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for Revising the Korean Archives Law with Interviews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개정을 위한 면담 연구

  • 현문수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정상희 (충청북도) ;
  • 박민영 (충청남도천안교육지원청) ;
  • 황진현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
  • 이소연 (덕성여자대학교)
  • Received : 2017.12.30
  • Accepted : 2017.01.17
  • Published : 2017.01.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ssues with regard to practicing the current Korean Archives Law and, by doing so, to boost a community-wide discussion for revising it. Five researchers collaboratively interviewed five groups of stake-holders. Each group was consisted of practitioners in central government agencies, provinci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district offices, as well as instructors of archival education programs. To uncover diverse issue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interview was initiated by a common question: "Do you have any idea in terms of revising the current law?" After all interview sessions were completed, the researchers discussed among themselves and established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Korean archival community to reinvent the law so that the archival culture and practice in Korea could open a new era.

이 연구는 기록관리 실무자와 연구자로부터 현행 기록물관리법의 문제를 확인하고 향후 법령 개정을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가장 직접적인 이해관계자 그룹 중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지방자치단체, 교육청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및 교육 연구자와 면담을 진행하며 법령 개정을 대한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향후 법령 개정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법령 개정을 대상으로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드러내기 위해 별도의 표준화된 질문지를 구성하지 않고 "현행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의 개정 의견이 있으십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를 화두로 삼아 면담을 진행하였다. 피면담자와는 전화, 이메일, 대면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이 끝난 후, 모든 연구자가 한 자리에 모여 분석틀로 사용할 범주에 대해 논의하였다. 면담내용을 함께 검토한 결과를 반영하여 분석 범주를 구성하였으며, 연구자가 각각 주요 범주를 맡아 면담내용을 분석하고 집필을 분담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현행 법령을 개정하기 위한 특정 방향이나 법령안을 제안하는 것에 앞서, 기록학 공동체 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모여 법령 개정 전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 이후 향후 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야 할 것이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현행 공공기록물 관리 법령과 이의 실행 경험에 대한 다양한 층위, 다양한 측면의 의견이 공동의 장에서 교환되어야 할 것이다. 기록학 공동체의 민주적 합의 과정을 통한 법령 개정을 기대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06. 한국 국가기록 관리 체제 '혁신'의 성격: 기록관리법 개정안 분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13, 3-40.
  2. 권도균. 2016. 기록관리 기관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기록학연구, 48, 180-208.
  3. 김성수. 2003. 국가기록물 관리의 현황에 관한 발전적 제언.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1), 159-184.
  4. 김유승. 200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의의와 개선방안: 국가기록원의 위상과 국민의 알권리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5-25.
  5. 김익한. 2009. 기록관리법 10년, 다시 한 번의 도약을 위한 제언. 기록학연구, 21, 413-429.
  6. 남경호. 2016. 기록관의 존재 가치 재검토.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 145-147. 서울: 전국기록인대회조직위원회.
  7. 문찬일. 2016. 어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발칙한 문제제기와 황당무계한 상상.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 150-153. 서울: 전국기록인대회조직위원회.
  8. 박진우. 2009. 정보공개법상 법령에 의한 비공개정보에 관한 고찰: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법학, 43, 29-56.
  9. 박형호. 2016. 기록관 체제의 재검토: 기록관의 변화, 교육청 사례.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 154-157. 서울: 전국기록인대회조직위원회.
  10. 설문원. 2016. 한국기록학회 제112회 월례발표회(기록공동체가 만드는 "기록관리법") 토론.
  11. 손 현. 2015. 전자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제 정비 방안 연구.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12. 심성보. 2016. 한국기록학회 제112회 월례발표회(기록공동체가 만드는 "기록관리법") 토론.
  13. 이소연. 2016. 한국기록학회 제112회 월례발표회(기록공동체가 만드는 "기록관리법") 토론.
  14. 이승일. 2014.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혁과 국가기록원 개편. 기록학연구, 41, 39-73.
  15. 이영남. 2016. 한국기록학회 제112회 월례발표회(기록공동체가 만드는 "기록관리법") 토론.
  16. 이용훈. 2016. 기록관 체제의 재검토: 기록관의 변화.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 148-149. 서울: 전국기록인대회조직위원회.
  17. 임희연. 2016. 기록관에서의 공개재분류 제도 개선 방안: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 기록학연구, 49, 277-297.
  18. 전현수. 2007. 한국 현대 기록관리 제도의 정립(1969-1999). 기록학연구, 15, 39-66.
  19. 정상희. 2016. 광역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9, 327-359.
  20. 조영삼. 2016. 한국기록학회 제112회 월례발표회(기록공동체가 만드는 "기록관리법") 토론.
  21. 최윤진. 2016. 기록관 체제의 재검토: 기록관의 변화. 제8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 158-160. 서울: 전국기록인대회조직위원회.

Cited by

  1.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록분류 현황과 개선과제 vol.5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229
  2. 공공 기록의 처분 동결 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vol.53,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3.261
  3. 공공기록물법 개정을 위한 방향과 과제 vol.54,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4.289
  4. 차세대 기록관리를 위한 법체계 개선방안 연구 vol.55, pp.None, 2018, https://doi.org/10.20923/kjas.2018.55.275
  5. 생산현황통보 제도에 관한 기록전문가 면담 연구 vol.57,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8.57.137
  6. 기록물관리기관 소요 인력 산출 기준에 관한 연구 vol.62,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9.6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