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layback Theatre, the Improvisational Theatre based on Storytelling

Storytelling을 기반으로 한 즉흥연극, 플레이백 씨어터(Playback Theatre) 연구

  • 정성희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과)
  • Received : 2017.02.13
  • Accepted : 2017.04.12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storytelling with characteristics of the Playback Theatre, which is an improvisational play. On one side, the Playback Theatre, invented by Jonathan Fox in 1975, is an improvisational and communication-based theatre format; and it usually brings in the storytelling of audiences and often entails no play script. On the other side, storytelling requires imagination and creativity; presupposes the sympathy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 fact, this theatre format is utilizing the educational and healing effects of verbal cultures, group sacrificial ceremonies, and/or psychodrama; and it is contextualizing them in our modern society. The Playback Theatre provides the audiences with opportunities to share their own stories within the play itself. The actors first listen to the stories of audiences; and then make them into a play impromptu, right in front of the speaker(s) and other audiences. For this very reason, it is called a "play-back". In this process, the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re invited to experience the educational and healing effects.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플레이백 씨어터(Playback Theatre)'를 즉흥연극과 비교 분석하면서 특징과 가치를 논하고 있다. 1975년 죠나단 팍스에 의해 창안된 플레이백 씨어터는 대본 없이 관객의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구성되는 상호소통적인 즉흥연극 형식이다. 스토리텔링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요구하며, 화자와 청자의 공감을 전제로 하고, 타인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중요시한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의 가치를 근거로 즉흥연극과 구술문화의 현장성, 사이코드라마의 교육적 치유적 가치를 오늘날에 맞게 재창조한 연극 형식이다. 플레이백 씨어터는 관객에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연극형식 속에서 제공하며, 배우들은 관객의 이야기를 듣고, 들은 이야기를 즉흥적으로 연기하여 화자와 관객에게 다시 보여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플레이백(play-back)'이다. 이 과정에서 개인과 공동체는 교육적 치유적 효과를 경험하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 Dewey, Art as Experience, New York: The Berkley Publishing Group, 1934.
  2. 박호영, "1960년대의 실험극 연기 메소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184-19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1.184
  3. 정성희, 교육연극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6.
  4. 최시한, "스토리텔링 교육의 방법 모색: 스토리와 그 '처음상황' 설정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4권, pp.419-437, 2010.
  5. 신동흔, "현대의 여가생활과 이야기의 자리," 실천민속학연구, 제13권, pp.5-34, 2009.
  6. 박혜란, "진짜로 사는 시간_구비문학연구가 신동흔 교수가 말하는 옛이야기의 힘2," 월간 샘터, 제 10권, pp.78-82, 2013.
  7. 송정란,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실제, 문학아카데미, 2006.
  8. 엄명자, 강현석, "스토리텔링을 통한 감성교육 프로그램 구안 방향 탐구: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pp.113-127, 2013.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1.113
  9. 마가렛 크로이든, 20세기 실험극, 송혜숙 옮김, 현대미학사, 1994.
  10. 박서연, 송낙원, "즉흥연기의 이론과 방법론 연구," 영상기술연구, 제23권, pp.121-139, 2015.
  11. J. Fox, Acts of Service: Spontaneity, Commitment, Tradition in the Nonscripted Theatre, New York: Tusitala Publishing, 1986.
  12. P. Salovey and J. D. Mayer,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Vol.9, No.2, 1990.
  13. 권순관, 이종선, "스토리필링(StoryFeeling)을 적용한 과학-디자인 융합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 디자인융합연구, 제38권, pp.236-253, 2013.
  14. 이지영, 정서 조절 코칭북, 시그마프레스, 2011.
  15. J. Salas, Improvising real life: personal story in playback theatre, New York: Tusitala Publishing,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