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ine Dust and Air Condition-Weather Data in Selected Area by Contamination Factors

오염 요인별 지역선정을 통한 대기-기상자료의 미세먼지 인과관계 검증

  • 한정민 (APEC기후센터 정보서비스팀) ;
  • 김재구 (Continental Automotive 제조혁신팀) ;
  • 조기현 (효성에프엠에스 마케팅팀)
  • Received : 2017.01.10
  • Accepted : 2017.02.10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gradual desertification in Northeastern China brought about by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global warming, has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as evident by the ultrafine dust geographically and seasonally. People with severe respiratory problems, senior citizens and the infants are susceptible to the ill effects of fine dust which could prove fatal to them. Hence, we need to study the root cause of fine dust emergence and the correlation verification between fine dust and its side effects. This study firstly analyzed clean and contaminated areas classified by industrial elements. We utilized air, weather and industrial data in the area. Next, we detected a change of fine dust in terms of weather and climate. We analyzed correlation of air and weather by influence from domestic and neighboring country. The result indicated that China is the culprit of the emergence of fine dust predicament. Consequently, we can prove that fine dust ($PM_{10}$) and ultrafine dust ($PM_{2.5}$) could arise from geographical, seasonal, and pollutant elements. Therefore, we propose the optimum to make countermeasures about fine dust in terms of industry, topography, population and living residence.

산업발달과 지구 온난화로 중국 북동부 지역의 사막화가 가속화 되면서 한반도는 지리적 계절적으로 미세먼지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는 일반인보다 호흡기 질환자나 노인, 영 유아에게 치명적어서 미세먼지 발생 원인과 인과관계 검증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 이용된 대기환경 자료와 산업지역 자료는 청정지역과 오염지역으로 나누고 오염지역은 산업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기상 기후의 변화에 따른 미세먼지 변화를 분석하였고 미세먼지 발생요인을 국내의 영향과 국외의 영향으로 구분하여 대기-기상자료의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그리하여 미세먼지($PM_{10}$)와 초미세 먼지($PM_{2.5}$)의 구성 물질별로 계절적, 지리적인 발생형태 분석을 통해 산업, 지형, 인구, 주거 정보를 결합한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 수립의 기준을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주영수, "대기오염과 천식발작의 관련성에 관한 시계열적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2. 송호인, "서울의 대기오염이 소아 천식환장들의 외래방문 빈도에 미치는 영향", 천식 및 알레르기, 제21권, 제1호, pp.28-39, 2001.
  3. 박정웅, "황사기간 중 천식환자에서 대기 중미세먼지가 최대호기 유속과 호흡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가천의과대학, 2003.
  4. https://www.airkorea.or.kr/index, 2017.
  5. https://data.kma.go.kr/cmmn/main.do, 2017.
  6. 이경빈, "서울지역 $PM_{10}$ 중 이온성분의 존재형태 추정", 제37권, 제4호, 2015.
  7. 환경부, 바로 알면 보인다 미세먼지 도대체 뭘까, 2016.
  8. 김상우, 수도권 미세먼지 연직분포 및 광학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2015.
  9. 전병일, 부산지역 겨울철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일의 기상학적 특성, 신라대학교, 2012.