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ning and Value of Korean Indie Band Records

한국 인디 밴드 활동 기록의 의미와 가치 연구

  • 장형오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 임진희 (정보인권연구소)
  • Received : 2017.03.31
  • Accepted : 2017.04.08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Music has been created and played in various environments over a long time, with each piece having distinct sentiments and stories. Different people can have varying interpretations of one song depending on their viewpoints shaped by personal experiences and attitudes. In fact, the audience's understanding may differ greatly from the songwriter's intended message. Knowing this, music can serve as a reflection of one's contemporary sentiment. In the works of art such as music, the creator's intention becomes the background of the work or, sometimes, the main meaning. However, given that popular music is often under the control of companies and distributors and influenced by "capital," creators are required to adjust to mainstream preferences and, therefore, cannot fully express themselves in their music. On the other hand, indie music allows creators to pursue their own music given its "independence" from capital. With this, this study aim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on the activities that Korean indie bands carry out, and examine their meaning and significance in society.

음악은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 환경 속에서 각각의 감정과 이야기를 담아 만들어지고 불려져 왔다. 사회 구성원으로부터 이야기를 담아 만들어지는 음악은 듣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과 감정에 비추어 주관적으로 해석하기도 하고, 한편으로 그 음악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감대를 느끼며 서로 소통하기도 하기 때문에 당대 사람들의 정서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음악을 받아들이는 수용자의 입장과 음악을 만드는 창작자의 입장은 다를 수 있다. 본래 음악과 같은 예술작품에는 창작자의 의도가 작품의 탄생 배경이 되고, 그 작품이 가지는 주된 의미가 될 수 있다. 이에 비해 대중음악은 상업적이고 대중적인 주류의 음악 유통 시스템 아래서 자본에 의해 상업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창작자의 의도가 자본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반면 자본으로부터 '독립'해서 자기들의 음악을 추구하는 인디 음악은 대중음악과 반대로 창작자의 의도가 순수하게 온전히 담길 수 있다. 이런 인디 음악을 생산하고 활용하는 인디 밴드의 활동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 인디 밴드 활동에 대한 기록이 당대 사회상에 갖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규. 2002. 한국 인디문화(indie culture)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2. 나장함. 2006.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19(1), 265-283.
  3. 류수진. 2005. 홍대 앞 인디문화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전공 석사학위논문.
  4. 류한조, 이희숙. 2010. 재현 중심의 기록학 - 담기, 관리하기, 보기. 기록학연구, 24, 3-40.
  5. 명현. 2014. 국립국악원의 전통공연예술자료 수집현황과 전망 - 국악아카이브 수집현황을 중심으로. 한국전통공연예술학, 3, 7-26.
  6. 문진형. 2014. 한국 인디 레이블의 성장과정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 대중음악제작.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7. 박준흠. 2006. 대한 인디 만세. 서울: 세미콜론.
  8. 삼호뮤직 편집부. 2002.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삼호뮤직.
  9. 서보승. 2012. 국내 인디음악의 전개 과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 대중음악제작.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10. 신승호. 2012. 수몰지역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11. 신옥순. 2001. 질적 연구의 윤리. 초등교육연구, 14(2), 105-117.
  12. 안혜영. 2011. 2000년 이후 인디 레이블의 영향력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 한국 가요의 다양성에 관한 논의를 중점으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뉴미디어음악학과 석사학위논문.
  13. 염지숙. 2009.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14. 오진영. 2016. 도시재생기반 도시기록화 사례 연구 - 목포 목원동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15. 유재우. 2011. 전통주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학적 방법론 연구 - 수집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16. 이동준. 2016. 아리랑 디지털 자원의 아카이브 구축 방안에 관한 고찰. 전북대학교 대학원 한국음악학과 석사학위논문.
  17. 이제혁. 2012. 비정규직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취업 후 조직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기록물관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8. 이형수. 2012. 대중음악가 아카이빙 방안 - 김광석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 이호신. 2012.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법학전문사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0. 이호신. 2015.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으로서의 이야기 -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1), 149-172.
  21. 이희덕. 2013.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활용한 북한이탈주민 기록 수집방안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2. 임도빈. 2009.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 - 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연구. 정부학연구, 15(1), 155-187.
  23. 장형오. 2017. 사회상 재조명 도구로써 한국 인디 밴드 활동의 기록화 필요성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4. 장호연, 이용우, 최지선. 1999. 오프 더 레코드, 인디 록 파일. 서울: 문학과 지성사.
  25. 전대영. 2015. 한국 인디 음악시장의 산업구조의 현황 및 변화에 관한 연구 - Michael Porter의 Five force model의 적용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뉴미디어음악학과 석사학위논문.
  26. 전병렬. 2016. 대중음악 팬덤의 특성 분석을 통한 아카이브 활성화 연구 - 서태지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예술경영전공 석사학위논문.
  27. 전호순. 2012. 대중가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8. 조정임. 2011. 대중음악 기록관의 구축과 기록관리.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 석사학위논문.
  29. 주현미, 임진희. 2016. 녹색당 선거활동 기록의 의미 분석 연구. 기록학연구, 49, 121-173.
  30. 주현미, 임진희. 2017. 라오스 재생가능에너지 지원활동 컬렉션의 의미와 가치 연구. 기록학연구, 51, 45-87
  31. 주혜성. 2013. K-POP 아카이브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32. 진현주. 2016. 대중가요 아카이브에서 '이야기' 컬렉션의 의미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33. 추승엽. 2009. 인디음악 대중화를 위한 홍보방안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예술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34. 하승이. 2004. 대학기록관의 수집업무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35.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36. 한희동. 2013.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통한 대학의 설립자 기록물 수집 방안 - A대학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기록학과 석사학위논문.
  37. Schellenberg, Theodore. 1956. Modern Archives: Principles and Techniqu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이원영 역. 2002. 현대기록학 개론. 서울: 진리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