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valuation of Class Design for the Computing Thinking Using Entry and Sensor Board

엔트리와 센서보드를 이용한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수업 설계 평가

  • 문성윤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보통신교육) ;
  • 이혁수 (안동대학교 전자공학교육과)
  • Received : 2016.12.02
  • Accepted : 2017.01.16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roug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gramming education is introduced into the elementary school regular curriculum as part of the software education.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methods can be presen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on th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is paper,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a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five times of implementation using the entry and the sensor board for the entry, and classes to which it was applied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a problem-solving test tool was us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Gamma waves and EEG concentration indicators. As a result, the gamma waves and the concentration indices of the students in the group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tendency to be improved through the programming lessons, and those of the students in the group with poor academic achievement showed no such tendency. Through this, the necessity of the level-specific programming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academic abilities was suggested.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의 일환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교 정규교과에 도입된다.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고 엔트리와 엔트리용 센서보드를 활용한 5차시 분량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 후에 문제해결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감마파와 뇌파집중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업 성취도가 우수한 그룹의 학생들은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감마파와 집중지표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고, 학업 성취도가 우수하지 못한 그룹의 학생들은 감마파와 집중지표의 변화에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업 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성정숙, 김현철,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45-54, 2015.
  2. 신수범, "스크래치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향상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0권, 제11호, pp.191-197, 2015.
  3. https://playentry.org
  4. 박성준, 아두이노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학위논문, 2015.
  5. 장재경, 김호성, "여대생의 이러닝 학습태도 변화에 따른 뇌파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42-5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4.042
  6. 신민철, 뇌파를 활용한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콘텐츠 추천 및 학습, 한양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13.
  7. 정경석, 상호작용 e-러닝 환경에서 뇌파와 프로파일 기반 콘텐츠 타입 추천, 한양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2013.
  8. 최종문,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2015.
  9.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9.23)," 2015.
  10. 심준영, 성인제, "뇌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집중력 및 전두부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제18권, 제3호, pp.19-36, 2009.
  11. 안경미, 손원성, 최윤철,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의 학습 몰입과 프로그래밍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1-10, 2011.
  12. 신주현, 송기상, "컴퓨팅 사고력 교육과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인지부하 변화,"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3권, 제4호, pp.121-129, 2015.
  13. 정영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대비한 교육대학교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대한 수요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83-92, 2016.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1.83
  14. 문교식, "Computational Thinking의 초등교육 활용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518-52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518
  15. 권보섭,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협동학습이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491-49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