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OK Army Leadership for promoting Jointness

합동성 증진을 위한 한국군 리더십 연구

  • Received : 2017.08.18
  • Accepted : 2017.09.11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enhancing spiritual combat power as the core of intangible combat power in Korean armed forces through analyses and suggestions on Admiral Yi Sun-sin's leadership for four major sweeping victories based upon jointness which effectively integrates tangible and intangible combat power in armed forces to maximize the synergy of fighting power. As our armed forces has improved their military structure in the dimension of hardwares so as to enhance their efficienc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ocess to promote the jointness between our armed forces and our allied powers in the dimension of softwares supporting such hardware dimensions, it was necessary to innovate the system for reinforcing future-oriented spiritual combat power as well as all the tasks related to leadership as the core of intangible combat power jointly and harmoniously. In order to derive tasks about the leadership of Korean armed forces in the dimension of softwares which should be combined with military structural reform for strengthening spiritual combat power for national defense, this study selected research questions linked with jointness. That is, (1) what is the core of military leadership in Western advanced countries in the age of jointness? (2) What are the contemporary illuminations or implications of Korean leaderships through Admiral Yi Sun-sin's war history? Then, this study analyzed literature reviews, this author's field interviews in the time of war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war history focusing on Admiral Yi Sun-sin's leadership for four major sweeping victo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extracted (1) the strategic leadership to predict and prepare the future, (2) the leadership of integration to create synergy effects, and (3) the leadership of knowledge to be practiced focusing on combats. In addition, in order to reinforce spiritual combat power based upon jointness, (1) it is necessary to precede in-depth and substantial leadership diagnosis for enhancing jointness. (2) It is necessary to embody national defense reform as well as integration for jointness improvement after scientifical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rmy-navy-air force leadership centers, and PKO centers. (3)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merger and abolition between institutions related to intangibale combat power unde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본 연구의 목적은 군사력의 유 무형 전력을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전투력상승효과(synergy)를 극대화시키는 '합동성(Jointness)'을 기반으로 이순신장군의 4대 대첩 리더십 분석과 제언을 통해 한국군의 무형전력의 핵심인 정신전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우리군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하드웨어 차원에서 군 구조개선을 하고 있는데,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 할 소프트웨어 차원에서 동맹국과 우리군의 합동성 추진과정을 분석한 결과 미래지향적인 정신전력 강화 시스템구축과 더불어 무형전력이 핵심인 리더십과 관련된 제반 과제들과 함께 조화롭게 혁신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국방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군 구조개혁과 함께 추진하여야 할 소프트웨어 차원의 한국군 리더십에 관한 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합동성과 연계한 연구문제(1. 합동성시대 서구 선진국가의 군 리더십의 핵심은 무엇인가? 2. 이순신장군의 전사(戰史)를 통한 한국적 리더십의 현대적 조명)를 선정하여 문헌조사 방법과 본 연구자의 참전당시 현지 인터뷰결과와 이순신장군의 4대 대첩을 중심으로 한 리더십 전사(戰史)를 모델로 고찰한 결과, 1)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는 전략적 리더십, 2)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융합의 리더십, 3) 전투중심으로 실천할 수 있는 지식의 리더십을 도출하게 되었다. 아울러 합동성을 기반으로 한 정신전력강화를 위해서는 첫째, 합동성 증진을 위한 심층깊고 실질적인 리더십진단이 선행되어야 하고, 둘째, 국방부와 육 해 공군 리더십센터와 PKO센터의 차별화와 통합에 관한 효율성을 과학적으로 비교분석한 후 국방개혁과 함께 합동성 증진을 위한 통합노력을 구현해야 하며, 셋째, 국방부 예하 무형전력 관련기관의 통폐합을 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상. 2007. "현대전의 합동성 증진에 부합하는 합동교리 발전방안". 해군대학.
  2. 김동기.권영근 역, Gordon Nathaniel Lederman 著. 2007. 합동성 강화 美 국방개혁의 역사. 서울 : 연경문화사.
  3. 김동기 외 역. 2007b. 합동성 강화 美 국방개혁의 역사. 서울: 연경문화사. pp.103, 127, 281.
  4. 김동하. 2007. "합동성 증대를 위한 교육체계 발전방향 연구". 해군대학.
  5. 김민주 외. 2007. 극단적 미래예측. 서울 : 김영사.
  6. 김성만. 2010. "軍 합동성 강화 방안". 합동참모본부.
  7. 김성환. 1998. K이론. 서울: 리드리드출판.
  8. 김진항. 2006. 전략이란 무엇인가?. 서울 : 양서각.
  9. 국가발전미래교육협의회. 2010. 대한민국 안보 무엇이 문제인가?. 서울 : 국가발전미래교육협의회.
  10. 국방대학교 정신전력.리더십개발원. 2009. 국방리더십개발원과 각 군 리더십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 대전 : 국군인쇄창.
  11. 국방정신전력원. 2017. 정신전력연구. 대전 : 국군인쇄창.
  12. 국방정신전력원. 2017. 정신전력연구 제48호. 대전 : 국군인쇄창. p. 56.
  13. 권태영. 2011. "합동성 강화를 위한 우리 군의 노력". 합참지 제44호. p. 55.
  14. 권태영. 2011b. "합동성 강화를 위한 우리 군의 노력". 합참지 제44호. p. 59.
  15. 공군대학. 2007. 항공우주군 시대에 요구되는 리더십 역량. 공군대학.
  16. 공군대학. 2007. 에이스 리더십. 공군대학.
  17. 남기덕. 1999. "한국군 리더십의 모형과 발전방향." 화랑대 국제학술 심포지움.
  18. 노병천. 2005. 이순신. 서울: 양서각.
  19. 문달식. 2007. "과학기술의 발달과 미래 전장에서 합동성 강화 방안." 해군대학.
  20. 박유진. 2009. 현대사회의 조직과 리더십. 서울 : 양서각.
  21. 배규한. 2000. 미래사회학. 서울: 나남출판.
  22. 백기복 외. 1988. "한국 경영학계의 리더십 연구 30년 : 문헌검증 및 비판." 경영학연구. 27집.
  23. 이영계.진재열. 2010. "육군 초급간부리더십개발 지침서에 관한 연구". 육군교육사령부. pp. 2-10.
  24. 에드가 F. 퍼이어 Jr. 저. 2004. 아메리칸 제너럴십(American Generalship). 서울 : 국방부.
  25. 전광호. 2014. "외국군 사례를 통한 합동군사교육체계 발전방안." 합동군사대학교(5).
  26. 조현행. 2014. 미육군의 시대적 변천과 역할. 익산: 원광대학교출판국. p. 13.
  27. 진재열. 2009. Total 리더십. 대전 : 해성기획.
  28. 진재열. 2007. "전쟁중의 학교교육; 아프가니스탄의 경우." 한국교육학회 한국비교교육학회지.
  29. 오점록. 1999. 한국군 리더십. 서울 : 박영사."군 리더십 특성과 군 조직유효성." p. 15.
  30. 유명덕․하만석 공동연구. 2009. "2009년도 국방정책과제", 국방대학교.
  31. 유영만. 2008. 상상하여 창조하라!. 서울: 위즈덤하우스.
  32. 유용원. 2011. "육군, 별자리 줄까봐... 해.공군, 육군에 치일까봐 현역 군인, 예비역들 통해 국방개혁에 불만 표시... 왜 그러나." 조선일보(3월 29일), 8.
  33. 육군본부. 2009. 야전교범 지-0, 육군 리더십(초안). 대전 : 국군인쇄창. pp. 1-12-13.
  34. 최병순. 1991. "한국군 지휘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화랑대연구소.
  35. 탁관로. 2009. "국방리더십개발원과 각 군 리더십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 국방대학교.
  36.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 2001. 지식경영. 서울: 21세게북스.
  37. 하인호. 2008. 미래를 읽는 9가지 방법. 서울: 일송북.
  38.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9. "합동성 강화 발전방안." 정책토론회 결과 보고서. p. 17.
  39.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9b. "합동성 강화 발전방안." 정책토론회 결과 보고서. p. 23.
  40.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16. "정책연구보고." 합동참모본부 (7).
  41. 합동참모본부 & 육군교육사령부. 2010. 합동성강화 대토론회집. 대전 : 국군인쇄창.
  42. 합동참모본부. 2009. 합동작전. 대전 : 국군인쇄창.
  43. 합동참모본부. 2002. 합동작전 합동교범 3-0. 대전 : 국군인쇄창. p8.
  44. 현대경제연구원. 2001. 지식경영. 서울 : 21세기북스.
  45. 홍성표, 2006. "한국군의 합동성에 관한 고찰." 합동참모본부.
  46. 해군충무공리더십센터. 2012. 충무공 이순신. 대전 : 국군인쇄창.
  47. Gary Yukl, 이상욱 역. 2004.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 서울 : 시그마프레스.
  48. Keith M. Huber. 2010. "美軍의 합동성 발전과정." 합동성 강화 대토론회집. 합동참모본부. p. 45.
  49. K. B. Lowe., & W. L. Gardner, "Ten year of the Leadership Quarterly : Contribution and Challenges for the Future(2000)", Leadership Quarterly, 11(4), pp. 466-469.
  50. J. A. Conger, Leading to lead, Sanfracisco: Josey-Bass, 1992 백기복, 이슈 리더십, 창민사, 2000, pp. 362-366.
  51. Jason B. Barlow,"Interservice Rivalry in the Pacific,"in Joint Force Quaterly(Spring 1994), pp. 76-81.
  52. Steve M. JEX.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2.
  53. Shamir, B., House, R, J., & Arthur, M. B. 1998. The motivational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ship: A self-concept based theory. Organization Science, 4: 1-17.
  54. Lowe, K. B., Kroeck, K. G. & Sivasubramaniam, N. 1996. Effectiveness correlates of transformational & transactional leadership: A meta-analysis review of the MLQ iterature. Leadership Quarterly, 7: 385-425. https://doi.org/10.1016/S1048-9843(96)900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