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of Fatigu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olice Officers

경찰공무원의 피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주재진 (동국대학교(경주) 행정경찰공공학과)
  • Received : 2017.01.11
  • Accepted : 2017.01.30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Although there have been continued researches on the effect of fatigue among organization members on organizations, there has been an absence of studies on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Saito(1999)'s whole questionnair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level of fatigue among police officers and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fatigu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atigue(mental fatigue and physical fatigue) of police officers and physical disharmony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eaning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the first study, which used Saito(1999)'s whole scal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police organization. This study also confirms the importance of fatigue management for organization managers. Second, from a perspective of organization management, this study implies that effort should be made to measure fatigue of police officers, who have 5 to 10 years of service and work as Senior patrol and sergeants and manage it actively on an organizational level,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their attitudes towards organizations.

이 연구는 그 동안 조직 구성원들의 피로도와 피로도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어 왔지만, Saito(1999)의 전체설문을 사용한 연구와 조직몰입의 하위변수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경찰공무원의 피로도 수준을 측정하고 피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경찰공무원의 피로도(정신적 피로, 육체적 피로, 신체적 부조화)를 독립변수로, 조직몰입(감정몰입, 지속몰입, 규범몰입)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관점에서 보면, 이 연구는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Saito(1999)의 전체 척도를 사용하고, 조직몰입의 하위변수와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연구로서 가치가 있다는 것이며, 조직 관리자에게 피로도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이다. 둘째, 더 나아가 조직관리 관점에서 보면, 경찰조직의 근간을 이루는 재직기간이 5-10년이며, 계급이 경장과 경사인 경찰공무원들의 피로도를 조직차원에서 측정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과, 이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조직에 대한 태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주재진,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42, pp.223-256, 2012.
  2. R. G. Pearson, "Scale analysis of fatigue checklis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41, No.3, pp.186-191, 1957. https://doi.org/10.1037/h0045095
  3. K. Saito, "Measurement of Fatigue in Industries," Industrial Health, Vol.37, pp.134-142, 1999. https://doi.org/10.2486/indhealth.37.134
  4. D. E. Parker and T. A. Decotiis, "Organizational Determina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32, pp.160-177, 1983. https://doi.org/10.1016/0030-5073(83)90145-9
  5. 정우일, 경찰공무원의 피로 수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 박병두, 경찰공무원의 피로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7. D. A. Mattews, P. Manus, and T. J. Lan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American Journal of The Medical Sciences, Vol.302, pp.269-277, 1991. https://doi.org/10.1097/00000441-199111000-00002
  8. 장세진, "피로", 대한예방의학회 (편저), 건강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계축문화사, pp.144-181, 2000.
  9. T. Chalder, G. Berelowitz, T. Pawlikowska, T. Chalder, G. Berelowitz, and T. Pawlikowska, "Development of a fatigue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37, pp.147-153, 1993. https://doi.org/10.1016/0022-3999(93)90081-P
  10. J. E. Schwartz, L. Jandorf, and L. B. Krupp,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37, No.7, pp.753-762, 1993. https://doi.org/10.1016/0022-3999(93)90104-N
  11. L. Christensen and M. Piper-Terry, "Comparison of Psychometric Measures of Fatigue,"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32, No.3, pp.227-234, 2004.
  12. E. M. A. Smets, B. Garssen, B. Bronke, and J. C. J. M. DeHaes, "The Multidimensional Fatigue Inventory(MFI): Psychometric Qualities of an Instrument to Assess Fatigu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3, pp.315-325, 1995.
  13. 최응렬, 박주상, "교대근무 경찰공무원의 수면장애, 피로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Vol.5, No.1, pp.25-53, 2010.
  14. 김순석, 이도선, "경찰 유치근무자의 피로심리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Vol.21, pp.55-70, 2013.
  15. 박주상, "교대근무 경찰공무원의 수면장애, 피로, 직무만족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경찰학회보, Vol.15, No.3, pp.53-70, 2013.
  16. Charles A. O'Reilly, III and J. Chatma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Attachment: The Effects of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on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1, No.1, pp.492-499, 1986. https://doi.org/10.1037/0021-9010.71.3.492
  17. N. J. Allen and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63, No.2, pp.1-18, 1990.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