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llecting Policies of Civil Domain Digital Archives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 배양희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 김유승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7.06.30
  • Accepted : 2017.07.23
  • Published : 2017.07.30

Abstract

The study aims to provide a strategies for managing collecting policies through an analysis of issues on it. For the purpose, it conducts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studies on characteristics, roles, and importances of civil domain digital archives' collecting policies. As a case study, the study selects 4 archives, such as Queer Archives, Seotaiji Archives, iCoop Archives, and Sori Archives, and discusses basic status and elements of their collecting policies. Furthermore, it interviews 9 civil domain digital archives for analyzing their collecting policies' making processes, usages, copyrights issues,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As a result, this article presents alternative strategies for awareness campaign, independency, essential elements of the efficient collecting policy management.

본 연구는 민간 영역 디지털 아카이브의 수집정책에 관한 상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집정책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살피고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의 특징과 역할, 그리고 수집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한다. 사례 연구 대상으로 성문화된 수집정책을 보유한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퀴어 아카이브, 서태지 아카이브, 아이쿱 아카이브, 소리 아카이브, 4곳을 선정하여, 각각의 일반 현황과 수집정책 요소를 분석한다. 이론 연구와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실시된 면담 연구에서는 민간 디지털 아카이브 9곳을 대상으로 수집정책 수립과 운용, 활용, 수집정책의 저작권 규정, 타 기관과의 협력 등을 주제로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본 연구는 민간 영역 디지털 아카이브의 효율적 수집정책 운영을 위해, 수집정책 필요성의 인식 제고, 독립적 수집정책의 성문화, 필수 요소, 정기적 점검, 공개 및 홍보 방안 등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정, 이승휘. 2015. 미국 대통령기록관의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6, 233-286.
  2. 곽건홍. 2009. 자율과 분권, 연대를 기반으로 한 국가기록관리 체제 구상. 기록학연구, 22, 3-35.
  3.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4. 곽승진, 최재황, 배경재, 정영미. 2011. 과학기술분야 디지털 콘텐츠의 아카이빙 정책연구. 정보관리연구, 42(4), 115-136
  5. 권순명, 이승휘.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1, 41-84.
  6. 김덕묵. 2016. 마을기록물의 수집과 활용. 기록학연구, 49, 299-325.
  7. 김득중, 김동춘. 2005. 민간인학살 기록현황과 수집, 관리방안. 한국기록학회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105-122.
  8. 김수영, 임준근. 2009. 디지털 향토문화 콘텐츠를 위한 XML 기반의 아카이브 시스템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15, 147-173.
  9. 김수진, 신동희. 2016.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에서의 이용자기여콘텐츠에 관한 저작권 고찰. 기록학연구, 49, 5-49.
  10. 김유승, 류반디. 2015. 노근리사건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73-194.
  11. 김주관. 2008. 민속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민속연구, 17, 33-52.
  12. 김지현. 2014. 미국, 캐나다, 호주 주립기록관의 민간기록물 수집정책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05-126.
  13. 김진묵, 최재황, 곽승진. 2010. 과학기술 분야 콘텐츠 유형별 아카이빙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평가기준의 설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3(2), 1-22.
  14. 김화경. 2007. 기업사료의 수집, 평가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15, 219-262.
  15.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
  16. 박윤성, 박유선. 2010.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0(1), 419-428.
  17. 박태연, 신동희. 2016.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평가. 한국 기록관리학회지, 16(1), 121-150.
  18. 박현영, 남태우. 2004. 디지털 아카이빙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 69-76.
  19. 최석현, 박현숙, 김명훈, 전태일 (2013). 아카이브의 디지털 전시 활용효과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7-33.
  20. 서은경. 2004. 디지털 아카이브의 영구적 보존을 위한 개념적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13-34.
  21. 서해숙. 2013. 진도아리랑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과 설계. 인문콘텐츠, 29, 219-240.
  22. 설문원, 최이랑, 김슬기. 2014. 오픈소스를 활용한 사건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7-36.
  23. 손동유, 이경준. 2013.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기록학연구, 35, 161-206.
  24. 송정숙, 허정숙, 이예린. 2014.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27-151.
  25. 신동희, 김유승. 2016.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30.
  26. 신재민, 곽승진. 2013. 디지털 콘텐츠 아카이빙 정책수립을 위한 문헌 및 사례 고찰. 사회과학연구, 24(1), 305-330.
  27. 양상미. 2008. 대학기록관 기록물 수집정책의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엄소영, 김혜영, 명현, 김용. 2017. 민간, 공동체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2), 179-205.
  29. 오유진, 한희정, 육혜인, 김수정. 2015. 기록사랑마을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2), 7-30.
  30.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31. 이미영. 2009. 재해 지역의 기록화 사례 연구. 기록학연구, (21), 85-116.
  32. 이보람, 황진현, 박민영, 김형희, 최동운, 최윤진, 임진희. 2014. 공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록시스템 구축가능성 연구. 기록학연구, 39, 193-228.
  33. 이상민. 2016. 인권 의식과 민주주의의 진전을 위한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록의 수집전략. 기록학연구, 48, 5-44.
  34. 이영남. 2008. '마을아르페'(Community Archpe) 시론. 기록학연구, 18, 221-254.
  35. 이영남. 2012.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36. 이은진, 이유진, 윤은하. 2015. 영락교회 역사자료실의 수집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2), 137-164.
  37. 이정희. 2009. 병무행정 매뉴스크립트 수집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5-32.
  38. 이주영. 2011. 구술기록을 통한 민간인학살사건의 역사화. 기록학연구, 29, 79-127.
  39. 장형오, 임진희. 2017. 한국 인디 밴드 활동 기록의 의미와 가치 연구. 기록학연구, 52, 174-216.
  40. 장윤이. 2014.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법 연구. 인천학연구, 20, 147-192.
  41. 장윤희. 2005. 대학기록물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 23-46.
  42. 전병렬. 2016. 대중음악 팬덤의 특성 분석을 통한 아카이브 활성화 연구:서태지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정영미, 윤화묵, 김정택. 2010. 디지털 콘텐츠의 무결성 유지를 위한 장기적인 보존 정책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1(4), 205-226.
  44. 정은진. 2011. 연극기록물의 수집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9, 35-78.
  45.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
  46. 최재희. 2008. 국가차원의 문화유산기관 협력체 구성사례 및 시사점.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61-74.
  47. 최원태. 2001.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황 및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2), 23-40.
  48. 최효진, 임진희. 2015.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기록학연구, 46, 95-152.
  49.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50. 한수연. 2005. 기록물 수집정책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현문수. 2013. 민간.공동체 아카이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술정보 공유 방향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27-150.
  52. 현문수. 2013. 민간 아카이브를 위한 기술(description).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59-64.
  53. 현문수, 김동철. 2013.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기록학연구, 36, 195-231.
  54. 현문수, 전보배, 이동현. 2014.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실행 방안. 기록학연구, 42, 245-285.
  55. Fisher, R. 2009. In search of a theory of private archives: The foundational writings of Jenkinson and Schellenberg revisited. Archivaria, 67, 1-24.
  56. Ham, F. Gerald. 1975. The Archival Edge. The American Archivist, 38(1), 5-13. https://doi.org/10.17723/aarc.38.1.7400r86481128424
  57. Ham, F. Gerald. 1993. Selecting and Apprais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 (강경무, 김상민 역. 2002. 아카이브와 매뉴스크립트의 선별과 평가. 서울: 진리탐구).
  58. Hobbs, C. 2001. The Character of Personal Archives: Reflections on the Value of Records of Individuals. Archivaria, 52, 126-135.
  59. Pearce-Moses, R. 2005. A glossary of archival and records terminology. Chicago, IL: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