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eds Assessment of Applying Anger Management Program based on Professor-students Counseling Activity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 Group Interview in University Students

교수-학생 면담활동을 활용한 대학생의 분노관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도 조사: 대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적용

  • 전원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 조명주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 정안순 (경복대학교 간호학부)
  • Received : 2017.02.13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demand of applying an anger managemen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professor-student counseling activity. 2016, data was collected using fiv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e extracted the following 9 categories across 3 main themes: 1) Views on applying an anger management program based on professor-student counseling activity: required or not required; 2) Competence of the professor: trust, counseling expertise, and receptive attitude; and 3) Effective program management plans: separation from the advisor or reducing the role of the advisor, program composition and contents,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university, facilitating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counseling. In conclusion, enhancement can be achieved through an anger management program based on professor-student counseling activity by focusing efforts on increasing interact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improving the counseling competence of professors. Additionally,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university and steps to improve awareness in professors, students, and university authorities are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학생 면담활동을 활용한 대학생의 분노관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기술하기 위함이다. 2016년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5개의 그룹으로 구성된 3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였고, 질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3개의 주제에 대해 9개의 범주로 구조화되었다. 1) 교수-학생 면담활동을 활용한 대학생의 분노관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견해: 필요함, 필요하지 않음. 2)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교수의 역량: 신뢰, 유능성, 수용적 태도, 3)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지도교수와 분리 또는 지도교수의 역할 축소,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 학교의 지원, 상담환경의 조성으로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수-학생 상담 활동을 활용한 대학생 분노관리 프로그램 운영의 강화를 위해 먼저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의 향상을 위한 노력과 교수의 상담 전문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대학의 행정적 지원과 교수, 학생, 대학 당국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정숙, 이현, 안윤영, 유정선, 권선주, "국내 분노 조절 프로그램 연구 동향: 국내 학술논문 중심으로(1996-2008),"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제5권, 제1호, pp.1-22, 2010.
  2. 손연아, 손은령, "개인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상담 준비도와 상담서비스요구," 교육발전논총, 제33권, 제2호, pp.103-121, 2012.
  3. 백승혜, 현명호,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001-1017, 2008.
  4. 박영주, 유호신, 한금선, 권정혜, 김한겸, 조윤정, 강현철 천숙희, 윤지원, "학교기반 분노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1호, pp.145-156,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1.145
  5. 정주영, "지도교수와의 면담이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1권, 제4호, pp.95-114, 2013.
  6. 최보금, 조성희, "대학생의 교수-학생 및 동료학생간의 상호작용유형 변화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 분석," 교육학연구, 제52권, 제3호, pp.29-54, 2014.
  7. S. P. Gayathri, T. M. Y. Joanne, T. P. A. Jonas, T. Y. J. Jonas, and K. Naveen, "Anger management among medical undergraduate students and its impact on their mental health and curricular activities", Education research international, pp.1-6, 2016.
  8. 전원희, "대학생의 특성분노, 분노표현, 긍정적 사고 및 감사성향," 정신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pp.28-36, 2016.
  9. 김귀분, 신경림, 김소선, 유은광, 김남초, 박은숙, 김혜숙, 이경순, 김숙영, 서연옥, 질적 연구방법론, 현문사, 2000.
  10. 최영훈, 성민정, "대학생의 대학 생활 경험 요소를 바탕으로 한 대학에 대한 관계성 인식 탐색: 부산 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제26권, 제1호, pp.103-136, 2015.
  11. R. A. Krueger and M. A. Casey, Focus groups (3rd edition), Stage publication, 2000.
  12. S. Elo and H. Kynga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2, No.1, pp.107-115, 2008.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13. Y.S. Lincoln and E. Guba, Naturalistic inquire, Stage Publication, 1985.
  14. 송소원, 연문희, "집단상담: 대학생의 자기표현 향상 집단상담을 통한 변화 경험 질적 분석," 상담학연구, 제9권, 제4호, pp.1641-1773, 2008.
  15. 김정수, "대학생의 낙인,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 추구태도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391-40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391
  16. 이인경, 김장희, "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수 멘토링 교육과정의 효과," 상담학연구, 제12권, 제2호, pp.673-691, 2011.
  17. E. T. Pascarella and P. T. Terenzini,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A third decade of research, Jossey-Bass, 2005.
  18. 김은경,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성장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877-895, 2005.
  19. 최정윤, 이병식,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대학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 연구, 제27권, 제1호, pp.199-222, 2009.
  20. 배상훈, 강민수, 홍지인, "A대학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그 문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열린교육연구, 제24권, 제3호, pp.21-49, 2016.
  21. J. H. Hammer and D. L. Vogel, "Assessing the utility of the willingness/prototype model in predicting help-seeking decis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60, No.1, pp.83-97, 2013. https://doi.org/10.1037/a0030449
  22. 왕윤정, 서영석, "대학생이 인식하는 상담 받는 사람들에 대한 원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4호, pp.773-796, 2015.
  23. J. J. Schmidt, Counseling in schools: Essential services and comprehensive programs, Allyn & Bacon, 2003.
  24. 고윤주, 이은해, M. J. Mendelson,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친구관계 비교 연구: 친구의 지원, 갈등해결 방식 및 친구관계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5권, 제1호, pp.1-18, 2002.
  25. 김윤기, "Twitter 상에서 교수와 학생간의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특히 GIS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1호, pp.43-69, 2016.
  26. 백선숙, 하은호, 류언나, 송미승,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 제18권, 제4호, pp.257-163, 2012.
  27. 진은영, 소상섭, 이명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분노표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8호, pp.409-418,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8.409
  28. 정주리, 연규진, 양지웅, 김정기, "상담경험 유무에 따른 성별, 심리적 어려움, 상담관련 경험 및 태도가 대학생의 상담서비스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제24권, 제1호, pp.131-150, 2016.
  29. 김은희,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간의 관계: 교도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0. 김종운, 이지은, "대학생의 감사성향이 분노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 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제6호, pp.409-423, 2015.
  31. 김범선, 전윤경, 전진실, "대학생의 상담에 대한 태도," 인간이해, 제29권, pp.49-59,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