananthan., 2014, "Integrating PV systems into distribution networks with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Power Engineering Conference (AUPEC), 2014 Australasian Universities. IEEE.
  4. 이원구 외, 2016, "온실가스감축효과를 고려한 태양광 연계형 에너지저장장치(ESS)보급 전략에 대한 연구", 에너지공학회논문지.
  5. 산업통상자원부, 2016,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및 연료 혼합의무화제도 관리.운영지침- <별표 2> 신.재생에너지원별 가중치"
  6. Chen, Changsong, et al., 2011, "Optimal allocation and economic analysis of energy storage system in microgrid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26.10 : 2762-2773. https://doi.org/10.1109/TPEL.2011.2116808
  7. Hemmati, Reza, Hedayat Saboori, and Mehdi Ahmadi Jirdehi., 2016, "Multistage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incorporating large scale energy storage system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newable Energy 97 : 636-645. https://doi.org/10.1016/j.renene.2016.06.020
  8. 이정민, 한석우., 2016,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에너지 저장장치 (ESS) 의 기술." 조명.전기설비 30.5 : 27-34.
  9. 전력거래소, 2003, "전력거래용어 해설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