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Acceptance Level for Damage due to Underwater Noise from the Case Study of Field Measurement at Marphysa sanguinea Farm

바위갯지렁이 양식장 인접지역 계측 사례를 포함한 수중소음 피해인정기준에서 배경소음과의 차에 대한 문제점

  • Received : 2017.02.24
  • Accepted : 2017.03.16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It is very difficult to clearly define the damages caused by blasting-induced noise and vibration, because the damages depend on, besides the level of noise and vibration, the response of the object, environmental conditions, subjective feeling, and mental condition. Especially, it is more difficult when the fish is concerned, because that experimental approach is not easy and that we lack of the reasonable criterion for the acceptance level of noise and vibration. In Korea, the acceptance level for damage due to underwater noise is 140 dB re $1{\mu}Pa$, and the difference from the underwater background sound level is defined as more than 20 dB re $1{\mu}Pa$. It is however, appropriate for continuous noise not for transient sound. The authors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bration velocity and underwater noise measured from the test blasting around Marphysa sanguinea farm. This paper presents the measurement results and suggestions the acceptance level for damage due to underwater noise from explosive blasting.

발파에 의한 소음 진동의 물리적 크기 이외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의 응답조건, 주변 환경에 적응상태 및 주관적 감정, 정신적 상태 등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명확히 피해영향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어류의 피해영향에 대해서는 실험을 통한 연구자체도 어렵고, 적용할 수 있는 제시기준이 모호하여 정확한 평가방법은 물론 실제 소음 진동 노출정도의 예측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국내의 경우 수중소음 피해인정 기준을 140 dB re $1{\mu}Pa$, 수중 배경음과의 차가 어류에 미치는 피해기준은 20 dB re $1{\mu}Pa$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연속음에 대한 것으로서 충격음인 발파음에 대한 평가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시험발파를 통해 바위갯지렁이 양식장 주변에서 발파 시 진동속도와 수중소음의 관계를 예측해보았다. 그리고 수중소음 피해인정기준에서 배경소음과의 차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2014 유용 수산생물의 생태(바위털갯지렁이). http://www.nifs.go.kr/aquatech/bbs?id=acqna&flag=pre&boardIdx=3181
  2. 도올발파기술사사무소, 2016 00 특화단지 조성사업 시험발파보고서, pp. 4-9.
  3. 서울대학교 환경소음진동연구센터, 2010, 시추공 시험발파 소음.진동에 의한 어류 영향 평가 감정보고서, pp. 54-56.
  4. 선효성, 20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포럼, 제18권, 제2호, 해상풍력발전기 수중소음 평가방안에 관한 고찰, pp. 11.
  5.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12, 국도 77호선 완도 강독지구 위험도로 개수공사 어업피해영향조사, pp. 54-55.
  6. 중앙환경분쟁조종위원회 I, 2009, 환경분쟁조정사례집, 제18집, pp. 223-236.
  7. 중앙환경분쟁조종위원회II, 2009, 소음.진동으로 인한 육상 양식어류 피해 평가 및 배상액 산정기준에 관한 연구, pp. 113, pp. 117.
  8. 환경부, 2015, 소음.진동 공정시험기준, 환경부 고시 제2015-85호.
  9. Choi, T. H., 2015, Estimation of underwater noise level from blast-induced ground vibration for inland fish farming and suggestion of safety level, Ph.D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Korea, pp. 3, pp. 112
  10. Lagardere J. P., 1982, Marine Biology, Vol. 71, Effects of Noise 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Crangon in rearing Tanks, pp. 177-185. https://doi.org/10.1007/BF00394627
  11. Richardson W. J., Greene Jr. C. R., Malme C. I., and Thomson D. H., 2008, Marine Mammals and Noise, Academic press, pp.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