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Abuse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Adolescents

부모의 방임 및 학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7.01.03
  • Accepted : 2017.02.02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is study was examin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abuse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adolescents. For this research, this study used the 4th-year data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4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and analyzed 2,092 1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efficien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analys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study used sobel 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neglect and abuse negatively effected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adolescents' ego resili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adolescents' ego resili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buse and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me, school, and local community need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ego resilience of adolescents, who are suffering from parental neglect and abuse, for school life adjustment.

본 연구는 부모의 방임 및 학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사이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 4패널 4차년도 중학교 1학년 2,09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계, Pearson 상관계수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방임 및 학대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방임과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은 학교생활적응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의 방임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대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의 방임과 학대를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는 부모의 방임과 학대를 감소시키고,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옥분, 곽경화, "배려 지향적 도덕성과 정의 지향적 도덕성에 관한 연구 : 성과 성역할 정체감 및 연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20, 2003.
  2. 김웅수, 주석진, "도시와 농촌지역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11호, pp.183-203, 2010.
  3. http://kess.kedi.re.kr/post/6650351?item
  4. 윤철경, 서정아, 유성렬, 조아미,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과 중단 후 경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1 데이터 분석 보고서,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 보고서, 2014.
  5. A. A. Hane, C. Cheah, K. H. Rubin, and N. A. Fox, "The role of maternal behavior in the relation between shyness and social reticence in early childhood and social withdrawal in middle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Vol.17, No.4, pp.795-811, 2008.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8.00481.x
  6. M. B. Spencer,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focused cultural ecological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4, pp.43-57, 1999.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401_4
  7. 구본용,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완벽주의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8권, 제2호, pp.707-718, 2007.
  8. 송진영, 박민자,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43 권, pp.57-84, 2015.
  9. 이예진, "전환기 청소년의 개인특성, 또래애착 및 부모양육행동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제52권, 제5호, pp.519-528, 2014.
  10. 송선미, 권순용, "청소년의 외모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1권, 제1호, pp.93-115, 2014.
  11. 안지연, 손영은, 남석인,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2호, pp.261-284, 2014.
  12. 박기원,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제5권, 제1호, pp.1-15, 2014.
  13. 박현영, 강승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애착, 학교생활적응 행동,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구조,"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43-55, 2011.
  14. 문은식,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또래 애착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구조적 관계," 인간 발달연구, 제21권, 제2호, pp.23-36, 2012.
  15. 홍미, 김효진, "아동학대 및 방임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28권, pp.47-59, 2007.
  16. 김나연,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하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 이충권, 양혜린, "청소년의 학대, 방임 경험이 정서문제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문제와 또래관계 간 상호인과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7권, 제1호, pp.261-285, 2015.
  18. 김재엽, 장용언, 이승준, "부모로부터의 방임.정서학대 및 신체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 가해경험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제25권, 제25호, pp.157-183, 2013.
  19. E. C.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5, pp.1067-1079,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20. S. S, Luthar, D. Cicchett, andi B. Becker,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Vol.71, No.3, pp.543-562, 2000. https://doi.org/10.1111/1467-8624.00164
  21. 지명원, 이주연, "정서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49-263, 2012.
  22. 김혜진, 서경현, "중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삶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6호, pp.297-316, 2016.
  23. 전원희, 조명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6권, 제6호, pp.739-74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739
  24. 강진숙, 이경남,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제19권, 제1호, pp.321-342, 2015.
  25. 이조경, 백순희, "학대피해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102-11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102
  26. 강명희, 이수연,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6호, pp.265-293, 2013.
  27. 성순옥, 박미단, 김영희,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8호, pp.49-70, 2013.
  28. 서인균, 이연실, "청소년기 학대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 학교사회복지학회, 제34호, pp.45-68, 2016.
  29. 송진영, 박용순, 염철기, 최성숙, "부모의 청소년 학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폰의존도와 인터넷이용빈도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0권, pp.57-85, 2015.
  30. 이시연, "청소년이 지각한 학대와 학교생활간 관계: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제22권, 제2호, pp.401-420, 2014.
  31. 이윤아, 최진아, "부모의 학대,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제52권, 제3호, pp.331-339, 2015.
  32. 송순만, 백진아,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성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14권, 제10호, pp.327-337,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0.327
  33. http://korea1391.go.kr/new/bbs/board.php?bo_table
  34.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35. 김세원,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6.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37. 권지은,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8.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3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0.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82.
  41. 최미혜, "부모의 방임.학대 양육방식이 청소년기 자녀의 학교적응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7권, 제2호, pp.59-92, 2016.
  42. 허세희, 청소년 방임과 또래애착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비저소득 가구와 저소득 가구 비교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43. 이혜영,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교정복지연구, 제37권, pp.89-119, 2015.
  44. 여지영, 박태영,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8호, pp.121-145,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