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oftware Gifted Persons

소프트웨어 영재상 정립을 위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 Received : 2017.02.23
  • Accepted : 2017.03.24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paper aims to provide reference model for directions and objectives of Software(SW) gifte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introduced above, we conducted the research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we selected the concept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 as a base model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W gifted person. The selected base model composed three core competencies which were 'knowledge and technology competencies', 'synthesizing and creativity competencies', and 'personality competencies'. Second, we developed survey tools, like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participant's recognition of SW gifted person. The survey tools composed three components 'computational thinking', 'entrepreneurship', and 'social responsibility'. Each of the components composed seven elements. Third, after selecting the opinion poll participants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e surveyed opinion polling. By select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s the opinion poll participants, we wanted to identify theirs ' opinions which are thought to be the starting point for gifted education. To survey we developed on-line survey system by using Google functions. Fourth, we analyzed the collected opinion data. To identify we summarized and synthesized participant's opinions that average values and agreement level by using frequency analysis. Also, in order to compare opinions that average values and agreement level based on whether or not participant's various experiences and competencies we computed t-value, F-value, and ${\chi}^2$ verification.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SW) 중심사회의 도래에 따른 SW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SW영재교육의 목표와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SW영재상 정립을 위한 기반 모델로 'ICT기반 창의인재상 모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기반모델은 'ICT기반의 창의인재상'으로 '지식기술역량', '통합창의역량', '인성역량' 등을 3대 핵심역량으로 정의하였다. 두 번째, SW영재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의견조사 참여자들에게 조사할 검사도구의 구성은 '컴퓨팅 사고력', '기업가 정신', '사회적 기여' 등의 특성요인으로 구성하였고, 각 특성요인별로 7개씩의 특성요소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 의견조사 참여자를 초등교사로 선정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네 번째, 의견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의견조사 참여자들은 연구진이 제안한 3가지 인재특성요인 중 '컴퓨팅 사고력'에 가장 높은 동의수준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SW교육과 영재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동의수준 비교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특성요소들의 경우 경험이 있는 집단의 동의수준이 경험이 없는 집단의 동의수준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형준(2003). 삼성의 인재상. 대학교육, 125. 85-88.
  2. 류청산(2016). 미래 인재상의 관점에서 소프트 스킬의 요인분석 및 회귀모형 구안. 실과교육연구, 22(4), 155-172.
  3. 미래창조과학부(2016). 미래부, 초.중등 SW영재학급 선정 지원. http://www.msip.go.kr (검색일: 2016. 3. 10)
  4. 박경빈, 이재호, 박명순, 이선영, 전미란, 류지영, 안성훈, 변순화(2015). 성공적인 성취자의 심층 면담을 통한 영재교육의 방향성 탐색. 영재교육연구, 25(2), 217-236. https://doi.org/10.9722/JGTE.2015.25.2.217
  5. 신원준(2013). 창조경제의 인재상과 창의적 인재확보: 삼성 SDS 사례. 대학교육, 181, 46-51.
  6.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Gifted Education Database). https://ged.kedi.re.kr/stss/viewStatistic.do (검색일: 2017. 2. 10).
  7. 이재호, 류지영, 진석언(2011).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1), 63-71.
  8.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안성훈, 진병욱(2013).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래지향적 발명영재상 정립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23(3), 435-452. https://doi.org/10.9722/JGTE.2013.23.3.435
  9.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이상철, 안성훈, 진병욱(2012). 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영재교육연구, 22(3), 551-573. https://doi.org/10.9722/JGTE.2012.22.3.551
  10. 이재호, 진석언, 신현경(2016a). ICT기반 창의인재상 정립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7(5), 141-160. https://doi.org/10.7472/JKSII.2016.17.5.141
  11. 이재호, 진석언, 신현경(2016b). 과학영재를 위한 ICT 핵심역량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7(6), 143-152. https://doi.org/10.7472/JKSII.2016.17.6.143
  12. Amabile, T. M. (1989). Growing up creative. New York: Crown.
  13. Gardner, H. (2008). 5 minds for the future. Cambridge, MA: Harvard Business School Publishing.
  14. Sternberg, R. J., & Lubart, T. (1993). Creative giftedness: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37(1), 7-15. https://doi.org/10.1177/001698629303700102
  15. VanTassel-Baska, J. (2002). Considerations in evaluating gifted programs. The Communicator, 33(2),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