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f-Esteem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 이주양 (백석문화대학교 관광학부) ;
  • 차석빈 (순천향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투고 : 2016.12.09
  • 심사 : 2017.02.20
  • 발행 : 2017.03.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탐색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진로탐색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본 후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관계에서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청남북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4개 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면접효능감 1개 요인에만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진로탐색행동의 매체이용 직업탐색,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직업탐색 등 2개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직업탐색효능감과 관계구축효능감, 개인탐색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탐색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진로탐색행동 간 관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on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with a sample of 211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in Choong Chung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s based on the use of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self-estee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the factor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while negative self-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rviewing efficacy. Second, positive self-estee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exploration. Third, career search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Lastly, career search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self-esteem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키워드

참고문헌

  1. 심원보, 송준행, "2016년 2월 고용동향," 통계청 보도, 2016.
  2. 이가영, 최태월, 이용선,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영컨설팅 리뷰, 제6권, 제2호, pp.197-209, 2015.
  3. 이소현, "저비용 항공사 객실승무원은 제대로 훈련을 받을까?" 아주경제신문, 2014(09월11일).
  4. 양유경, 이정현, 이동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1권, 제2호, pp.3-26, 2013.
  5. 심지연, 이형룡, "관광계열 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1권, 제6호, pp.231-251, 2012.
  6. 김미영, 조선화, "어머니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9권, 제2호, pp.59-84, 2007.
  7. 황미구, 김근영, "중학생의 진로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질 및 상태변인의 관계: 자아존중감, 성역할 고정관념 및 정신건강의 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3호, pp.71-95, 2008.
  8. 안권순, 한건한, "청년기의 개인 특성, 성 역할 정체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제13권, 제2호, pp.73-102, 2002.
  9. 임태성, 김주용, 이호열, "대학생의 여가스포츠 참여와 자아존중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58권, 제1호, pp.581-595, 2014.
  10. 최길순, 이창희, "응급구조과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16권, 제3호, pp.91-102, 2012.
  11. 이경희, 윤미현, "청소년의 부모요인, 친구애착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75-199, 2011.
  12. 엄태영, 박은하, 주은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3호, pp.197-222, 2011.
  13. V. S. Solberg, G. E. Good, A. R. Fischer, S. D. Brown, and D. Nord,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search activities: Relative effect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human agenc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2, No.4, pp.448-455, 1995. https://doi.org/10.1037/0022-0167.42.4.448
  14. 김미진, 교육서비스 품질이 전공만족과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5. 이주양, 차석빈,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 및 진로탐색행동 간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6호, pp.377-395, 2015.
  16. 박인주, 김화진,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 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 관계에서 전공만족의 매개효과," 관광연구, 제29권, 제6호, pp.83-101, 2015.
  17. 진경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4권, 제6호, pp.145-162, 2015.
  18. 강혜순, 항공.관광서비스 전공자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9.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Vol. 11, pp.326),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0.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San Francisco: W. H. Freeman, 1967.
  21. P. A. Hauck, Overcoming the rating game: Beyond self-love, beyond self-esteem,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1.
  22. A. H. Baumgardner, "To know oneself is to like oneself: self-certainty and self-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No.6, pp.1062-1072,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6.1062
  23. 원종호, 낮은 자아존중감 회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4. A. K. Korman, "Self-esteem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abilities and vocational cho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1, No.1, pp.65-67, 1967. https://doi.org/10.1037/h0024237
  25. 심지연,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부모애착, 심리적독립,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6. 정명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강화를 위한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 간 상관관계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332-340,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332
  27. A. Bandura, Self-efficacy, In VS Ramachaudran(Ed.)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Vol.4, pp.71-81), NY: Academic Press, 1994.
  28. V. S. Solberg, G. E. Good, and D. Nord, "Career search self-efficacy: Ripe for applications and intervention programm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21, No.1, pp.63-72, 1994. https://doi.org/10.1007/BF02107104
  29. K. M. Taylor and J. Pompa,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alience, locus of control, and vacational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7, No.1, pp.17-31, 1990. https://doi.org/10.1016/0001-8791(90)90004-L
  30. D. L. Blustein, "The role of career exploration in the career decision making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30, No.2, pp.111-117, 1989.
  31. K. M. Taylor and N. E. Betz,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No.1, pp.63-81, 1983.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32. 최옥현,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 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3. S. A. Stumpf, S. M. Colarelli, and K. Hartman, "Development of the career exploration surve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No.2, pp.191-226, 1983.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28-3
  34. H. D. Grotevant, and C. R, Copper, The role of family experience in career exploration: A life-span perspective, In P. B. Baltes, R. H Lerner, and D. L. Featherman (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Vol.8, pp.231-25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9.
  35. 최동선, 정철영,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요인 및 애착의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pp.115-143, 2003.
  36. 박은선, 아버지 애착과 지지가 대학생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7. J. Aiken and J. A. Johnston, "Promoting caree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 No.1, pp.81-87, 1973. https://doi.org/10.1016/0001-8791(73)90048-1
  38. G. Blau, "Further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 between job search and voluntary individual turnover," Personnel Psychology, Vol.46, No.2, pp.313-330, 1993.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3.tb00876.x
  39. 최동선,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요인 및 애착의 관계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40. 나정기,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탐색행동과의 관계: 조리 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8권, 제3호, pp.181-196, 2014.
  41. B. Laurent, "Self-esteem regulation in threatening social comparison: The roles of belief in a just world and self-efficac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33, No.1, pp.69-76, 2005. https://doi.org/10.2224/sbp.2005.33.1.69
  42. 서우석,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자아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8권, 제4호, pp.149-171, 2015.
  43. G. Hackett and N. E. Betz,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No.3, pp.326-339, 1981.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44. 윤정혜,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제5권, 제2호, pp.29-46, 2015.
  45. G. V. Gushue, K. R. L. Scanlan, K. M. Pantzer, and C. P. Clarke,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in Afr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33, No.1, pp.19-28, 2006. https://doi.org/10.1177/0894845305283004
  46. 나정기,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 자기효능감,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분석-조리, 제과. 제빵 전공을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6권, 제6호, pp.239-264, 2013.
  47. 정기옥, 최규일, 배지영,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 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3권, 제1호, pp.61-68,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1.061
  48. 전은숙, 노은미, 고효진,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학교 진로지원 평가와 진로 탐색 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제15권, 제5호, pp.628-635,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5.628
  4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