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MMPI-2 Profile of Adults with Internet Addiction

성인 인터넷 중독위험군의 MMPI-2 프로파일 연구

  • 서보경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 이승희 (중앙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 Received : 2016.11.30
  • Accepted : 2017.02.07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addiction risk group using MMPI-2 and discussed whether the MMPI-2 can be used for diagnosis,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the Internet addiction risk group. We verified the difference in the MMPI-2 scales between the addiction-risk group and the general user group, and verified whether the substance-related scales MAC-R, AAP, and AAS scales can distinguish between Internet addiction risk group and general us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MPI-2 characteristics of 39 Internet addiction risk group and 21 general user group who visited internet addiction counseling cent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 Pa, Pt, Sc, and Si scales on the clinical sca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AC-R, AAS, and APS scales betwee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and the general user group. This suggests, that it is not possible to screen the Internet addiction risk group with the supplementary measur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scale to diagnose internet addiction.

본 연구에서는 MMPI-2를 활용하여 인터넷 중독위험군의 임상적 성격특성을 조사하고, MMPI-2 검사가 인터넷 중독위험군에 대한 진단, 평가 및 개입에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MMPI-2 척도에서 중독위험군과 일반사용자군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보충척도 중에 물질관련 척도인 MAC-R, AAP, AAS 척도가 인터넷 중독위험군과 일반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중독 전문상담기관을 방문한 인터넷중독위험군 39명과 일반사용자군 21명의 MMPI-2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임상척도에서 D, Pa, Pt, Sc, Si 척도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인터넷중독위험군에서 D, Pt, Si 척도가 높은 상승을 보여, 우울, 강박, 내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보충척도 MAC-R, AAS, APS 척도에서는 인터넷중독 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 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보충척도로는 인터넷 중독위험군을 선별해 낼 수 없으며, 인터넷중독 진단을 위한 새로운 척도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5.
  2. 서보경,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305-31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05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 ED),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4. 배미예, 이은희,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및 우울/불안 간의 관계: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통권 제52호, pp.85-112, 2009.
  5. 이혜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200-21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200
  6. 정구철,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55-66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655
  7. 한경희, 김중술,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다면적 인성검사II 매뉴얼 개정판, 서울: (주)마음사랑, 2005.
  8. S. V. Rouse, J. N. Butcher, and K. B. Miller, "Assessment of substance abuse in psychotherapy cli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MMPI-2 substance abuse scales," Psychological Assessment, Vol.11, No.1, pp.101-107, 1999. https://doi.org/10.1037/1040-3590.11.1.101
  9. P. T. Van der Heijden, J. I. M. Egger, and J. J. L. Derksen,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MMPI-2 restructured clinical scales in two Dutch sampl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0, No.5, pp.456-464, 2008. https://doi.org/10.1080/00223890802248745
  10. 임지영, "인터넷게임중독위험 대학생들의 다면적 인성검사 II(MMPI-2) 프로파일," 아시아교육연구, 제6권, 제4호, pp.21-32, 2005.
  11. 임지영, "인터넷중독과 알코올 남용 위험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MMPI-A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8권, 제2호, pp.629-638, 2009.
  12. 임지영, 김명소, "인터넷중독 위험성이 높은 청소년들의 MMPI-A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 논문집, 제1권, pp.628-633, 2002.
  13. D. G. Jerome, S. J. Lash, M. A. Foster, and L. B. Sharon, "Adherence to Substance Abuse Treatment: Clinical Utility of Two MMPI-2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77, No.3, pp.524-540, 200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7703_11
  14. C. MacAndrew, "The differentiation of male alcoholic outpatients from nonalcoholic psychiatric outpatients by means of the MMPI," Quart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26, pp.238-246, 1965.
  15. N. C. Weed, J. N. Butcher, T. McKenna, and Y. S. Ben-Porath, "New measures for assessing alcohol and drug abuse with the MMPI-2: The APS and AAS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8, pp.389-404, 1992.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802_15
  16. R. Clements and J. M. Heintz, "Diagnostic accurac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AAS and APS scales of the MMPI-2,"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79, No.3, pp.564-582, 2002.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7903_10
  17. 한영옥, 김한우, 김태우, 이재갑, 정준용, "MMPI-2 프로파일을 통해 본 남성 병적 도박자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0권, 제2호, pp.519-536, 2011.
  18. L. Armstrong, J. Phillips, and L. Saling, "Potential determinants of heavier internet usage," Int. J. Human-Computer Studies, Vol.53, pp.537-550, 2000. https://doi.org/10.1006/ijhc.2000.0400
  19. M. Spekman, E. Konijn, P. Roelofsma, and M. Griffiths, "Gaming addiction, definition and measurement: A large-scale empirical stud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9, pp.2105-2155, 2013.
  20. R. L. Greene, The MMPI-2: An interpretative manual(2nd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2000.
  21. 이순묵, 반재천, 이형초, 최윤경, 이순영, 성인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
  22.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다면적 인성검사II 매뉴얼, 서울: (주)마음사랑, 2005.
  23. D. A. Gunn, Internet addiction, http://147.197.152.160/netquest/ALL.-VERs.html, 1998.
  24. 이소영, 게임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25. K. S. Young and R. C. Rodger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Behav, Vol.1, No.25-28, 1997.
  26. 홍재현, 함병주, 곽동일, "인터넷 중독의 성격유형," J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제7권, 제1호, pp.11-19, 2003.
  27. 최은미, 신점란, 배재홍, 김명식, "대학생의 우울, 불안, 충동성, 공격성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329-34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329
  28. 이수진,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인이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5권, 제2호, pp.175-192, 2008.
  29. M. A. Shotton, "The costs and benefits of "computer addiction," Behaviour Information and Technology, Vol.10, pp.219-230, 1991. https://doi.org/10.1080/01449299108924284
  30. 이정은, 배성만, "대인관계 만족도, 인터넷 게임중독 및 정서적 문제간의 관계: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0권, 제3호, pp.687-70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