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이명박 정권 이후 대학 정책에 대한 주요 신문의 보도를 중심으로

A Critical Study of Media Discourses on 'University Reform' Focused on Major Newspapers' Reports on University Policies of Administrations from 2008 to 2015

  • Lee, Oh Hyeo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11.25
  • 심사 : 2017.03.24
  • 발행 : 2017.04.15

초록

이 연구는 언론이 정권들에 의해 주도된 '대학 개혁' 정책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보도하였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명박 정권 이후 8년 동안의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의 사설과 사내 칼럼을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다양한 담론 전략들을 활용하여 '대학 위기'를 기정사실화하고 국가 위기로까지 확대 해석하여 대학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매우 중대하고 시급히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라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둘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대학 위기를 불러일으킨 주범으로 기존 대학 체계를 지목하고 이를 개혁하기 위해 신자유주의 대학 체계를 도입해야한다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셋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과 이에 대한 자신들의 보도가 이념적이기보다는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그리고 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구현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상식화하고 자연화하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넷째,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대항 담론을 생산하였으나 양적 질적 한계를 지녔다. 이러한 언론의 불균형한 담론 지형과 아울러 이 시기에 신자유주의에 압도적으로 편향된 사회와 언론계의 구조를 고려할 때, 한국 사회에서 대학 개혁을 둘러싼 헤게모니 담론 투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채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이 독주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동안 시장과 기업의 논리는 대학 운영의 모든 부분에서 지배적 작동원리로서 확고히 자리 잡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that newspapers report the administrations' policies of 'university reform' from February 2008 to December 2015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results, Donga-ilbo and Chosun-ilbo produce the discourse that the crisis of universities is so real and dangerous that it brings about the crisis of our nation, and that the current university systems should be changed into neoliberal systems because it is the critical reason of the crisis. Using various discursive strategies, they construct their reports as objective, real and embodying general goods and then successfully build the neoliberal discourse on university reform as commonsensical and natural. They finally acquire the discursive hegemony for university reform. Kyunghyang-shinmun and Hankyoreh-shinmun produce the anti-discourse against that of Donga-ilbo and Chosun-ilbo. However, they can not develop substantial hegemony struggles for the discourse of university reform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ir discourse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and the social and press structures overwhelmingly inclined for neo-liberalis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국진.김성해 (2013). 재정건전성 담론 해체하기: 미디어담론에 내포된 프레임 구조와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3호, 5-24.
  2. 강내희 (2013). 변혁운동의 거점에서 신자유주의 지배공간으로: 1980년대 이후 한국의 대학. <역사비평>, 통권 104호, 65-88.
  3. 강명구 (2014). 어떤 학자와 교수를 키울 것인가: 대학평가와 지식생산.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1호, 127-166.
  4. 강진숙 (2006). "교육위기" 담론의 의미와 주체구성 방식 연구: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33호, 7-52.
  5. 김명인 (2010). 대학교수는 무엇으로 사는가? <황해문화>, 통권 66호, 137-160.
  6. 김선기 (2016).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언론과 사회>, 24권 1호, 5-67.
  7. 김성해.강희민.이진희 (2007). 한국의 구조적 전환과 미디어 담론: 외환위기 이후 영미식 주주중심 모델의 수용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15권 4호, 39-85.
  8. 김수미 (2015). 고통의 재현, 그 정치성에 대한 단상: 세월호 참사에 대하여. <언론과 사회>, 23권 4호, 67-118.
  9. 김순우.조병량.한상필 (2010). 대학평가가 대학의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0권 2호, 139-178.
  10. 김영욱 (2014). 금연과 흡연의 담론 경쟁: 비판적 담론 분석의 적용. <한국언론학보>, 58권 5호, 333-361.
  11. 김은준 (2012). 신자유주의시대 교육담론과 주체형성: 한국의 대학입학사정관제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12. 김천기 (2012). 한국교육의 신자유주의화 과정과 그 성격: 학교의 입시학원화와 '자율적 통치성' 강화. <교육종합연구>, 10권 1호, 119-149.
  13. 류웅재 (2014). 대학의 연구문화 낯설게 하기, 그리고 성찰적 대안의 모색.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1호, 4-23.
  14. 박거용 (2005). <350만의 배움터 한국 대학의 현실>. 서울: 문화과학사.
  15. 박거용 (2009). 이명박 정부 고등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향과전망>, 통권 77호, 50-75.
  16. 박정은.류웅재 (2015). 미디어로서의 명품 가방 소비에 관한 연구: 2030세대의 소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71호, 157-193.
  17. 방희경.유수미 (2015). 한국 언론과 세대론 전쟁(실크세대에서 삼포세대까지): '위기론'과 '희망론'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 <한국언론학보>, 59권 2호, 37-61.
  18. 서덕희 (2003). '교실붕괴'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6권 2호, 55-89.
  19. 서동진 (2009).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탄생>. 파주: 돌베개.
  20. 서보영 (2011). <대학의 몰락>. 서울: 동연.
  21. 서창원 (2011). 교과부는 국립대 '선진화'방안 폐기하라. <교수학술4단체 공동토론회 '대학의 위기와 대안' 자료집> (24-27쪽).
  22. 손석춘 (2009). 신자유주의에 대한 언론과 비판언론학 비판.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5호, 49-76.
  23. 손석춘 (2014). 도구적 지식과 지식인의 도구화: 대학.자본.권력의 '삼각동맹'론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1호, 25-56.
  24. 신진욱 (2011). 비판적 담론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경제와 사회>, 통권 89호, 10-45.
  25. 신진욱.이영민 (2009). 시장포퓰리즘 담론의 구조와 기술: 이명박 정권의 정책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경제와 사회>, 통권 81호, 273-296.
  26. 양은경 (2010). 민족의 역이주와 위계적 민족성의 담론 구성: <조선일보>의 조선족 담론 분석. <한국방송학보>, 24권 5호, 194-235.
  27. 양은경 (2012). 스포츠 선수의 초국적 이동과 유연한 민족정체성의 형성: '국가경쟁력으로서의 박지성'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한국언론학보>, 56권 4호, 80-104.
  28. 오대영 (2015). 언론사 대학평가 기사가 고교생의 대학평가와 언론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4호, 102-130.
  29. 유용민.김성해 (2007). 노동운동의 담론적 위기: 신자유주의담론과 미디어 노동담론의 역사적 접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1권 4호, 226-251.
  30. 이기형 (2006).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푸코의 작업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4권 3호, 106-145.
  31. 이기형 외 (2015). 청년주체들의 '자기소개서' 작성을 중심으로 한 구직경험의 문화적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72호, 7-51.
  32. 이도흠 (2011). 신자유주의 체제와 대학의 시장화. <교수학술4단체 공동토론회 '대학의 위기와 대안' 자료집> (5-9쪽).
  33. 이동연 (2015). 신자유주의 대학과 학력자본의 재생산. <문화과학>, 82호, 12-38.
  34. 이상룡 (2015). 대학의 신자유주의 고용구조. <문화과학>, 82호, 100-121.
  35. 이선민.이상길 (2015). 세월호, 국가, 미디어: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세월호 의견기사에 나타난 '국가 담론' 분석. <언론과 사회>, 23권 4호, 5-66.
  36. 이윤미 (2001). 공교육의 역사성과 교육의 공공성 문제. <교육비평>, 6호, 12-31.
  37. 이정민.이상기 (2014). 민생 없는 민생 담론: 한국 종합일간지 사설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7호, 88-117.
  38. 이종임 (2015). <디지털 세대 문화 정체성>.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9. 이희은 (2014). 디지털 노동의 불안과 희망: 대학생의 '대외활동'에 대한 심층 인터뷰.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6호, 211-240.
  40. 임재홍 (2015). 신자유주의 시대 대학의 지배구조. <문화과학>, 82호, 122-150.
  41. 정경훈 (2011). 진정한 대학개혁. <교수학술4단체 공동토론회 '대학의 위기와 대안' 자료집> (36-38쪽).
  42. 정재철 (2007). 한국의 여성 몸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의 "몸의 시대, 살빼기와 성형 열풍"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7권 1호, 292-318.
  43. 정준영 (2010). 대학문화 길들이기: 대학교 신입생환영회로 인한 사고와 언론. <사회와 역사>, 88집, 79-112.
  44. 정진상 (2005). 대학구조개혁: 비판과 대안. <황해문화>, 통권 48호, 254-274.
  45. 조성택 (2011). 대학교수 연구업적평가의 문제점: 인문사회 분야를 중심으로. <역사비평>, 통권 104호, 89-120.
  46. 천정환 (2010). 신자유주의 대학체제의 평가제도와 글쓰기. <역사비평>, 통권 92호, 185-209.
  47. 한병철 (2015). <심리정치 신자유주의의 통치술>. 서울: 문학과지성사.
  48. 한선 (2013). 네트워트 시대 '경제적인 것' 되기(becoming)의 통치술: '공모전 참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7권 3호, 431-454.
  49. 헨리 지루.박현선 (2015). 신자유주의 대학에 대항하는 공공지식인들. <문화과학>, 82호, 151-178.
  50. 홍덕률 (2004). 대학평가.학문평가를 평가한다. <창작과 비평>, 32권 4호, 64-80.
  51. 홍성태 (2005). 남북한 지배담론의 정치와 사회적 결과: 반공주의-민족주의-주체사상의 작동양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사회>, 6권 2호, 193-230.
  52. 홍종윤 (2011). 방송 정책결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연구: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송신에 관한 정책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5권 3호, 349-394.
  53. Fairclough, N. (1992). Discourse and social change. Cambridge, UK: Polity Press.
  54. Fairclough, N. (2010).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Harlow, UK: Pearson.
  55. Hursh, D., & Wall, A. (2011). Repoliticizing higher education assessment within neoliberal globalization. Policy Future in Education, 9(5), 560-572. https://doi.org/10.2304/pfie.2011.9.5.560
  56. Marshall, C., & Rossman, G. (1999).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57. Mauksch, Hans (2015). Neoliberalism and higher education: How a misguided philosophy undermines teaching sociology. Teaching Sociology, 43(1), 3-14. https://doi.org/10.1177/0092055X14556684
  58. Stern, Mark (2012). "We can't build our dreams on suspicious minds": Neoliberalism, education policy, and the feelings left over. Cultural Studies, 12(5), 387-400.
  59. Wodak, R. (2009). 'Von Wissensbilanzen und Benchmarking': Die fortschreitende Okonomisierung der Universitaten. Eine Diskursanalyse." In R. Diaz-Bone & G. Krell (Eds.), Diskurs und Okonomie (pp. 317-336). Wiesbaden, DE: V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