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Noh, Heui-Yeon (Sapa Middle School) ;
  • Cho, Jae So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ae, Jung Hy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7.11.10
  • Accepted : 2017.12.28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PPEP) based on Home Economics(HE) subject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PEP based on HE subject in this study followed ADDIE model except implementation through 4 processes such a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First, program development directions were set in three aspects such as 'general development',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mes of the program are 11 in total such as '1. Parenting, what is being a parent', '2. Choosing your spouse, happy marital relationship, the best gift to your children', '3. Pregnancy and birth, a moving meeting with a new life', '4. Taking care of a new born infant for 24 hours', '5. Taking care of infants, relationship with my lovely baby, attachment', '6. Taking care of young children, my child from another planet', '7. Parents and children in healthy family', '8. Parent-child relationship, wise parents to make effectiv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9. Parents safety manager at home,', '10. Practice to take care of infants', and '11. Practice of community nurturing support service development'. In particular, learning activities of the program have major characteristics such as 1) utilization of cases including practice problems related to parenting, 2) community exchange activities utilizing learned knowledge and techniques, 3) actual life project activities utilizing learning contents related with parenting, 4) activities inducing positive changes in current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5) practice activities for the necessities of life such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supporting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sign. Teaching-learning plans and materials for 17 class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11 themes. The developed plans include class flow and teacher's reference. It starts with receiving a class-related message from a virtual child at the introduction stage and ended with replying to the message by summarizing contents of the class and making a promise as a parent-to-be. That is the basic frame of class flow. Learning materials included various plans and reports necessary for learning activities and they are prepared in details so that they can be play the role of textbooks in regular curriculum. Third, evaluation of developed program was executed by a 5 point Likert scale survey on 13 HE experts on two aspects of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program development results. In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 process, mean value was 4.61 and index of content validity was 97.4%. For development results, mean value was 4.37 and index of content validity was 86.9%. These values showed that validity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in this study was highly secured and confirmed that PPEP based on HE was appropriate and valid to enhance parent qualifications of high school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예비부모인 고등학생 학습자들이 훗날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보살필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하며 동시에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의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은 일반적체제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따랐으며, ADDIE모형 중 실행단계(Implement)를 제외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가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요소 추출과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2015 개정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 문서를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가정교과 이 외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예비부모교육의 9 가지 주제(1.자기이해, 2.예비부모의 성, 3.결혼, 4.임신과 출산, 5.부모됨, 6.부모역할, 7.부모 자녀관계, 8.부모와 가족, 9.부모와 사회)와 해당 내용요소들은 이미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9가지 주제 이외에 가정교과만의 독자적인 주제(1.생애설계, 2.가정생활 내 의 식 주 실천역량, 3.가정생활과 자녀안전, 4.가족문화)와 해당 내용요소들을 별도로 확인함으로써 예비부모교육 시행에 있어 가정교과가 지닌 강점(청소년과 가정과 사회를 바라보며 부모교육 내용 뿐만 아니라 식 의 주 소비 생활 전반을 포함하는 총체적 관점의 교육과 실제로 부모 준비를 실천하게 하는 교육)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설계는 가정교과와 예비부모교육 간의 접점을 찾고 이를 프로그램 구성요소(목적, 개발방향, 주제, 내용요소, 학습목표, 학습활동)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길러낼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지녀야 할 관련 지식, 태도, 가치관,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고등학생 학습자가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을 일차 목적으로 두며, 부모됨의 준비 관점에서 학습자가 현재 생활 점검 및 개선을 통해 생활자립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이차목적으로 둔다. 궁극적으로 이 두 가지 목적 달성을 통해 학습자가 장차 부모로서 살아갈 가정생활 영역과 개인적 성취와 관련된 직업생활 영역 그리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삶의 영역간의 균형을 이뤄 이를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성숙한 부모로의 성장을 돕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방향은 '전체 전개', '내용구성', '교수 학습법 구성'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정되었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총 11개로 '1. 부모 됨: 부모가 된다는 건', '2. 배우자선택: 행복한 부부관계, 자녀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 '3. 임신과 출산: 새로운 생명과의 감동적인 만남', '4. 신생아 돌봄: 24시간 신생아 돌봄', '5. 영유아자녀돌봅: 사랑스러운 나의 아기와의 관계, 애착', '6. 유아기 자녀 돌봄: 별에서 온 내 아이, 유아기 자녀 돌보기', '7. 부모와 건강가정: 건강가정 속 부모와 자녀', '8.부모 자녀 관계: 현명한 부모, 자녀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 '9. 가정생활 내 자녀안전: 가정생활 속 안전관리자, 부모', '10. 영유아 돌봄 실습', '11. 지역사회 양육지원서비스 개발 실습'이다. 프로그램의 들어갈 최종 내용요소들은 분석단계에서 추출된 내용요소들을 11개 주제와의 관련성을 토대로 분배된 후 선정되었다.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은 해당 주제와 내용요소를 반영하여 구상되었으며, 특히 프로그램의 학습활동은 1) 부모 됨 관련 실천적 문제를 포함한 사례 활용, 2) 학습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지역사회 교류활동, 3) 부모 됨 관련 학습내용을 활용한 실생활 프로젝트 활동, 4) 고등학생 학습자의 현재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활동, 그리고 5) 자녀 발달을 지원하는 가정교과 내 의 식 주 실습활동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발은 앞서 설정된 설계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이에 총 11개 주제에 따른 17차시 분량에 해당하는 교수 학습과 정안 및 학습자료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교수 학습과정안은 수업흐름 및 교사 참고자료를 포함하며, 수업 도입부에 가상의 자녀로부터 수업관련 메시지를 받는 것을 시작으로, 정리단계에서는 받은 메시지에 대한 답장의 형태로 해당 차시의 내용 정리 및 예비부모로서의 다짐을 하는 것을 기본 틀로 하였다. 학습자료는 학습활동을 위해 필요한 각종 계획서나 보고서 양식을 포함하며, 정규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구체적으로 작성되었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는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결과물 두 가지 측면에 대해 가정교과 전문가 13인으로부터 5점 리커트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개발과정에 대한 기초분석 평가결과 평균 4.61점, 내용타당도 지수 97.4%였으며, 프로그램 결과물에 대한 평가결과는 평균 4.37점 내용타당도 지수 86.9%였다. 이와 같은 값은 이 연구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그 결과물에 대한 타당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에서 확보됐음을 나타내며, 이에 이 연구의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 교육 프로그램으로 타당하고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Baeck, S. G. (2007).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al measurement. Seoul: Kyoyookbook.
  2.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 Chae, J. H., Park, M. J., Kim, S. K. & Han, J. (2011). Instr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Seoul: Gyomoonsa.
  4. Chae, J. H., Park, M. J., Kim, S. G., Yu, N. S., Yoo, M. S., & Kim, S. H. (2006). Warm parent preparation education in the classroom. Seoul: Gyomoonsa.
  5. Choi, C. M. (2014). Development of pre-parental education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verification on juveniles curriculu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Korea.
  6. Jae, K. S. (1992). Selection of subject contents for youth parenting educatio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2, 197-212.
  7. Jang, Y. S. & Cho, H. J. (2009). Development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and satisfaction evaluatio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1), 63-82.
  8. Jun, M. K. (2016). Pre-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Proceeding of the 2016 Autum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Korea, 19-51.
  9. Jung, O. B. & Jung, S. H. (2010). Parenthood education. Seoul: Hakjisa.
  10. Kim, A. S., Choi, Y. K., Cho, H. J., & Kim, S. H (2010). A study on condition and plan for advancement of pre-parenthood education. Research report of child care policy 2010-05.
  11. Kim, J. M. (2004). Pre-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program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J. M., Kang, J. W., Yoo, A. Y., & Park, S. Y. (2010).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Parent Education, 2(1), 17-39.
  13. Kim, J. M., Kang, J. W., & Yoo, A. Y. (2011).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Parent Education, 3(2), 1-19.
  14. Kim, J. W. (2012). A study on the change of family-rel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by national curriculum: Focus on the 1st national curriculum-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M. H. (2011). Development of an ego-resilience enhanc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University, Daegu, Korea.
  16.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curriculum revision.
  1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Famil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Ministry of Education (2016). Plan to activate parenthood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and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18. Noh, J. N (2005). The ways of improve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role-plays : Focused on the attitude of parent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9. Park, S. K. (2009).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a practical reasoning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for the 'parenthood' unit in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187-202.
  20. Yoo, T. M. & Lee, S. H. (2011).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Sungnam: Book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