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ggestion of Community Design for the Efficiency of CPTED - Focused on Community Furniture -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제안 - 커뮤니티퍼니쳐를 중심으로 -

  • 이호상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부)
  • Received : 2017.06.11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need for recognizing the crime in the urban spaces as a social problem and finding out specific approaches such as the study of space design and various guidelines for crime prevention is increasing. In this regar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marked as "CPTED") is actively underway. Yeomri-dong Salt Way is the first place to which the Seoul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was appled. The business objective of improving the local environment has been implemented rationally through cooperat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between subject of the project executives and community members. Since its efficiency has been proven, the sites have been expanded since then and becomes a benchmarking example of each local government.This kind of problem solving effort has the same context in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Village Art Project'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9 with the aim of promoting the culture of the underdeveloped area and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by introducing the public art. It is noteworthy that this trend is centered arou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unctions and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pplication method of community furniture as a wa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To do this, we reviewed CPTED, community design, public art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and identified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site visit Yeomri-dong of Seoul and Gamcheon Village of Pusan which is the successful model of "Seoul Root out Crime by Design" and 'Maeulmisul Art Project' respectively. The common elements of the two case place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ves' of community residents found its place in the center through the activation of community by collaborative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physical composition of the environment. Second, community design and introduction of public art created a new space, and thereby many people came to visit the village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Third, it strengthened the natural monitoring, the territoriality and control, and the activity increase among the CPTED factors. The psychological aspect of CPTED and the emotional function of public art are fused with the 'community furniture', thereby avoiding a vague or tremendous approach to the public space through a specific local context based on the way of thinking and emotion of local people and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n environment beneficial for all. In this way,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of the fusion of CPTED and public art are expected to be able to reduce the social cost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crime prevention infrastructure such as expansion of the CPTED application space, and to suggest a plan to implement the visual amenity as a design strategy to regenerate city.

도시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도시환경설계와 관련하여 범죄예방에 관한 공간 디자인연구와 각종 지침 작성 등 구체적 접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셉테드' 라고 표기)"의 연구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염리동 소금길은 201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서울시 범죄예방 디자인프로젝트'가 적용된 첫 대상지이다. 사업시행주체와 커뮤니티 구성원의 협업 및 자발적 참여를 통해 지역 환경개선이라는 사업목적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의 효율성이 입증되어 이후 대상지가 확대되며 각 지자체의 벤치마킹 사례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해결 노력은 공공미술을 도입하여 낙후지역의 문화증진과 주민참여 유도 등 쾌적한 마을 만들기를 목표로 2009년부터 시행되어오고 있는 '마을미술프로젝트'와 목적과 방향에서 같은 맥락을 보인다. 이러한 흐름은 커뮤니티의 기능과 가치라는 특성을 중심개념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는 거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CPTED의 효율성 증대 방안으로 커뮤니티퍼니쳐 적용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CPTED와 커뮤니티디자인, 공공미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와 '마을미술프로젝트'의 대표적 성공 사례지 서울 염리동과 부산 감천문화마을 현장답사를 토대로 문제점과 시사점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두 사례지 공통적 요소는 첫째, 환경의 물리적 조성 외 협업에 의한 커뮤니티 활성화로 지역주민의 '삶'이 중심에 놓이는 환경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커뮤니티디자인과 공공미술 도입으로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여 많은 이들의 방문으로 마을의 활기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루었다. 셋째, 이로 인해 CPTED 요소중 자연적 감시와 영역성과 통제력, 활동성 증대를 강화시켰다. CPTED의 심리적 측면과 공공미술의 정서적 기능이 '커뮤니티퍼니쳐'와 융합됨으로써 지역민의 사고방식과 정서를 기반으로 하는 특정한 지역적 맥락을 통해 공공공간에 대한 막연하거나 거창한 접근을 지양하고 모두에게 유익한 환경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CPTED와 공공미술의 융복합 성과의 개연성과 시사점은 도시재생을 위한 디자인 전략으로 CPTED 적용 공간 확장 등 범죄예방 인프라 구축을 통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 및 시각적 어메니티 구현 방안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