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Cancer Preventive Health Behaviors in Workers

근로자의 암 예방 건강행위 영향요인

  • 윤명희 (엘지화학 건강상담실) ;
  • 권명순 (한림대학교 간호학부.간호학연구소)
  • Received : 2016.12.15
  • Accepted : 2017.02.02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standardized cancer prevention programs for promotion of health of workers by identifying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on the cancer and investigating factors influencing cancer preventive health behaviors in workers. This study included survey data of 723 workers from 9 work places in 5 areas and analyzed using SPSS/WIN 20.0. In the results, the mean score for knowledge about cancer was $10.52{\pm}4.02$(range: 0~30),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cancer was $31.61{\pm}3.51$(range: 10~50) and the mean scor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for cancer was $62.37{\pm}9.05$(range: 19~95). 40.3%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s for cancer was explained by perceived health condition, attitude toward cancer, age, smoking, drinking alcohol, exercise, and working hours per da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developing cancer preventive health promotion programs suitable for workers' condition in workplaces.

본 연구는 근로자의 암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적 건강행위 정도를 확인하고, 암 예방적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표준화된 암 예방 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일개 사업장의 5개 지역, 9개 공장에 근무 중인 근로자 723명이고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암에 대한 지식의 평균 점수는 $10.52{\pm}4.02$(범위: 0~30)였고, 암에 대한 태도의 평균 점수는 $31.61{\pm}3.51$(범위: 10~50)였고, 암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의 평균 점수는 $62.37{\pm}9.05$(범위: 19~95)였다. 지각하는 건강상태, 암에 대한 태도, 흡연, 연령, 음주, 운동, 하루근무시간과 같은 변수가 암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를 40.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사업장 근로자의 상황에 적합한 암 예방적 건강행위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tats.oecd.org/index.aspx?queryid=36324
  2. 황승숙, "일개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근무형태별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01-222, 2006.
  3. 이영미, 정문희, "근로자의 건강문제에 따른 경제적 손실정도," 한국간호과학회지, 제38권, 제4호, pp.612-619, 2008.
  4. W. N. Burton, C. Y. Chen, D. J. Conti, A. B. Schultz, G. Pransky, and D. W. Edington, "The association of health risks with on-the-job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47, No.8, pp.769-777, 2005. https://doi.org/10.1097/01.jom.0000169088.03301.e4
  5. K. S. Choi, E. J. Kim, S. G. Kim, M. L. Lim, J. G. Park, and E. C. Park, "Job loss and reemployment after a cancer diagnosis in Koreans-a prospective cohort study," Psycho-Oncology, Vol.16, No.3, pp.205-213, 2007. https://doi.org/10.1002/pon.1054
  6.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DA7001&conn_path=I2
  7. 김진희, 함명일, 박은철, 박재현, 박종혁, 김성은, 김성경, "2005년 암의 경제적 비용부담 추계," 예방의학회지, 제42권, 제3호, pp.190-198, 2009.
  8.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1000000
  9. 김일옥, 염계정, 신선화, "성인 여성의 암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재활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97-103, 2014.
  10. 김남선, 이규은, "중년기 성인의 암 예방행위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pp.29-38, 2014. https://doi.org/10.7739/jkafn.2014.21.1.29
  11. 신계영, 주미영, "일부 대학생의 암 발생요인에 대한 지각과 암 관련 건강행위," 종양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37-145, 2010.
  12. K. McCaffery, J. Wardle, and J. Waller,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relation to the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ncer in the United Kingdom," Preventive Medicine, Vol.36, No.5, pp.525-535, 2003. https://doi.org/10.1016/S0091-7435(03)00016-1
  13. 양야기, "대학생의 암 예방 건강행위와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22권, 제1호, pp.59-68, 2015. https://doi.org/10.7739/jkafn.2015.22.1.59
  14. 김영숙, "대학생의 암 예방 건강행위와 영향요인,"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45-58, 2012.
  15. 김익지, 김상희, "대학생의 암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적 건강행위의 관계," 종양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44-51, 2012.
  16. 서순림, 정복례, 소향숙, 태영숙, "한국인 5대암 예방과 조기 발견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조사," 성인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68-280, 1998.
  17. 박수호, 김창희, 김은경, "제조업 근로자의 암 검진 관련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179-190, 2013. https://doi.org/10.5807/kjohn.2013.22.3.179
  18. 이윤나, 권인수, "대학생의 암 예방을 위한 건강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종양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09-118, 2014.
  19. 박영례, 위휘, "중년남성의 암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암 예방 건강행위," 재활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97-103, 2014. https://doi.org/10.7587/kjrehn.2014.97
  20. 박동수, 전명구, 정성한, "감정노동의 개념화와 선행요인,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제29권, 제4호, pp.133-167, 2005.
  21. 전미옥, 조직문화와 커뮤니케이션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2. 이성훈,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 관심도, 건강 인식, 건강행위 실천과 업무 몰입과의 관련성,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3. 홍융기, 임왕규, "중년층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삶의 질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1호, pp.33-48,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11.33
  24. 천혜원, "일부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4권, 제6호, pp.859-869,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6.859
  25. 정연강, 박산애, 이나미, 윤순녕, 김영임, 왕명자, 이순남, 김은희, 고영애, "서울지역 산업장 근로자의 산업보건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91-99, 1993.
  26. 황유진, 여성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