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ory Research for Happiness-related Curriculum Introduction in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에서의 행복 관련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 Received : 2016.08.02
  • Accepted : 2016.09.02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analyzing pre-post change of concept recognition structure about happiness and activity in which medical school students feel happiness, in order to develop such curriculum accordingly. Research subjects included a total of 36 sophomores attending medical school, and a day reconstruction method and network analysis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 while medical school students were experiencing a lot of happiness while eating/talking and doing leisure activities, the frequency of feeling happiness through learning activities was shown to be low. Words that expressed happiness before and after were similar in many parts and 'economy' showe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before and 'work' showe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after.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concept about happiness was divided from 1 group into 4 groups including one's work, positive self, health of family, value about life etc., perception of the concept about happiness was changed from the concept about superficial happiness to the concept about actual happiness. Therefore, in order for prospective doctors who will treat human health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value about happiness properly, education about happiness is necessary and for this, curriculum related to happiness must be developed systemat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교육에서의 행복과 관련된 교육과정 도입을 탐색하기 위하여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행복을 느끼는 활동 및 행복에 대한 개념 인식구조의 사전-사후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총 36명이었고, 일상재구성법과 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은 먹기/대화하기, 여가활동을 하면서 행복을 많이 경험하고 있는 반면 학습활동을 통한 행복을 느끼는 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사전-사후의 행복을 표현하는 단어들은 많은 부분 유사하였고, 사전에는 '경제', 사후에는 '일'이 가장 높은 연결정도중심성을 나타냈다. 행복에 대한 개념의 구조가 1개 그룹에서 자신의 일, 가족의 건강, 삶에 대한 가치, 긍정적인 자아 등의 4개 그룹으로 나누어져 행복에 대한 개념이 피상적인 행복에 대한 개념에서 실제적인 행복에 대한 개념으로 인식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인간의 건강을 다룰 예비의사들이 행복에 대한 개념과 가치 등을 바르게 정립할 수 있도록 행복에 대한 의도적인 교육이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행복과 관련된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재선, 서은국,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2호, pp.143-166, 2011.
  2. 성보훈, 윤선아, "행복의 정의와 발달단계별 결정요인," 뇌교육연구, 제6권, pp.103-134, 2010.
  3. S. Lyubomirsky, L. King, and E. Diener,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Psychological Bulletin, Vol.131, No.6, pp.803-855, 2005. 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
  4. E. Diener and R. J. Larsen, "Temporal stability and cross-situational consistency of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responses," J Pers Soc Psychol, Vol.47, No.4, pp.871-883, 1984. https://doi.org/10.1037/0022-3514.47.4.871
  5. 이금호, 고유경, 강경희, 이혜경, 강재구, 허예라, "의과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Korean J Med Educ, Vol.24, No.1, pp.55-63, 2012. https://doi.org/10.3946/kjme.2012.24.1.55
  6. 류석환, "의과대학생 학생의 수면과 삶의 질," 생물치료정신의학, 제15권, 제1호, pp.29-36, 2009.
  7. M. Dahlin, N. Joneborg, and B .Runeson,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edica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Med Educ, Vol.39, No.6, pp.594-604, 2005. https://doi.org/10.1111/j.1365-2929.2005.02176.x
  8.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장협회, '한국의과대학생의 정신건강보고서: 전국조사',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장협회, 2007.
  9.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Educating Doctors to Provide High Quality Medical Care. A Vision for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Report of the Ad Hoc Committee of Deans," AAMC, 2004.
  10. N. Ratanawongsa, S. M. Wright, and J. A. Carrese, "Well-being in residency: effects on relationships with patients, interactions with colleagues, performance, and motivation," Patient Educ Couns, Vol.72, No.2, pp.194-200, 2008. https://doi.org/10.1016/j.pec.2008.04.010
  11. T. D. Shanafelt, K. A. Bradley, J. E. Wipf, and A. L. Back, "Burnout and self-reported patient care in an internal medicine residency program," Ann Intern Med, Vol.136, No.5, pp.358-367, 2002. https://doi.org/10.7326/0003-4819-136-5-200203050-00008
  12. L. N. Dyrbye, W. Harper, C. Moutier, S. J. Durning, D. V. Power, F. S. Massie, A, Eacker, M. R. Thomas, D, Satele, J. A. Sloan, and T. D. Shanafelt, "A multi-institutional study exploring the impact of positive mental health on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in an era of high burnout," Acad Med, Vol.87, No.8, pp.1024-1031, 2012.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25cfa35
  13. 김자경, 강석훈, 이희제, 양정희, "Multiple Mini-Interview와 기본의학교육 4년간 학업성취도와의 연관성," 한국의학교육, 제26권, 제3호, pp.223-229, 2014.
  14. 유효현, "의학전문대학원생의 대학 전공 계열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634-63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634
  15. 이순옥, 이상엽, 백선용 우재석, 임선주, 윤소정, 이선희, 감비성, "의학교육에서 학업성취도 예측을 위한 성공적인 학습전략요인에 관한 2.5년 추적연구," 한국의학교육, 제27권, 제2호, pp.99-105, 2015.
  16. 김선, 김주현, 허예라, "의과대학생 성격과 학업성취도 비교를 통한 교육방법," 한국의학교육, 제17권, 제2호, pp.107-119, 2005. https://doi.org/10.3946/kjme.2005.17.2.107
  17. 소연희, "의과대학생들의 성취목표성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이 수업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제20권, 제1호, pp.221-225, 2008.
  18. 이수현, 전우택, "의과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 소진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제27권, 제1호, pp.37-49, 2015.
  19. 김보미, 노혜린, "의과대학 학생들의 우울감 빈도와 관련 요인," 한국의학교육, 제26권, 제1호, pp.53-58, 2014.
  20. 임은비, "의과대학생의 행복과 의학교육의 과제," 의학교육논단, 제13권, 제2호, pp.25-37, 2011. https://doi.org/10.17496/KMER.2011.13.2.025
  21. D. Kahneman, A. B. Krueger, D. A. Schkade, N. Schwarz, and A. A. Stone, "A survey method for characterizing daily life experience: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Science, Vol.306, No.5702, pp.1776-1780, 2004. https://doi.org/10.1126/science.1103572
  22. 장재윤, 유경, 서은국, 최인철, "일상재구성법(DRM)을 통해 살펴본 남녀직장인과 주부의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1권, 제2호, pp.123-139, 2007.
  23. 한승진, 양광희, "일상재구성법을 통해 살펴본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행복 탐색,"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7권, 제2권, pp.59-72, 2013.
  24. 구재선, 서은국, "행복은 4년 후 학업성취를 예측한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6권, 제2호, pp.35-50, 2012.
  25. J. C. Rode, M. L. Arthaud-Day, C. H. Mooney, J. P. Near, T. T. Baldwin, W. H. Bommer, and R. S. Rubin, "Life satisfaction and student performance," ACAD MANAG LEARN EDU, Vol.4, No.4, pp.421-433, 2005. https://doi.org/10.5465/AMLE.2005.19086784
  26. 김경미, 류승아, 최인철, "행복과 학업성취-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0권, 제4호, pp.329-346, 2014.
  27. B. L. Fredrickson,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 Psychol, Vol.56, No.3, pp.218-226, 2001.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18
  28. 김미혜, 김희영,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이용한 경험표집법에 의한 몰입과 행복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945-1955, 2015.
  29. E. Diener, W. Ng, J. Harter, and R. Arora, "Wealth and happiness across the world: Material prosperity predicts life evaluation, whereas psychosocial prosperity predicts positive feeling", J Pers Soc Psychol, Vol.99, No.1, pp.52-61, 2010. https://doi.org/10.1037/a0018066
  30. 박해랑, "대학생을 통한 글쓰기의 치료적 효과 연구," 문화와 융합, 제37권, 제2호, pp.213-254, 2015.
  31. D. Hammer, "Misconceptions or P-Prims: How May Alternative Perspectives of Cognitive Structure Influence Instructional Perceptions and Intention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Vol.5, No.2, pp.97-127, 1996.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0502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