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System Design for Management the Confidential Records

비밀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 연구

  • Received : 2017.03.31
  • Accepted : 2017.04.24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With the enactment of regulations on confidential records management, the management of confidential record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However, there remains no management metho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that takes the feature and values of confidential records into consideration. For this, this study processed electronically confidential records managed in a non-electronic environment. In addition, we developed a system that will allow public institutions to manage confidential records independently, that will prevent loss of information because of loss of or damage to the confidential records, and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in the digital security environment of authorized user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ommercial managem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ystem configura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records management of a confidential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system-related issues such as system design based on the analyzed requirements, system security and encryption, and metadata, the overall process of establishing and outputting secret management records and standard management.

비밀기록물관리에 관한 규정이 제 개정되면서 비밀기록물의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지만 기록관리 현장에서 여전히 비밀기록물의 특성과 가치를 고려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비전자환경에서 관리하던 비밀기록물을 전자환경에서 처리하여 효율적으로 비밀기록물에 대한 장기 보존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공공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비밀기록물을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비밀기록물의 멸실과 훼손에 따른 정보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인가 받은 이용자의 디지털 보안 환경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확보하여 비밀기록물에 대한 상용 관리체계 기반을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비밀기록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기록관리 국제표준에 맞는 시스템 구성 요구사항을 분석, 분석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한 시스템 설계 등 시스템에 관련된 사항과 시스템의 보안 및 암호화, 메타데이터, 비밀관리기록부 정리 및 출력에 대한 전체적인 설계 과정과 표준 관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구민. 2014. 특수유형기록물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가기록원. 2012. 비밀기록물 재분류 매뉴얼.
  3. 국가기록원. 2016. 비밀기록물 관리(v1.2, NAK/S20 : 2016.).
  4. 서영관. 1998. 시스템보안기법의 비교 연구.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신동헌외 2명. 2009. 시청각(사진/동영상)기록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운영사례연구. 기록학연구, 9, 33-50.
  6. 위성현. 2012. 전자메일 기록관리시스템 설계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종열. 2005. 보다 안전한 정보화 자원 보호를 위한 DB보안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임선화. 2004. 수집기록물관리시스템 모델링.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한국기록관리협회. 2009, 전자기록물의 이해. 서울: 조은글터.
  10. 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 Reference Model for an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OAIS).(2002). CCSDS 650.0-B-1, Blue Book.
  11. John Phillips. (2004). "E-Records Software Selection Guidelines." Proceedings of the ARMA International 49th Annual Conference. Long Beach.
  12. Kate Cumming. (2005). "Metadata Matters." Managing Electronic Records. Ed. by Julie McLeod and Catherine Hare. London : Facet Publishing.
  13. US Department of Defense. DoD5015.2-STD. (1997). Design Criteria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oftware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