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Language is an important medium for communication among the members of society and a mirror that reflects society as a whole. As society and culture change and develop over centuries, language follows suit. To keep up with the changes in the new era and express new concepts, countless new neologisms continue to appear. Recently, the use of neologisms is getting increasingly focus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other Internet communication sites, which then spread rapidly through various media. If you look at the popular neologisms on the Internet, it implicitly reflects conflicts between the eras and the generations, people's psychology and ideology, and social phenomena such as culture. The function of neologisms is not solely for the entertainment element of communication but also for criticizing social problems and their vital use as a search keyword. This study focuses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gathering information and analyzing records about neologisms that reflect the social phenomenon in a certain period, and this will be labeled as "neologism archiving." This study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neologism archive by comparing the currently existing neologism archiving system with the existing dictionary concept. In addition, this study serves as a reminder of the convenience and the contemporary social phenomena, such a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the dissemination of inequality of information sharing. Lastly, this study aims to support experts with their research on neologisms for the social phenomenon.
언어는 사회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매개체인 동시에 그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시대에 따른 사회 문화의 변화와 발전과 함께 언어 또한 변하고 발전한다. 이처럼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수많은 신조어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소셜네트워크와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신조어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렇게 인터넷상에서 유행하는 신조어를 살펴보면 시대의 세태와 갈등, 사람들의 심리, 사상, 문화 등 사회 현상을 함축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시적인 기간 동안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고 있는 신조어와 함께 관련 기록들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신조어 아카이빙'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신조어 아카이빙이 기존에 존재하는 사전의 개념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비교를 통해 신조어 아카이빙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세대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의 불평등 해소 등 국민 언어생활에 편의와 당대의 사회상을 기억하고 더 나아가 전문가들의 신조어 또는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