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aning for Marriage Migrant Women to have College Experience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

  • 백은숙 (단국대학교 교육학과) ;
  • 한상길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교육과)
  • Received : 2016.11.23
  • Accepted : 2017.01.04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a phenomenological method to explore what the meaning for marriage migrant women to have college experience is. In other words, It is to find out what the motivation for them to enroll the college is and what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 college implies. Also, figuring out how the expectation for life after the college experience is built up structurally i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o ensure the qualitative warranty of the research, the participants are selected by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Strategy" suggested by Miles & Huberman (1994); and those selected participants are six marriage migrant women in urban-rural area with 10~18 years of residence period. The information for this research had been collected by in-depth and additional interviews along with observation towards these six participants.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the motivation for them to enroll the college is; to realize of one's dream, to have confident parental model, to pursuit stabilized domestic economy, to have a professional occupation, and to make it as a mean of searching one's career path. Second,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 college implies; enhancing communication ability, establishing self-image in the family and its relationship, having confident in raising children, enhancing healthy living of family, enhancing human relations, and lifelong learning person through set of learning. Third, the structure of how it build the future life is; having independent life pursuing stable living economically, living as a confident Korean by pursuing the value of learning and having a life of human being.

이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즉,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 동기와 진학 후 학교생활을 통한 학습경험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학습경험 이후의 삶에 대한 기대의미는 구조적으로 어떠한지를 탐색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거주기간이 10~18년차인 도농지역 결혼이주여성 6명을 연구의 질적 보증이 가능하도록 Miles & Huberman (1994)이 제시한 "의도적 표본 추출 전략"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추가면담 및 관찰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 동기는 자신의 꿈 실현, 당당한 부모상 찾기, 안정된 가정경제 추구, 전문 직업 갖기, 진로결정의 수단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이들의 진학 후 학습경험의 의미는 의사소통 능력증진, 가족관계에서의 자아상 확립,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 가족건강생활 증진, 인간관계증진, 배움을 통한 평생학습 인간이 됨으로 탐색되었다. 셋째, 미래의 삶과 관계 짓는 의미 구조로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추구해 나가는 주체적 삶, 배움의 가치추구를 통한 한국인으로서의 당당함과 인간답게 사는 삶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진영,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어려움과 교육참여경험," 평생교육학연구, 제15권, 제2호, pp.77-104, 2009.
  2. 심인선, "결혼이주여성의 성인교육 경험이 문화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인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pp.77-97, 2007.
  3. 박신영, 여성결혼이민자 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연구: 근거이론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4.
  4. 지윤숙, "여성 결혼이민자의 취업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동아시아 비교와 전망, 제11권, 제1호, pp.7-54, 2012.
  5. 최정혜, "다문화가족 연구 동향분석: 2005-2010년 발간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제22권, pp.79-97, 2010.
  6. 원진숙, 김정원, 이인재, 남호엽, 박상철, 김광수, 류재만,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교육," 서울 교육 대학교 다문화교육연구원 연구 총서1, 2010.
  7. 정대용, 기영화,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해 교육경험이 생활적응 과정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연구, 제6권, 제4호, pp137-157, 2010.
  8.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 결혼 이민자 가족 실태 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6.
  9. 양순미, "농촌가족의 변화, 농촌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농촌사회, 제16권, 제2호, pp.151-179, 2006.
  10. 양인숙, 민무숙,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경제․인문 사회 연구원 협동연구총서," 연구보고서, 제3권, 제3호, 2010.
  11. 공은숙, "다문화 가족의 고부 갈등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인 시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연구, 제18권, pp.123-134, 2009.
  12.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3. 서광석,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4. 은숙 쟈엘필더, "국제결혼의 이해와 건강한 다문화적응," 아시아 아메리카 연구소, 제11권, 제2호, pp.132-163, 2011.
  15. 고혜원, 김상호,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지원방안: 언어문화 자원 활용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16. 황연순,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문화적응을 위한 평생학습 사례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김수연, 다문화가정의 사회적응 실태 분석과정부지원정책 방안 :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8. 장서영, 이로미, 장인자,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직자 유형 분석," The Women's Studies, Vol.78, No.1, pp.77-117, 2010.
  19. 최경희, 국내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0. 박능후, 선남이, "한국의 다문화 의식: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취업이 한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민족연구, 제41권, pp.120-144, 2010.
  21. 김진영, "방송통신고등학교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력제고방안," 글로벌문화콘텐츠, 제8권, pp.269-306, 2012.
  22. 김이선, 다문화가족 정책의 사각지대 발생 양상과 정책 대응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다문화 가족포럼자료, 2013.
  23. 고혜원,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지원 방안: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 정책 연구원,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자료, 2010.
  24. 김지현,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주의와 교육," 철학연구, 제106권, pp.29-52, 2008.
  25. 한상길, 평생교육론, 공동체, 2009.
  26.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2010), 전문대학현황, http://www.kcce.or.kr/college/
  27. 권춘우, 전문대학은 직업교육을 위한 고등교육 기관인가? 토론자료, 전문대, 2012.
  28. 이현림, 김지혜, 성인학습 및 상담, 학지사, 2003.
  29. 기영화, "성인교육의 일상학습 개조" Andra 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3, No.1, pp.34-61, 2003.
  30. 김민정, 도시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역량과 적응에 대한 고찰, 한동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0.
  31. 조희선, 양다진, 김세리, 이남희, "여성결혼이민자의 체험활동을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에 관한 연구. 취업의지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23-147, 2010.
  32. 류보현, 결혼이민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자기효능감, 진로준비 행동,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 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3. 송인영, 김영화,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경험 및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적응의 관계," 평생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147-169, 2011.
  34. M. B. Mile and A. M. Huberman, Qualitative data amalysis: An expanded sourcebook(2nd ed), Thousand Oaks, CA: Sage, 1994.
  35. C. Moustaka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1994.
  36.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998.
  37. A. Giorgi (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38.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2009.
  39. 신경림, 고명숙, 공병혜, 김경선, 김미영, 김은하, 노승옥, 노영희, 양진향, 조명옥,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40. 엄미란, 산업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3.
  41. 유진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