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afety nature of construction industry differs from that of manufacturing sector. For instance, accident risk level dramatically varies at each phase of construction process. Korean Occupational and Health Safety Act has been regulated OHS expense and it contributed reducing accident risk and enhancing safety culture for many years. However, although current regulation guides to use OHS expense proportionate to construction progress, it still allows late use of the expen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methods of estimating a step-by-step OHS expense rate required at each construction phase. In order to do provide proper OHS expense schedule, it analysed accident risk of each construction phase by sorting out 1439 cases of construction site fatality reports, and proposed a method of generating appropriate OHS expense scheme according to its construction work progress characteristics. Both linear and sigmoidal S-curve model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latter generally requires earlier use of OHS expense. By comparing the estimated OHS expense use schedule with current criteria, more than 27%p early use of OHS expense is required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
건설공사는 제조업과는 달리 공사가 시작되어 종료될 때 까지 재해위험도가 일정하지 않고 공사단계에 따라 큰 변화가 있다.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은 그동안 건설업의 안전문화 정착과 재해율 저감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해왔으나, 현행 기준은 건설공사의 재해위험도 특성에 비해볼 때 이미 중대재해발생위험시기가 지난 이후에 뒤늦게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건설공사의 공사단계별로 재해위험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공사단계별 재해발생위험도와 안전관리비 사용기기 산출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1439건의 국내 중대재해사례를 분석하여 공사단계별 중대재해발생확률을 산출하였으며, 공정특성에 따른 적정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적정 사용일정을 도출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도출된 방식에 의해 산정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일정을 현행 기준과 비교한 결과 최소 20%p 이상 앞서서 사용해야만 재해위험도에 따른 적절한 선행적 조치가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