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ocial Media Sentiment Analysis for Exploring Public Opinions Related to Education Policies

교육정책관련 여론탐색을 위한 소셜미디어 감정분석 연구

  • 정진명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유기영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공학부) ;
  • 구찬동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Received : 2017.11.17
  • Accepted : 2017.12.20
  • Published : 2017.12.29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services in the era of Web 2.0, the public opinion formation site has been partially shifted from the traditional mass media to social media. This phenomenon is continuing to expand, and public opinions on government polices created and shared on social media are attracting more attention.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grasp public opinions in policy formulation because setting up educational policies involves a variety of stakeholders and confli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ublic opinions about education-related polici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social media documents on education policies using opinion mining techniques.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the education policy-related documents by keyword, which were produced by users through the social media service, tokenized and extracted sentimental qualities of the documents, and scored the qualities using sentiment dictionaries to find out public preferences for specific education policies. As a result, a lot of negative public opinions were found regarding the smart education policies that use the keywords of digital textbooks and e-learning; while the software education policies using coding education and computer thinking as the keywords had more positive opinions. In addition, the general policies having the keywords of free school terms and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showed more negative public opinions. As much as 20% of the documents were unable to extract sentiments from, signifying that there are still a certain share of blog posts or tweets that do not reflect the writers' opinions.

웹2.0시대와 더불어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발달로 전통적인 여론형성의 기능이 매스미디어에서 소셜미디어로 일부 이동되었으며, 이런 현상은 계속 확대되고 있어, 정부 정책에 대한 소셜미디어 기반의 여론이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교육정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고, 정책의제 설정과정에서도 많은 의견의 충돌이 발생되기 때문에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대중의 여론을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정책관련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작성된 문서들을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교육관련 정책에 대한 대중의 여론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이 생산하는 교육정책 관련 문서들을 키워드 기반으로 수집하고, 토큰화 시킨 후 감성자질을 추출하고 감성사전으로부터 해당 문서의 감정을 점수화 하여, 특정 교육정책 키워드에 대한 대중의 여론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교과서, 이러닝 등을 키워드로 하는 스마트교육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보다 부정적인 감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딩교육, 컴퓨터적 사고 등을 키워드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여론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창의 인성교육 등을 키워드로 하는 일반 정책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여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분석 대상 문서 중에서 감정 자질이 전혀 추출되지 않은 문서가 20%나 되어 블로그나 트위터의 내용에 저자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내용이 아직 일정 비율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모.김상락.박상무 (2012). "빅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정보과학회지, 30.6: 25-32
  2. 김승우.김남규 (2014). "오피니언 분류의 감성사전 활용효과에 대한 연구." 지능정보연구, 20(1): 133-148. https://doi.org/10.13088/JIIS.2014.20.1.133
  3. 김유정.조수선 (2012). "미디어 영역에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정보화정책, 19(4) : 3-26.
  4. 김형지.최홍규.김성태.안미선.이유민 (2012). "소셜미디어 이용거부자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6(4): 439-464.
  5. 박경미.박호선.김형곤.고회동 (2011). "SNS에서 오피니언 마이닝 연구." 정보과학회지, 29(11): 54-60.
  6. 박기묵 (2015). "언론의 공공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 과정과 사례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24(3): 29-59.
  7. 박한우 (2012). "저비용 고효율' SNS로 여론 읽기." 신문과 방송, 499.
  8. 배정환.손지은.송민 (2013).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2012년 한국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 지능정보연구, 19(3): 141-156. https://doi.org/10.13088/jiis.2013.19.3.141
  9. 배정환.한남기.송민 (2014).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트위터 이슈 트래킹 시스템." 지능정보연구, 20(2): 109-122. https://doi.org/10.13088/JIIS.2014.20.2.109
  10. 서민송.유환희 (2017).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사회적 재난의 시민감성도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5(1): 37-46. https://doi.org/10.7319/kogsis.2017.25.1.037
  11. 안정국.김희웅 (2015). "집단지성을 이용한 한글 감성어 사전 구축." 지능정보연구, 21(2): 49-67. https://doi.org/10.13088/jiis.2015.21.2.49
  12. 오세종.김치호 (2016). "소셜미디어 빅데이터의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웹드라마 분석과 제안."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지, 285-306.
  13. 이병진.박현주 (2012). "SNS에 관한 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쟁점". 정보화정책, 19(2):3-20.
  14. 이수진.전유나 (2016).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관광 인식 조사." GR연구논총, 18(1): 83-109.
  15. 이종혁.김원상.박재원.최재현 (2014). "오피니언 마이닝을 활용한 블로그의 극성 분류기법."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지, 15(4): 559-568.
  16. 이주영 (2013). "소셜 미디어 서비스 현황 및 활용." 정보통신방송정책, 25(9): 45-65.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
  17. 이진형 (2012).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확산과 동향." 한국방송통신전파저널, 44.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18. 정은희.이병관 (2015). "오피니언 마이닝 기반 SNS 감성 정보 분석 전략 설계."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8(6): 544. https://doi.org/10.17661/JKIIECT.2015.8.6.544
  19. 허정.이충희.오효정.윤여찬.김현기.조요한.옥철영 (2016).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 기반 이슈 분석보고서 자동 생성." 정보처리학회지, 3(12): 553-564.
  20. 홍지숙.오익근 (2016).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항공사 이미지 변화 분석." 관광연구저널, 30(6): 119-133.
  21. Boyd, D. M. & Ellison, N. B. (2008).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 210-230.
  22. Turney, Peter D.(2010). Thumbs up or thumbs down?: semantic orientation applied to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reviews. Proceedings of the 40th annual meeting on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