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iachronic Lexical Analysis of the North Korean English Textbooks

북한 영어 교과서 어휘의 통시적 분석

  • 김지영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학과) ;
  • 이제영 (세한대학교 영어교육과) ;
  • 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 Received : 2017.01.03
  • Accepted : 2017.02.05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English vocabulary of the North Korean textbooks diachronically using the constructed English textbook corpus. The North Korea English textbooks attained from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re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Kim Jong-Il era for the year of 1996 in which the curriculum revision has been conducted. They are stored as text files to analyse vocabularies using WordSmith Tools 7.0. The vocabulary size of the revised textbooks increased after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but the number of vocabulary types and vocabulary diversity decreased.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it was found that lots of vocabular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im Jong-Il system appeared as the keyword. It was also found that some vocabularies reflected the economic and social life of North Korea.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of the 100 high-frequency word list and key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vocabulary of the English textbooks of North Korea is gradually changing into communicative contents from contents related with written language.

본 연구는 북한의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의 시대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통시적인 관점에서 코퍼스 기반 어휘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통일부의 북한자료센터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의 중등학교 영어 교과서 중 1996년 교육과정이 적용된 시기를 기준으로 김정일 시대 이전과 이후의 교과서를 구분지어 코퍼스를 구축한 후, 워드스미스 툴스 7.0을 통해 해당 코퍼스를 분석하여 각 교과서들의 어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해당 교과서들의 어휘 규모는 개편 후의 교과서가 개편 전에 비해 증가했지만, 어휘 유형과 어휘 다양성은 감소하였다. 교육과정 개편 이전에 비해 개편 이후의 교과서에서 더 자주 등장하는 핵심어(keyword)를 분석한 결과 김정일 체제를 확고히 하기 위한 관련 이념 어휘와 북한의 경제 및 생활상을 반영하는 어휘들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빈도 어휘 100개 목록과 핵심어를 비교한 결과 북한의 영어 교과서의 어휘가 문법과 문어체 위주의 텍스트에서 조금씩 실질적인 의사소통과 관련된 구어체 내용이 증가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현진, 주형미, 문영주, 추병완, 석두영, 국가교육 과정개정 체제변화에 따른 교과서 정책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10-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2. 권이종, 최운실, 권두승, 이상오, 신 교육사회학 탐구, 교육과학사, 2004.
  3. 조정아, "섹션 1: 패널 1; 북한의 새로운 세대와 교육: 김정은시대 북한 교육정책 방향과 중등교육과정 개편," 세계북한학 학술대회 자료집, 제1권, pp.72-97, 2014.
  4. 조정아, 이교덕, 강호제, 정채관, 김정은시대 북한의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통일연구원 연구 총서, 통일연구원, 2015.
  5. 한만길, 북한에서는 어떻게 교육할까, 우리교육, 2001.
  6. 고성호, 권영경, 김정수, 이미경, 정은찬, 차문석, 최은석, 통일부, (2016) 북한 이해, 발간등록번호 11-1250054-00004-10, 통일교육원, 2015.
  7. 박약우, 박기화, 김진철, 고경석, 정국진, 북한 영어 교과서 분석, 한국문화사, 2001.
  8. 임중관, 박태선, 김창순, 안혜순, 영어: 고등중학교 2, 교육도서출판사, 2001.
  9. 김정원, 김지수, 한승대, "북한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한국교육, 제42권, 제4호, pp.29-55, 2015.
  10. 정채관, 민호기, 박용효, 김소연, 북한이탈고등학생 영어학습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탐색, RRI 2014-6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1. 박민제, "북한의 외국어교육: 러시아어에서 영어 위주로," 통일한국, 제112권, pp.102-105, 1993.
  12. 김남식, "북한의교육제도 : 북한영어교육 실태," 北韓, 제282호, pp.178-187, 1995.
  13. 이소영, "북한의 영어교과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개관 :1994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제28호, pp.83-109, 2014.
  14. 유명근, 북한 중학교 전학년 영어교과서 지문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08.
  15. 정소영, 북한 중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북한대학원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0.
  16. 이나리, 북한 영어교과서 분석 : 고등중학교 3.4.5학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 석사학위논문, 2011.
  17. 임지영, 북한 고등중학교 고학년 영어교과서 분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1.
  18. 배제이, 북한 영어교육 연구 : 2000년대의 변화를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1.
  19. 임중관, 신룡근, 박광원, 영어: 고등중학교 2, 교육도서출판사, 1996.
  20. 임중관, 량영준, 리수성, 영어: 고등중학교 3, 교육도서출판사, 1994.
  21. 저자 미상, 영어: 고등중학교 6, 교육도서출판사, 1995.
  22. 임중관, 리수성, 량영준, 영어: 고등중학교 3, 교육도서출판사, 2002.
  23. 신룡근, 영어: 중학교 5, 외국문도서출판사, 2008.
  24. 김정렬, 이동주, 전희철, 코퍼스언어학과 영어교육, 한국문화사, 2012.
  25. Y. Cameron, Teaching Languages to Young Learn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6. M. McCarthy, Vocabul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27. 유시은, 배형준, 조명숙, 김경희, 최영실, 탈북대학생 중도탈락 원인 및 대안,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