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of Centers for the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목표 특성 분석

  • 박경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류춘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최진수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Received : 2017.02.03
  • Accepted : 2017.03.24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objectives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of centers for the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analyzing learning objective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For this purpose, 702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169 science subjects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be analyzed. After classifying and coding the learning objectives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we conduct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number of learning objectives used for each subject, and about 3 elementary school levels and about 6 middle school levels were used. Second, the knowledge dimension such as 'factual and conceptual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uch as 'remember', 'understand', and 'create' was high regardless of the research method and school level.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the weighting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elementary school level emphasize activities th be applied to the actual experimental process through learning about scientific facts, while the middle school level emphasize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facts and concepts themselv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analyze characteristics of various learning objective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simple statistical analysis.

이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에 제시된 학습목표를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와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학습목표를 분석할 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7개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프로그램 중 과학 분야 169개 주제에 제시된 702개의 학습목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코딩한 후 각 학습목표 사이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 나타난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별로 사용된 학습목표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초등은 약 3개, 중등은 약 6개의 서로 다른 범주의 학습목표가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과 학교 급에 관계없이 지식차원의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기억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단순 통계 분석 결과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언어네트워크분석 방법을 통한 가중치에 근거하여 살펴본 결과 초등 단계는 과학적 사실에 대한 학습을 통해 실제실험과정에 적용해 보는 활동을 강조한 반면, 중등 단계는 이보다는 과학적 사실, 개념 자체를 이해하는 것을 더욱 강조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기존 단순 통계적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것에 비해 보다 다양한 학습목표의 특성을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언어네트워크분석방법이 학습목표를 분석하는데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정충덕 (2012). 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751-759.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751
  2. 김성연, 이선영, 신종호, 최원 (2015).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중등수학 강의교재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9(3), 465-489.
  3. 김순옥, 김봉선, 서혜애, 김영민, 박종석 (2011). 문제발견 및 가설설정 능력 신장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멘델의 과학적 사고과정 적용. 영재교육연구, 21(4), 1033-1053. https://doi.org/10.9722/JGTE.2011.21.4.1033
  4. 김용학 (2007). 사회네트워크분석. 서울: 박영사.
  5. 김지현 (2016).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공공정보 내용분석: 광역도시 대표 트위터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3), 151-17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3.151
  6. 박경진, 류춘렬, 최진수, 정현철 (2016). IPA 기법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6(3), 427-447. https://doi.org/10.9722/JGTE.2016.26.3.427
  7. 박경진, 정덕호, 조규성 (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야외지질학습 전후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73-186. https://doi.org/10.5467/JKESS.2013.34.2.173
  8. 박병열, 이효녕 (2014). 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3), 421-444. https://doi.org/10.9722/JGTE.2014.24.3.421
  9. 박인호 (2015).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설립 취지와 성과: 과학영재교육 15년 성과분석을 위한 1차 세미나.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10. 신세인, 이준기, 하민수, 이태경, 정영희 (2015). 과학영재 중학생들과 일반 중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5(5), 673-696. https://doi.org/10.9722/JGTE.2015.25.5.673
  11. 심준섭, 김지수 (2011).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의 갈등 프레임 분석: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5(3), 173-202.
  12. 안도희, 한기순, 김명숙 (2009).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의 과학 문제 발견력과 정의적․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중․장기적 효과. 영재교육연구, 19(2), 279- 302.
  13. 위수민, 김보경, 조현준, 손정주, 오창호 (2011).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과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초등과학교육, 30(1), 10-21.
  14. 유미현, 강윤희, 여상인 (2011).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여름 캠프 프로그램의 효과. 과학영재교육, 3(1), 19-37.
  15. 이경숙, 유미현 (2014). 초등 수학영재 수준을 고려한 무게중심에 대한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학영재교육, 6(1), 15-34.
  16. 이수상 (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49
  17. 이종희, 김기연 (2007). 창의적 생산력의 하위 요소 탐색 및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 개발. 학교수학, 10(4), 583-601.
  18. 이준기, 신세인, 하민수 (2015).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생물에서의 '실험'의 의미에 대한 인식구조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997-1006.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6.0997
  19. 조정일, 이상권, 김종희, 최규식, 고문석 (2006). 초등과학 영재교육 교재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0(1), 45-52.
  20. 최영출, 박수정 (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21. 최정인, 백성혜 (2015).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77-288.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77
  22. 하소현, 곽대오 (2008).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의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자료의 수업목표 사례 분석. 영재교육연구, 18(3), 591-612.
  23. 한국교육개발원 (2015). 2015 영재교육 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4. Anderson, L. W., Krathwohl, D. R., Airasian, P. W., Cruikshank, K. A., Mayer, R. E., Pintrich, P. R., Rach, J., & Wittrock, M. C. (2005).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A revision of Blooms'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oston: Pearson Education.
  25. Bloom, B. S.,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 & Krathwohl, D. R.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26. Bybee, R. W., Powell, J. C., & Trowbridge, L. W. (2008).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Strategies for development scientific literacy, 9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rill.
  27. Deno, S. L., & Jenkins, J. R. (1969). On the "behaviorality" of behavioral objectives. Psychology in the Schools, 6(1), 18-24. https://doi.org/10.1002/1520-6807(196901)6:1<18::AID-PITS2310060104>3.0.CO;2-P
  28. Doerfel, M. L., & Barnet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4), 589-603.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9.tb00463.x
  29. Eisner, E. (1994).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school programs. New York: Macmillan.
  30.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4_2
  31. Marzano, R. J., & Kendall, J. S. (2008). Designing & assessing educational objectives: Applying the new taxonomy. California: Corwin Press.
  32. Ormell, C. P. (1994). Bloom’s taxonomy and the objectives of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 17(1), 3-18. https://doi.org/10.1080/0013188740170101
  33. Roberts, C. W. (1997). Tex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Methods for drawing statistical inferences from texts and transcripts. Mahwah, New Jersey: Erlbaum.
  34. Van Tassel-Baska, J. (2003). What matters in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Reflection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N. Colangelo & G. 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174-183). Boston: Allyn & Bacon.
  35. Wasset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The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