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Recognition Regarding the Influence of Public Library Service to Quality of Life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이용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박양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성과.확산정보화부)
  • Received : 2017.02.15
  • Accepted : 2017.03.13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s a concept studied in the field of administration, economy and society. And It is a standard of measuring performance of government. Recently, in governments and global society, QoL (Quality of life) index is used to reflect overall development degree. National policy and service effectiveness measurement using QoL index is more persuasive when it is combined with 'Bottom-Up Spillover Theory'. This study applied "National Quality of Life Index", the object QoL index us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o see if the library service is recognized to actually ha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nd furthermore, see the difference of quality of life improvement recognition by user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degree recognized by the librarian. "Recognition regarding shortage of time" was the highest index, and "concentration of fine dust" was the lowest. Regarding the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librarian and user, it showed signifiant difference in 13 index, while the recognition difference by gender showed difference in 5 index, difference by age was 23, difference by residence was 14, and difference by number of visits to library was 9.

삶의 질 측정은 행정, 경제, 사회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해 온 개념이며, 정부의 업무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국가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전반적인 발전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삶의 질(QoL: Quality of Life) 지표'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삶의 질 지표를 활용한 국가 정책 및 서비스의 효과 측정은 '상향확산이론(bottom-up spillover theory)'과 결합하여 더욱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사용하는 객관적인 삶의 질 측정 지표인 "국민 삶의 질 지표"를 적용하여 도서관 서비스가 실제로 삶의 질 범주에 영향력이 있다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정도를 조사하고, 나아가 사서가 인식하는 삶의 질 향상 정도와 일반 이용자가 인식하는 삶의 질 향상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간 부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지표로 나타났고,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지표로 나타났다. 사서와 이용자 간의 인식 차이는 13개 지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는 5개 지표, 연령에 따른 인식 차이는 23개, 거주지에 따른 차이는 14개, 도서관 방문 횟수에 따른 차이는 9개 지표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명철. 2013. 공공서비스 만족도가 지역사회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미국 스폴스시의 경험적 증거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0(2): 243-270. (Ko, Myeong Chul. 2013. "The Effects of Citizen Satisfaction on Community Quality of Life: the Evidence from the City of Sioux Falls City in U. S." Korean Government Review, 20(2): 243-270.)
  2. 고명철, 최상옥. 2012. 삶의 질(QoL) 연구의 행정학적 함의와 제언. 한국행정학보, 46(4): 103-126. (Ko, Myeong Chul and Sang Ok Choi. 2012. "The administrativ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QoL Stud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6(4): 103-126.)
  3. 국제무역연구원. 2016. 2016 세계 속의 대한민국. 서울: 국제무역연구원.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2016. Korea in the world in 2016. Seou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Trade.)
  4. 김병섭, 최성주, 최은미. 2015. 국민행복, 삶의 질, 그리고 공공서비스의 관계 연구. 한국행정학보, 49(4): 97-122. (Kim, ByongSeob, Sungjoo Choi, and Eunmi Choi. 2015. "Happiness and Government's Role: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between Public Services and Happines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9(4): 97-122.)
  5. 변필성. 2005. Quality of Life(QOL). 국토, 10: 52-52. (Byun Pill Sung. 2005. "Quality of Life(QOL)." PLANNING AND POLICY, 10: 52-52.)
  6. 임근식. 2012.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10(1): 47-89. (Lim, Geun-Sik. 2012. "Recognition of Local Residents on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Focused on the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10(1): 47-89.)
  7. Evans, P. 1994. Eroding Canadian Social Welfare: The Mulroney Legacy, 1984-1993.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28(2): 107-119. https://doi.org/10.1111/j.1467-9515.1994.tb00413.x
  8. Sirgy, M. J. 2001. Handbook of Quality-of-Life Research: An Ethical Marketing Perspective.Springer Netherlands.: 재인용. 고명철, 최상옥. 2012. 삶의 질(QoL) 연구의 행정학적 함의와제언. 한국행정학보, 46(4): 103-126.(Ko, Myeong Chul and Sang Ok Choi. 2012. "The administrativ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of the QoL Stud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6(4): 103-126.)
  9. 국민 삶의 질 지표 [online]. [cited 2016.10.10]. .

Cited by

  1.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ol.34, pp.3, 2017,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67
  2. 도서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측정에 관한 연구 vol.50, pp.4, 2017, https://doi.org/10.16981/kliss.50.4.201912.101
  3. 공공도서관 건립의 타당성을 위한 이용자 인식조사 연구 - 부산시 사상구를 중심으로 - vol.54, pp.2, 2017, https://doi.org/10.4275/kslis.2020.54.2.079
  4. A Study on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rary and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vol.70, pp.2, 2017, https://doi.org/10.1515/libri-2019-0123
  5. A Study on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rary and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vol.70, pp.2, 2017, https://doi.org/10.1515/libri-2019-0123
  6.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the role of library in the sharing economic era in Korea vol.38, pp.3, 2020, https://doi.org/10.1108/lht-01-2019-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